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4:42:39

발레리 니폼니시

니폼니시에서 넘어옴
발레리 니폼니시의 역임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9대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5대
클럽
파일:부천 SK 로고(1997~2001).svg

4대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52대
}}} ||
러시아의 축구 감독
파일:nepomniachi_namuwiki.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발레리 니폼니시
Valery Nepomnyashchy
본명 발레리 쿠지미치 네폼냐시
Valery Kuzmich Nepomnyashchy
Вале́рий Кузьми́ч Непо́мнящий[1]
출생 1943년 8월 7일 ([age(1943-08-07)]세)
소련 러시아SFSR 알타이 크라이 슬라브고로드
국적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축구 선수 (공격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SKIF 아시가바트 (1961~1965)
스파르타크 사마르칸트 (1965~1967)
감독 스트로이텔 아시가바트 (1982~1983)
카메룬 대표팀 (1988~1990)
겐츨레르비를리이 SK (1992~1993)
MKE 앙카라귀쥐 (1993~1994)
유공 코끼리/부천 SK (1995~1998)
선양 하이시 (2000)
산프레체 히로시마 (2001)
산둥 루넝 (2002~2003)
상하이 선화 (2004~2005)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2006)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2006)
FC 톰 톰스크 (2008~2011)
FC 톰 톰스크 (2014~2016)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2018)
행정 중국축구협회 (1991 / 기술 고문)
PFC CSKA 모스크바 (2011~2014 / 기술 고문)

1. 개요2. 생애
2.1. K리그에 오기 전까지2.2. K리그에서의 모습2.3. K리그 감독 사임 이후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러시아축구 선수 출신 감독. 2014년부터 2016년까지 FC 톰 톰스크 감독을 맡았다. 애칭은 '니포'.

K리그에 처음 전술적 충격을 준 외국인 감독으로 기억된다. 끝내 리그 우승은 차지하지 못했지만 그가 보여준 축구는 지금까지도 회자될 정도.

2. 생애

2.1. K리그에 오기 전까지

시베리아의 소도시 슬라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출생 시기를 보면 알겠지만 독소전쟁 중에 아버지가 전사했고, 모스크바에서 피난온 모친에게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1947년 투르크멘 SSR로 이사해 유년기를 보냈고, 선수 시절도 주로 중앙아시아에서 보냈다. 1961~65년 SKIF 아슈하바트, 1965~67년 스파르타크 사마르칸트에서 뛰었다.

현역 시절에는 무명의 수비수였지만,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 카메룬의 8강 신화를 이끌면서 주목받았고[2], 이후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등의 고문을 맡다가 1994년 K리그유공 코끼리 감독으로 내한해 부천 SK로 팀명을 변경한 1998년까지 감독을 지낸다.

2.2. K리그에서의 모습

당시 그가 보여 준 축구는 그 동안 대한민국에서 볼 수 없는 신선함 그 자체였다. 확실한 스트라이커가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플레이 메이커 윤정환을 중심으로 헝가리 출신의 쇼모지 요제프(Somogyi József), 윤정춘, 김기동, 이을용 등을 모아 K리그 최고의 미드필더진으로 탈바꿈시켰다. 윤정환이 중심에서 물수제비 뜨듯 깔끔한 패스를 찔러주면 2선의 윤정춘이 침투해서 골문을 위협하고 수비가 약한 윤정환의 뒤를 김기동, 쇼모지 요제프, 이을용 등이 받쳐주며 여러 차례의 득점 기회를 만들었고, 조윤환 수석코치[3], 최윤겸 수비코치에게 직접 스타팅 멤버를 짜게 하면서 후진들의 양성에 앞장섰다. 그 때문인지 PC통신상에서는 '유공의 축구는 패해도 표값이 아깝지 않다'는 칭찬이 쏟아졌고, 비슷하게 4-4-2 기반의 패싱 축구를 구사하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붙는 날이면 당시 팬들에겐 '명경기 보증수표'로 통할 지경었다. 지금도 올드 팬들은 이 두 팀의 매치업을 다시 보고 싶어하는 경기로 꼽고 있다.

감독감을 키우는 감독으로도 유명해서 니포 밑에서 코치 생활을 했던 조윤환 前 감독과 최윤겸 충북 청주 FC 감독은 물론 선수들 중에도 지도자가 여럿 배출되었다. 대표적으로 조성환 부산 아이파크 감독, 남기일제주 유나이티드 FC 감독, 송선호부천 FC 감독, 윤정환 강원 FC 감독, 강철화성 FC 감독, 이임생수원 삼성 감독, 김한윤제주 유나이티드 FC 코치, 김기동 FC 서울 감독 등이 이다. U-23 감독을 맡았던 이광종 감독도 니폼니시 감독 밑에서 선수 생활을 한 건 1995년 한 해뿐이지만 니폼니시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승권과 거리가 멀었다. 1996년 아디다스컵 우승을 제외하고는 매번 우승 문턱에서 주저앉았고, 1997년 정규 시즌에서는 최하위의 수모까지 겪었다. 속공을 통해 게임을 풀어 가는 유공의 축구 스타일상 몸싸움을 잘 하고 100m를 11~13초대에 끊을 타깃형 스트라이커가 필요했지만 1996년 K리그 베스트 11이었던 세르게이 부르딘 정도를 제외하고는 좋은 타깃형 스트라이커를 구하지 못했고, 또 구단의 모기업이 스포츠단 운영에 있어서는 막장으로 유명한 이었다. 정확히 말하면 SK라고 다 같은 SK가 아니었다. 축구단의 모기업은 SK에너지고, 야구단과 농구단은 SK텔레콤을 모기업으로 해서 같은 SK그룹이라고 해도 계열이 달랐다. SK그룹은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으로 서울에서 쫒겨나 연고도 없는 부천으로 강제이전 당한 뒤 축구단에 투자할 의욕을 잃었다. 심지어 SK에서 낙하산으로 내려온 축구단 단장이라는 사람이 대놓고 '전국에 보면 SK 주유소 간판이 얼마나 많은데, 그게 축구단보다 홍보효과가 더 크다' 라는 헛소리를 하기도 했다.[4] 그래서 1997년에 최하위를 했을 때도 니폼니시 감독을 비판하기보다 SK그룹 수뇌부를 비판하는 네티즌들이 많았다. 그리고 이 당시에는 조직력 축구보다 에이스에게 몰아 주는 축구가 주류였기 때문에, 국가대표급 선수진을 갖춘 포철, 일화, 대우[5]에 밀리는 경우가 많았다.

여담으로 수원은 1998년과 1999년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1993년부터 1995년까지 K리그 3연패를 달성한 동대문 일화, 1997년 리그 전관왕을 달성한 부산 대우와 더불어 1990년대의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 팀으로 남았다.[6]

2.3. K리그 감독 사임 이후

1998년 퇴임 후 J리그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거쳐 2003년 중국 산둥 루넝의 감독을 맡아 FA컵 우승을 따내며 한국 시절 이루지 못한 우승의 한과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의 한을 풀었다. 이후 2006년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리그와 우즈베키스탄컵을 우승하며 더블을 이루었다. 이후 고향 러시아의 톰스크 팀 감독으로 재임하다가 2011년에 물러나 2014년까지 PFC CSKA 모스크바의 기술고문으로 일했고, 이후 다시 톰스크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017년 6월 7일, 부천 FC 1995의 재창단 10주년 기념으로 10살인 외손녀[7]와 함께 부천 FC 1995 구단의 초청으로 방한했다. 6월 10일에 열린 부천과 서울 이랜드 FCK리그 챌린지 경기를 참관했다.기사1 기사 2 기사 3 당시 축구선수는 '극장'을 좋아하는 게 아니라 '영화'를 좋아해야 한다는 명언을 남겼다. 니폼니시 인터뷰

그가 남긴 성적과는 무관하게 K리그를 전술적으로 한 단계 발전시킨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전술적 성취와 복장, 큰 키 등 묘하게 아르센 벵거와 오버랩되는 부분이 많아 K리그의 아르센 벵거라 불리기도 한다.

3. 둘러보기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fe3333> A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첼리오
비치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제프
히커스베르거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갠슬러
파일:체코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요제프
벵글로시
B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빌라르도

파일:카메룬 국기.svg
발레리
니폼니시


파일:소련 국기.svg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에메릭
제네이


C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세바스치앙
라자로니
파일:스웨덴 국기.svg
올레
노르딘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보라
밀루티노비치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앤디
록스버그
D조 파일:독일 국기.svg
프란츠
베켄바워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이비차
오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프란시스코
마투라나


E조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회택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오스카르
타바레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수아레스
F조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바비
롭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레오
베인하커르
파일:아일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찰튼
파일:이집트 국기.svg
마흐무드
엘고하리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4539E><tablebgcolor=#04539E>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54년 ~ 현재
초대
자하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2대
아브라모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카트롭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4대
셰르빈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5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호레비치
파일:소련 국기.svg
7대
키르시
파일:소련 국기.svg
8대
노비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9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모르구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솔로비요프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자하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레즈니크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체스노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안티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리프시츠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페레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이바노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실라가제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사리체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체스노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본다레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바세닌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24대
슈펠링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25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26대
데르가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27대
이바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8대
카르만
파일:러시아 국기.svg
29대(대행)
니키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0대
삽첸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젤케비치우스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32대(대행)
모길니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부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4대(대행)
모길니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쇼민
파일:러시아 국기.svg
36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이그나텐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대행)
셰르바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9대
사나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1대
랴흐
파일:러시아 국기.svg
42대
트카첸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43대
고르시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4대
프란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5대(대행)
고르바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6대
페레베르타일로
파일:러시아 국기.svg
47대
유란
파일:러시아 국기.svg
48대
디셰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9대
고르바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0대
자하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51대
체렙첸코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52대
니폼니시
파일:러시아 국기.svg
53대(대행)
클리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4대
레댜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5대
칼레신
파일:러시아 국기.svg
56대
이그나셰비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57대
그리셴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58대
탈랄라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 ||



[1] '(혈통이) 기억나지 않는'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성씨이다. 강세를 따른 발음은 '[nʲɪˈpomnʲɪɕːɪɪ̯\](니폼니시)'에 가깝다.[2] 카메룬의 경제적 사정은 차치하더라도, 선수들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한다. 당시 국가대표팀 통역은 카메룬 주재 소련 영사관에 고용된 운전기사였다고 하니, 말이 필요한지?[3] 니폼니시 이후 부천의 감독을 지냈고, 이후 전북 현대 모터스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4] 당시 드래프트 4라운드는 구단과 자매결연을 맺은 대학의 에이스를 지명하는 시스템이었는데, SK동아대학교 - 인천대학교 이런 식으로 자주 자매결연 대학을 옮겼다.[5] 각각 現 포항 스틸러스, 성남 FC, 부산 아이파크[6] 1999년 수원은 K리그 30년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팀을 꼽으라 해도 후보로 명함을 내밀 수 있을 만큼 압도적인 위용을 뽑냈다. 이 해 컵대회(슈퍼컵, 아디다스컵, 대한화재컵)와 K리그를 모두 제패했으며, 2위 부천과 승점 차이가 12점이었다.[7] 참고로 니포의 외손녀는 방탄소년단의 팬이다. 방탄소년단의 앨범이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할아버지를 졸라서 같이 방한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