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과학기술부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과학기술위원회 주임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임 | |
마오쩌둥 시대 | 화궈펑 시대 | 덩샤오핑 시대 | |
초대 녜룽전 | 초대 팡이 | 제2대 쑹젠 | |
과학기술부장 | |||
장쩌민 시대 | 후진타오 시대 | 시진핑 시대 | |
초대 저우리란 | 제2대 쉬관화 | 제3대 완강 | 제4대 왕즈강 |
시진핑 시대 | |||
제5대 위히준 |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중화인민공화국 초대 과학기술위원회 주임 녜룽전 [ruby(聂, ruby=Niè)][ruby(荣, ruby=Róng)][ruby(臻, ruby=zhēn)] (聶榮臻, 섭영진) | Nie Rongzhen | |||
출생 | 1899년 12월 29일 | ||
청 사천성 장진현 (現 중국 쓰촨성 충칭시 장진구) | |||
사망 | 1992년 5월 14일 (향년 92세) | ||
중국 베이징시 | |||
묘소 | 둥펑 혁명열사묘지 | ||
재임기간 | 초대 과학기술위원회 주임 | ||
1958년 11월 ~ 1970년 6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자 | 복변 (福駢) | |
학력 | 황포군관학교 | ||
종교 | 무종교 (무신론) | ||
배우자 | 장류화 (이혼) 룽셩셴 | ||
자녀 | 딸 녜리 | ||
복무 | 국민혁명군 → 중국공농홍군 → 중국 인민해방군 | ||
최종 계급 | 원수 (중국 인민해방군) | ||
주요 참전 | 중일전쟁 국공내전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중국의 군인, 정치인.2. 생애
1899년 12월 29일 쓰촨성 장진에서 태어났다. 1919년 장진중학을 졸업하고 프랑스로 유학을 간다. 1925년 귀국하여 황포군관학교 교관을 맡았다. 중일전쟁때 팔로군 115군 부사단장을 지낸다. 국공내전때는 화베이 야전군 사령관을 맡았다.국공내전에서 승리한 후인 195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10대 원수로 선정된다. 국무원 부총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임, 국방과학위원회 주임을 맡아 중국군의 무기현대화에 공헌하였다. 특히 양탄일성으로 불리는 중국의 핵무기, 미사일 개발을 주도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고초를 겪기도 했지만, 1976년 마오쩌둥의 사망 직후 예젠잉 등과 함께 장칭을 위시한 4인방의 체포를 이끌었으며,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을 역임하며 당과 군부의 원로 역할을 맡았다. 이후 천안문 사태까지 경험하고 1992년 5월 14일 베이징에서 93세로 사망한다.
3. 가족
아들은 없고 딸 하나만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딸은 인민해방군 최초의 여자 중장이며 사위는 상장이다.4. 기타
1940년 백단대전에서 두명의 일본 어린이를 구출해서 2달정도 돌보았고 이후 녜룽전의 편지와 함께 스자좡 주둔 일본군에 보냈다. 일본군은 아이들을 받았다는 답신을 녜룽전에게 보냈다. 둘중 큰 어린이(미호코)와 같이 찍은 사진들은 남아있어서 녜룽전의 인간미를 언급할 때 자주 인용된다.# 1980년에 40대가 된 미호코는 중일우호협회의 초청을 받아 7월 10일에 가족과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도착했고 녜룽전의 딸이 맞이했다. 가족과 2주간 중국 곳곳을 여행했다. 1980년 7월 14일 녜룽전을 만났다.# 미호코의 막내딸은 녜룽전에게 토끼 인형을 선물했고 녜룽전은 외손녀에게 줬다. 이후에도 미호코는 여러 번 중국을 방문했고 일본내 일중우호협회에서도 활동했다. 양국 언론이 관심갖던 사건이라 모두 영상으로 남아있다. 일본군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4세와 1세의 아이였다고 한다. 일본군은 둘을 무사히 건네받았으나 아기는 이후 사망했다. 2007년에 원자바오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이 에피소드를 직접 언급했다.충칭의 집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어서 지방정부가 관리하고 있다. 집이 크고 고급스럽고 좌우에 호수가 있기 때문에 조상들이 부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충칭에 있는 녜룽전원수전시관은 4A급 여유경구이며 역시 바로 앞에 호수가 있다.#
5. 대중매체에서
2013년 CCTV에서 녜룽전이 주인공인 드라마 '녜룽전'이 방송되었다. 10화에서 전쟁의 폐허에서 적들이 남긴 기관총을 회수하던 부하들이 위에 언급된 일본인 아기들을 발견하게 된다. 부하들은 의견 차이가 있었으나 결국 둘을 데리고 기지로 갔다. 사령관 녜룽전은 아이들을 보며 부모에게 죄가 있지 아이들은 죄가 없다며 말했다. 녜룽전이 서툴지만 직접 사과를 돌려깎기해서 주었다. 부하가 아기에게 젖동냥을 해줄 아줌마를 데리고 왔는데 일본인 아기라는 말을 듣고 놀라서 돌아가려고 했다. 녜룽전이 팔로군을 대표해 감사합니다라고 말하자 아줌마는 "이게 도대체 무슨 일이지?"라고 말하고 젖을 주러 가게 된다. 녜룽전은 민가에 입양시킬 생각이었다. 하지만 부모는 없어졌어도 친척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결국 편지와 함께 농민에게 부탁해 일본군 기지로 보내게 된다. 일본군은 수고비를 농민에게 주려고 했으나 농민은 사양했다. 마지막 24화에서 성인이 된 일본인 아이가 자녀들을 데리고 녜룽전을 방문한다.6. 둘러보기
중국 인민해방군 원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대원수 大元帅 | }}} | |||||
임명 사례 없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원수 元帅 | }}} | ||||||
녜룽전 · 뤄룽환 · 류보청 · 린뱌오 · 쉬샹첸 · 예젠잉 · 주더 · 천이 · 펑더화이 · 허룽 |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49년-1954년) | ||
주더 | 류사오치 | 저우언라이 | |
펑더화이 | 청첸 | 린뱌오 | |
가오강 | 류보청 | 허룽 | |
천이 | 뤄룽환 | 쉬샹첸 | |
녜룽전 | 예젠잉 |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 |||
주더 (제1기) | 펑더화이 (제1ᆞ2기) | 린뱌오 (제1ᆞ2ᆞ3기) | |
류보청 (제1ᆞ2ᆞ3기) | 허룽 (제1ᆞ2ᆞ3기) | 천이 (제1ᆞ2ᆞ3기) | |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 뤄룽환 (제1ᆞ2기) | 쉬샹첸 (제1ᆞ2ᆞ3기) | |
녜룽전 (제1ᆞ2ᆞ3기) | 예젠잉 (제1ᆞ2ᆞ3기) | 청첸 (제1ᆞ2ᆞ3기) | |
장즈중 (제1ᆞ2ᆞ3기) | 푸쭤이 (제1ᆞ2ᆞ3기) | 룽윈 (제1기) | |
웨이리황 (제2기) | 차이팅카이 (제2ᆞ3기) | 뤄루이칭 (제3기)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 |||
쉬샹첸 (제6기) | 예젠잉 (제6기) | 양상쿤 (제6ᆞ7기) | |
자오쯔양 (제7기) | 류화칭 (제8기) | 츠하오톈 (제8ᆞ9기) | |
장완녠 (제8ᆞ9기) | 후진타오 (제9ᆞ10기) | 궈보슝 (제10ᆞ11기) | |
차오강촨 (제10기) |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 시진핑 (제11기) | |
판창룽 (제12기) | 쉬치량 (제12ᆞ13기) | 장유샤 (제13ᆞ14기) | |
허웨이둥 (제14기) |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000,#e5e5e5 |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37년-1949년) | ||
주더 (제6ᆞ7기) | 저우언라이 (제6ᆞ7기) | 왕자샹 (제6ᆞ7기) | |
류사오치 (제6ᆞ7기) | 펑더화이 (제7기) |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 |||
린뱌오 (제8ᆞ9기) | 허룽 (제8기) | 녜룽전 (제8ᆞ9ᆞ10ᆞ11ᆞ12기) | |
천이 (제8ᆞ9기) | 류보청 (제8ᆞ9ᆞ10ᆞ11기) | 쉬샹첸 (제8ᆞ9ᆞ10ᆞ11ᆞ12기) | |
예젠잉 (제8ᆞ9ᆞ10ᆞ11ᆞ12기) | 덩샤오핑 (제10ᆞ11기) | 양상쿤 (제12ᆞ13기) | |
자오쯔양 (제13기) | 류화칭 (제13ᆞ14기) | 장첸 (제14기) | |
츠하오톈 (제14ᆞ15기) | 장완녠 (제4ᆞ15기) | 후진타오 (제15ᆞ16기) | |
궈보슝 (제16ᆞ17기) | 차오강촨 (제13기) | 쉬차이허우 (제16ᆞ17기) | |
시진핑 (제17기) | 판창룽 (제18기) | 쉬치량 (제18ᆞ19기) | |
장유샤 (제19ᆞ20기) | 허웨이둥 (제20기) | ||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 |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참모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참모장 (1930-1933) |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 |||
<rowcolor=#ffde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류보청 | 주윤칭 | 예젠잉 | 예젠잉 | 류보청 | |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 |||||
<rowcolor=#ffde00>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예젠잉 | 류보청 | 샤오징광 | 텅다이위안 | 왕뤄페이 | |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 ||||
<rowcolor=#ffde00>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예젠잉 | 펑더화이 | 류보청 | 샤오징광 | 텅다이위안 | |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 ||||
<rowcolor=#ffde00>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왕뤄페이 | 예젠잉 | 펑더화이 | 쉬샹첸 | 녜룽전 | |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1954-2016) | |||||
<rowcolor=#ffde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쑤위 | 황커청 | 뤄뤼칭 | 황융성 | 덩샤오핑 | |
<rowcolor=#ffde00>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양더지 | 츠하오톈 | 장완녠 | 푸촨여우 | 량광례 | |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1954-2016) |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참모장 (2016-) | ||||
<rowcolor=#ffde00> 제31대 | 제32대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천빙더 | 팡펑후이 | 팡펑후이 | 리쭤청 | 류전리 | }}}}}}}}}}}}}}} |
베이징시 영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시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베이징시 인민정부 시장 | ||
초대 | 제2대 | ||
녜룽전 | 펑전 | ||
베이징시 인민위원회 시장 | |||
초대 | 제2대 | ||
펑전 | 우더 | ||
베이징시 혁명위원회 주임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셰푸즈 | 우더 | 린후자 | |
베이징시 인민정부 시장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린후자] | 자오뤄위 | 천시퉁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리치옌 | 자칭린 | 류치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멍쉐눙 | 왕치산 | 궈진룽 | |
제10대 | 제11대 | 대리 | |
왕안슌 | 차이치 | 천지닝 | |
제12대 | 제13대 | ||
천지닝 | 인융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초대 | 제2대 | 제3대 |
펑전 | 리쉐펑 | 셰푸즈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우더 | 린후자 | 돤쥔위 | |
제7대 | 제8대 | 대리 | |
리시밍 | 천시퉁 | 웨이젠싱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웨이젠싱 | 자칭린 | 류치 | |
제12대 | 제13대 | 제13대 | |
궈진룽 | 차이치 | 인리 | }}}}}}}}}}}}}}}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3ᆞ4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제3기 | |||
린뱌오 | 덩샤오핑 | |||
천윈 | 덩샤오핑 (계승) | 허룽 | ||
천이 | 커칭스 | 우란푸 | ||
리푸춘 | 리셴녠 | 탄전린 | ||
녜룽전 | 보이보 | 루딩이 | ||
뤄루이칭 | 타오즈 | 셰푸즈 | ||
제4기 | ||||
덩샤오핑 | ||||
장춘차오 | 리셴녠 | 천시롄 | ||
지덩쿠이 | 화궈펑 | 천융구이 | ||
우구이셴 | 왕전 | 위추리 | ||
구무 | 쑨젠 | |||
← 국무원 부총리 (제1ᆞ2기) 국무원 부총리 (제5ᆞ6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