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5:54:15

네이처링

<colcolor=#833ec9> 네이처링
Naturing
<nopad> 파일:다1운로드 (27).jpg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언어 한국어
종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비스일
2014년 1월 ([age(2014-01-01)]주년)
상태 운영 중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사용방법(기능)
2.1. 관찰올리기 방법2.2. 검색하기2.3. 미션2.4. 통계

1. 개요

주식회사 네이처링에서 출시한 온라인 기반 자연활동 공유 플랫폼이다. 2023년 기준 55,806명이 가입해있다.[1] 종종 해당 플랫폼에 올라온 자연관찰 기록이 뉴스에까지 기록되기도 한다.

거의 모든 생물종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검색하는 도구이자 다양한 자연활동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오픈 네트워크이다. 한국에 이러한 플랫폼은 매우 드물기에 굉장히 희소성이 있다. 한국의 시민 생물조사에 무척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당연하지만 기록을 게시하려면 회원가입은 필수이다.[2] 기록을 게시함으로써 게시자에게 득이 되는 것은 크게 없지만,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의 생명다양성을 기록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환경파괴를 막는 등 생태계보전에 기여하며 환경보호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은 환경보호활동이기도 하다.

스마트폰 앱으로도 출시되어 있다.

2. 사용방법(기능)

2.1. 관찰올리기 방법

2.2. 검색하기

자신이 기록을 올리는 것 외에도, 다른 이용자의 기록을 볼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최신순으로 관찰기록을 볼 수는 있으나 자신이 원하는 기록을 보기는 힘들다.
그럴 경우, 네이처링 홈으로 돌아온 후 좌측 상단에 있는 검색필터를 이용하자.

2.3. 미션

미션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미션 개설자가 만든 프로그램이다. 위치가 비공개된 게시글이라도 미션에 등록된 게시물이라면 미션 개설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대개 검색으로는 알기 힘든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해서 만들어진다.

자신이 가입한 미션에만 기록을 등록할 수 있다.

미션은 누구나 자유롭게 개설할 수 있다.
단, 너무 많은 사람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션이나 학생을 대상으로한 프로그램 등은 네이처링 운영진에게 사전 허락을 구해야한다. [5]

2.4. 통계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자신이 관찰한 기록을 간단히 통계를 내준다.
마이페이지(내정보) 통계 메뉴의 그래프를 통해 생물분류별로 어떤 종을 얼마나 관찰하고 기록했는지, 연도별, 월별로 얼마나 많은 관찰을 기록했는지, 자신의 기록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내가 기록한 모든 자연관찰을 생물분류별, 서식지유형별, 행정구역별, 관찰시각별, 게시시각별 등 다양한 기준의 분류로 따로 모아 볼 수 있고, 내가 만든 생태지도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이 모아보기한 자연관찰, 만들거나 참여한 미션, 친구관계, 자신이 쓴 댓글, 자신이 한 이름제안 등 나의 모든 활동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6]
파일:네ㅔ이처링.jpg


[1] https://www.naturing.net/nreport/2023[2] 보는 데에는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큰 지장은 없다[3] 사실 3번 이후로 순서는 크게 상관없다. 하지만 나중에 몇가지 빼먹을수 있으니 위에서부터 차례로 입력하길 추천한다[4] 용량이 큰 동영상의 경우 완전히 등록되는데 시간이 조금 소요된다[5] 자세한 내용은 https://www.naturing.net/info/faq#mission[6] 출처:https://www.naturing.net/info/howt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