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22:08:55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 ~넥스트 샤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16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2px; border-color: #785978; background: #785978; color: #ffffff; font-size: 0.8em"
<nopad> 파일:와타나레 넥스트 샤인 키 비주얼.jpg
{{{#e65097,#45b9c8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404040><colcolor=#e65097,#45b9c8> 장르 백합, 학원, 청춘, 러브 코미디
원작 미카미 테렌
캐릭터 원안 타케시마 에쿠
감독 우치누마 나츠미
어드바이저 카토 타카오
시리즈 구성 아라카와 나루히사
각본
캐릭터 디자인 kojikoji[1]
프롭 디자인 ○○
총 작화감독 카네코 미사키(金子美咲)
모리야 하루키(森谷春樹)
시오카와 타카시(塩川貴史)
아미 케이노스케
아라이 타츠야(新井達也)
키시모토 세이지(岸本誠司)
니이 마나부
사카자키 타다시(坂﨑 忠)
메인 애니메이터 ○○
미술 감독 타카기 유리(高木佑梨)
와타나베 케이토(渡辺佳人)
미술 설정 ○○
색채 설계 세키모토 미츠코(関本美津子)
촬영 감독 모로오카 타쿠마(師岡拓磨)
편집 챠엔 이치로(茶圓一郎)
음향 감독 야마구치 타카유키(山口貴之)
음향 제작 ○○
음악 후지사와 요시아키
기획 ○○
치프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제작 studio MOTHER
제작 와타나레 제작위원회[2]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11월 21일
방영 기간 미정
편당 러닝타임
화수 5화
상영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6. 주제가7. 회차 목록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1. 개요

わたしはわたしを、好きになりたいから!

일본의 라이트 노벨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속편 TV 애니메이션[3]. 감독은 우치누마 나츠미, 방영 시기는 미정.

2. 개봉 전 정보

3. 포스터

파일:와타나레 넥스트 샤인 키 비주얼.jpg
키 비주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와타나레 넥스트 샤인 키 비주얼.webp }}}}}}}}}}}}

4. 예고편

특보
특보 제2탄
본 예고

5.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내가 연인이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e65097,#45b9c8>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아마오리 레나코|{{{#!wiki style="width: 50%; 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25px solid #ffb6c6"]]
[[오우즈카 마이|{{{#!wiki style="width: 50%; 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25px solid #e36470"]][[세나 아지사이|{{{#!wiki style="width: 50%; 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25px solid #ffc000"]]

[[코토 사츠키|{{{#!wiki style="width: 50%; 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25px solid #93bee6"]][[코야나기 카호|{{{#!wiki style="width: 50%; 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currentcolor; border-bottom: 1.25px solid #a2d5c0"]]

6. 주제가

주제가
ディア・マイ・スペシャル・プレシャス・マーベラス・スウィート・ダーリンズ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404040><colcolor=#e65097,#45b9c8> 노래 퀸텟(クインテット)
아마오리 레나코 (CV: 나카무라 칸나)
오우즈카 마이 (CV: 오오니시 사오리)
세나 아지사이 (CV: 안자이 유카리)
코토 사츠키 (CV: 이치노세 카나)
코야나기 카호 (CV: 타나카 타카코)
작사 하마다 코우키(ハマダコウキ)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404040><colcolor=#e65097,#45b9c8> 콘티 -
연출 -
}}}}}}}}} ||

7. 회차 목록

<rowcolor=#e65097,#45b9c8> 회차 제목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3화
극장 선행:
2025.11.21.
日/韓:
미정
제14화
극장 선행:
2025.11.21.
日/韓:
미정
제15화
극장 선행:
2025.11.21.
日/韓:
미정
제16화
극장 선행:
2025.11.21.
日/韓:
미정
제17화
극장 선행:
2025.11.21.
日/韓:
미정

8. 평가

8.1. 방영 전

전작에서 호평 받은 우치누마 나츠미 감독과 총 작화감독 팀이 유임되어 전작과 비슷한 품질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8.2. 방영 후


[1] 애니메이터 코지마 히로카즈(小島大和)의 필명.[2] 제작위원회 구성 업체: 슈에이샤, 슈에이샤 DeNA 프로젝트, REMOW[3] 극장판으로 선행 상영한다. 속편 TVA지만 1쿨 분량에는 못 미치는 5화라는 점, 기존 TVA 분량의 한계로 따로 빼서 다룬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팬들은 1.5기로 분류하는 편이다.[참여성우] 아마오리 레나코나카무라 칸나, 오우즈카 마이오오니시 사오리, 세나 아지사이안자이 유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