상위 문서: 남자 고교생의 일상
남자 고교생의 일상 (2012) 男子高校生の日常 Daily Lives of High School Boys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원작 | 야마우치 야스노부(山内泰延) | |
감독 | 타카마츠 신지 | ||
각본 | |||
음향 감독 | |||
부감독 | 요시무라 아이 | ||
캐릭터 디자인 | 유모토 요시노리(湯本佳典) | ||
총 작화감독 | |||
미술 감독 | 타지리 켄이치(田尻健一) | ||
색채 설정 | 시바타 아키코(柴田亜紀子) | ||
촬영 감독 | 오오야 소타(大矢創太) | ||
편집 | 오노데라 에미(小野寺絵美) | ||
음향 제작 | 트리니티 사운드 | ||
음악 | Audio Highs | ||
음악 제작 | 해피넷 선라이즈 음악출판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오자키 마사유키(尾崎雅之) 마츠이 사토시(松井 智) 타구치 코지(田口浩司) | ||
프로듀서 | 이와나베 류타(若鍋竜太) 타나카 쇼(田中 翔) | ||
애니메이션 제작 | 선라이즈 | ||
제작 | 남자 고교생의 일상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2. 01. 10. ~ 2012. 03. 27. | ||
방송국 | 테레비 도쿄 / (화) 02:00 애니플러스 / (금) 23:30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학원·개그 만화 남자 고교생의 일상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2012년 1분기에 총 12화 분량으로 방영되었다.감독은 코미디물 제작에 정평이 나 있는 타카마츠 신지이며, 부감독은 역시 타카마츠와 세트로 자주 함께하는 요시무라 아이. TV 도쿄를 중심으로 방영되었으며, 니코니코 채널 및 반다이 채널에서 "문학소녀" 편과 "남자 고교생과 스커트" 편이 선행 공개되었다. 그리고 그 뒤로 매 주마다 하나씩 총 8화가 선행 공개되었다.
2. 특징
남고생의 일상을 표방한 원작이 그렇듯 병신같지만 현실적인 전개와 클리셰 비틀기가 특징. 동나이대 남고생들이 심심풀이로 할 만한 기행이나 상상들을 원작만큼이나 잘 표현하고 있다.호화 캐스팅이라 불릴만한 성우진을 대거 기용했는데, 타카마츠 신지 사단이라고 할 수 있는 몇몇 성우들이 특히 눈에 띈다. 덕분에 은혼 팬들의 기대가 컸는데, 반대로 은혼 스타일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이건 남자 고교생의 일상이 아니라 그냥 은혼이라고 좋지 않은 반응도 적지 않았다. 특히 은혼 팬들이 심심찮게 이 작품으로 은혼 드립을 자주 치는 바람에 이른바 빠가 까를 만든다 상황. 여하턴 간에 캐스팅이 화려하다는 점을 살려 한 번 정도밖에 나오지 않는 엑스트라 캐릭터까지도 유명 성우를 기용했다. 4화에 30초 가량 등장하는 연극부 부원이 하나자와 카나라던가, 5화에 나온 구세주와 눈이 매서운 여동생이 있는 친구가 후쿠야마 쥰이라든가, 6~7화에 나온 같은 반 안경남이 카지 유우키라든가, 11화에서 귀여운 여자애에 대해 토론한 빡빡머리가 스와베 준이치라든가... 조연이기는 하지만 여학생 캐릭터들도 성우진이 엄청 화려하다.
그 중에서도 남자 청년 바보 연기에 일가견이 있는 스기타 토모카즈와 스즈무라 켄이치가 각각 주인공의 좌청룡 우백호 역할을 맡아 이것 하나만으로도 엄청난 기대몰이 중. 원작 웹툰의 팬을 비롯하여 부녀자 군단, 미소녀 동물원 스타일의 애니 일색에 질린 덕후들까지 상당한 잠재적 팬층을 끌어모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선행 영상의 엔딩을 제대로 들어보면[1] 일본 애니메이션계의 정곡을 제대로 찌른 것 같은 느낌이 들어 씁쓸한 느낌을 가지게 되기도 할 것이다.
원작판의 스퀘어 에닉스와 애니메이션판의 선라이즈를 빌미삼았는지 정식방영판 1화 첫 에피소드는 오리지널로 건담 색 자쿠[2]와 모험의 서[3], 주연 3인방의 드래곤 퀘스트2의 3인 파티 코스프레가 살짝 등장했다.
2화에는 엔딩 이후 본편과는 무관한 단행본 1권에 수록된 보너스 만화 '아가씨의 일상'이 포함되었고, 3화 이후부터는 특별편 '여고생은 이상'이 엔딩 이후 방영되었다. 마지막회에서는 지금까지와의 구성을 역순으로 뒤집어 여고생은 이상이 먼저 나온 후 엔딩곡이 나오고 본편이 방영하는 구성을 보였다.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정식 수입해 방영 및 VOD 서비스까지 제공했으며, 2017년 8월 1일부로 판권계약이 만료되었다가 2021년부로 라프텔에서 재수입했다.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남자 고교생의 일상/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설정
자세한 내용은 남자 고교생의 일상 문서의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음악
5.1. 주제가
5.1.1. OP
OP Shiny tale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Mix Speaker's,Inc. | ||
편곡 | |||
작사 | YUKI | ||
작곡 | seek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타카마츠 신지 | |
연출 | 요시무라 아이 | ||
작화감독 | 유모토 요시노리(湯本佳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1.2. 1화 ED
1화 ED 文学少女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ENA | |
작사 | 사나다 북고 문예부(真田北高文芸部) | |
작곡 | Audio Highs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1.3. ED
ED おひさま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雨先案内人(우선안내인) | ||
작사 | 아메노사키 세이타로(雨ノ地晴太郎)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요시무라 아이 | |
연출 | |||
작화감독 | 쿠라타 아야코(倉田綾子) | ||
총 작화감독 | 유모토 요시노리(湯本佳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2. 삽입곡
3화 삽입곡 Capsule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Mix Speaker's,Inc. | |
편곡 | ||
작사 | MIKI | |
작곡 | seek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6. 회차 목록
- 전화 각본: 타카마츠 신지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 요시무라 아이 | 유모토 요시노리 (湯本佳典) | - | 日: 2012.01.10. 韓: 2012.01.13. | |
제2화 |
| 코이소 사야카 (小磯沙矢香) | 日: 2012.01.17. 韓: 2012.01.20. | |||
제3화 |
| 타카하시 준 (高橋 順) | 타카다 준 | 아마사키 마나무 (天崎まなむ) | 日: 2012.01.24. 韓: 2012.01.27. | |
제4화 |
| 카와무라 토모유키 | 스즈키 유키에 | 日: 2012.01.31. 韓: 2012.02.03. | ||
제5화 |
| 요시무라 아이 | 카마타 유스케 (鎌田裕輔) | 쿠라타 아야코 (倉田綾子) | 日: 2012.02.07. 韓: 2012.02.10. | |
제6화 |
| 이케노 쇼지 (池野昭二) | 노다 야스유키 | - | 日: 2012.02.14. 韓: 2012.02.17. | |
제7화 |
| 타카하시 준 | 스즈키 유키에 토미자와 카야노 (冨澤佳也乃) | 쿠라타 아야코 | 日: 2012.02.21. 韓: 2012.02.24. | |
제8화 |
| 타카하시 준 | 타카다 준 | 아마사키 마나무 | - | 日: 2012.02.28. 韓: 2012.03.02. |
제9화 |
| 카와무라 토모유키 | 마키우치 모모코 (牧内ももこ) 미시마 리카 (見嶋梨香) 니시지마 카나 (西島加奈) 이토 카오리 (伊藤香織) | 쿠라타 아야코 | 日: 2012.03.06. 韓: 2012.03.09. | |
제10화 |
| 이케노 쇼지 | 카마타 유스케 히로세 토모히토 (廣瀬智仁) 코노 요시타카 (河野悦隆) | - | 日: 2012.03.13. 韓: 2012.03.16. | |
제11화 |
| 타카하시 준 | 스즈키 유키에 | 쿠라타 아야코 | 日: 2012.03.20. 韓: 2012.03.23. | |
제12화 |
| 요시무라 아이 타카마츠 신지 | 요시무라 아이 | 쿠라타 아야코 유모토 요시노리 | - | 日: 2012.03.27. 韓: 2012.03.30. |
7. 엔드 카드
- 1화부터 이어져온 9화 당시의 엔드카드[4]
8. 밴드 '인격라디오'의 성우 비하 논란
원래 남자 고교생의 일상 정식[5] 엔딩 주제가는 2인조 비주얼 록 밴드 인격라디오(人格ラヂオ)의 뺄셈(引き算)이었다. 발매일도 다 정해져 있었던 상태. 그런데 12월 초 이 밴드의 보컬의 블로그에 이런 글이 올라온다.(중략. 2011년 12월 성우 그랑프리에서 인터뷰했다는 이야기임.)
'성우는 정말 모두 '성우'스럽게 생겼네
뭐라고 해야 하나, 아이돌이 아니라고 해야 하나
아이돌 정도는 아니라고 해야 하나
뒤쳐진다는 건 아니지만, 싸 보인다(cheap)고 할까
디즈니랜드가 아니라 USJ[6]라고 할까...'
원문의 캐시
요약하면 '성우? 얼굴도 다 고만고만한 데다 아이돌보다 수준 낮은 주제에… 싸 보여'로 읽힐 수 있는 글을 쓴 것. 정작 이 밴드는 그렇게까지 유명한 밴드도 아니었던데다[7], 결정타로 당시 성우 그랑프리 표지 모델은 호리에 유이였다.'성우는 정말 모두 '성우'스럽게 생겼네
뭐라고 해야 하나, 아이돌이 아니라고 해야 하나
아이돌 정도는 아니라고 해야 하나
뒤쳐진다는 건 아니지만, 싸 보인다(cheap)고 할까
디즈니랜드가 아니라 USJ[6]라고 할까...'
원문의 캐시
블로그 글은 금세 삭제됐지만 2ch에 알려지면서 사건이 일파만파 커지자 애니 제작진 쪽에서도 빡쳤는지 아님 불똥튀는 걸 막기 위해서인지 이들을 강판시켜 버렸다. 바뀐 엔딩 주제가는 우선안내인(雨先案内人)이라는 밴드의 '햇님(おひさま)'.
처음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이다, 괜찮다 정도로 가볍게 반응하던 문제의 멤버도 이쯤 되자 정식으로 사과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고, 사람들에게 욕을 바가지로 처먹으며 결국 자숙을 선언했다. 원래 밴드 팬들 사이에서는 '독설가' 기믹으로 유명했지만 애니메이션 팬이나 성우 팬들에게는 처음 보는 밴드 멤버의 그런 캐릭터 기믹 사정이야 알 바 아니었고, 이 쪽 업계인의 자학풍 조크로 해석될 여지도 없어서 성우 팬덤 전체가 들끓으면서 매장되어버렸다.
그 와중에 스탭진은 1화 정식방영판 엔딩으로 선행방영판 1화 문학소녀편 엔딩[8]을 다시 내보내면서 자막으로 '죄송합니다, 엔딩은 펑크냈어요' 드립을 쳤다.
이후 밴드는 2012년 9월 초 팬클럽 한정 공연을 마지막으로 활동을 중단했다. 문제의 보컬은 2013년 이후 '후카자와 상점(深澤商店)' 명의로 솔로로 활동 중이며 기타 담당은 'THE BEETHOVEN'이라는 새로운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 중으로, 사실상 인격라디오라는 밴드는 해체했다고 봐야 된다.
[1] 여고생은 이상 2화의 야나깅의 대사를 그대로 따왔다. "아아, 우리들은 남자 고교생. 서글픈 남자 고교생. 여고생이라 그러면 무얼 해도 대인기 록 밴드, 재즈 밴드, 카라테 검도 마작 개조인간 싱크로…. 그에 반해서 남자 고교생은 배틀물이나 스포츠물밖에 못 써먹어!"[2] 연방도 자쿠를 굴리긴 했지만 건담색은 아무도 안 썼다.[3] 표지의 모양은 건담의 매뉴얼.[4] 심지어 1화부터 저 그림이 하나씩 늘어난다.(2화와 10화, 11화 제외. 2화땐 생각이 없었는지 1개만 있었고, 10화때는 10x10개. 11화는 다시 1개로 회귀했다.) 놀랍게도 그린 건 작가 본인. 거기에 매화마다 수만 늘리는게 아니라 좌우반전을 한다든가 배치를 바꾼다든가 팝아트 버전을 내놓는 등 매주 시청자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준다. 12화에선 아예 그림으로 END를 만들었다.[5] 선행 주제가는 Audio High가 담당했다.[6] 일본 최대의 테마파크지만 디즈니랜드에는 비길 수 없다는 점을 상징한 것.[7] 데뷔 10년차의 밴드였지만, 오리콘 인디 차트에 있다가 최근에서야 겨우 싱글 차트 40위권에 들어선 밴드였다. 절대로 대중적인 인지도가 있는 밴드는 아니었다.[8] 1화 문학소녀편을 보고 난 뒤에 듣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