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1:57:56
상위 문서: 단국대학교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3%>
||<width=33.3%>
||<width=33.3%>
||
}}}}}}}}}}}} ||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檀國大學校 서울 校庭 DANKOOK UNIVERSITY SEOUL CAMPUS 이념 <colbgcolor=#ffffff,#191919>구국ㆍ자주ㆍ자립 교시 진리와 봉사 상징 동물 검은 곰 교목 느티나무 교화 철쭉 교색 청색 국가 대한민국 설립 지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 백범 김구 분류 사립대학 지위 본교 총장 14대 권기홍 (2007년 기준) 재단 학교법인 단국대학 사용 1957년 - 2007년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산 8번지 면적 129,043㎡ (2007년 기준)
1 . 개요2 . 정문3 . 서문4 . 서관5 . 동양학관(일석기념관)6 . 1공학관7 . 2공학관8 . 학생회관(혜당기념관)9 . 2부 학관10 . 퇴계기념중앙도서관11 . 사범학관12 . 신관13 . 본관14 . 과학관15 . 문학관16 . 상경학관17 . 교수회관18 . 체육관(범정기념관)19 . 석주선 기념박물관20 . 음악관21 . 미술관22 . 체육부 기숙사23 . 인공폭포24 . 곰상25 . 범은정26 . 각종 기념탑과 조형물27 . 캠퍼스 갤러리 [clearfix]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항공사진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캠퍼스맵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캠퍼스맵
단국대학교 는 2007년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에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으로 학교를 이전했으며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는 1957년 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 단국대학교 의 50년 역사를 함께한 곳이다. 당시 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산 8번지였으나, 수지 로 캠퍼스 이전 단국대 9월 수지로 캠퍼스이전..오늘 입학·비전선포 이후 용산구 한남동 810번지로 변경되어 서울캠퍼스 시절의 주소는 말소되었다. 이후 이곳에 사용하는 도로명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1이며, 현재 서울캠퍼스가 있었던 자리에는 고급 아파트인 한남더힐 이 들어서 있다. 죽전캠퍼스 이전 과정에서 내부 동상은 그대로 이전하여 원래의 위치와 유사한 곳에 배치되었고 건물 명칭도 승계되었으며 심지어 구성이나 학교 앞 가게 그리고 관련 문화나 활동도 최대한 같이 승계하도록 노력하여 초창기 죽전캠퍼스는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했으나 관련 문화 승계 작업과 기존의 서울캠퍼스와 유사한 조성 및 문화 구축을 통해 현재는 사실상 서울캠퍼스 동문이 '캠퍼스를 그대로 옮긴 것 같다', '서울캠퍼스 규모만 커지고 그 문화나 주위 분위기 그리고 상권은 같은 것 같다'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거의 유사하게 옮기고 그 문화적 유산도 이전에 성공하여 사실상 단절 없는 성공적 이전으로 본다. 그래서 죽전캠퍼스 출신도 서울캠퍼스 관련 사진이나 썰을 들으면 그곳에 있었던 것과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이다. 학교 이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단국대학교 문서 참고.현 한남더힐 이 있는 '서문'을 정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이 정문이다. 정문 바로앞에 '이삭 토스트 '라는 가게가 있었는데, 꽤나 많은 학생이 아침 식사나 간식으로 이용했었다.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문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문 입구 준공 : 1975.12 용도 : 서문
정문의 서쪽에 있어 서문이다. 한남대로 대로변에 있어서 정문보다 더 정문다워 보였다. 바로 옆에는 서관이 있었다. 지금의 죽전캠퍼스보다 경사가 가팔랐다. 서문을 통과해서 제1, 제2공학관 사이만 지나면 경사진 곳도 별로 없고 있다해도 학교 면적이 좁아서 다니기에 그다지 힘들지는 않았다.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관 준공 : 1999.12 규모 : 지하 2층, 지상 12층 용도 : 대학원 겸 수익용 건물 면적 : 24,562㎡, 약 7,443평 한남대로와 서관 리모델링 후 서관
서관은 대학원 용도로 사용되었었다 이 서관 이후 죽전캠퍼스 에도 똑같은 이름으로 서관을 지었으나, 대략 2016년부터 글로컬 산학협력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한남대교 진입하는 대로 바로 옆에 있어서 한남캠퍼스 시절 랜드마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하 2층, 지상 12층 규모이며 연면적 24,562㎡(약 7,443평)이다. 1999년 12월에 완공되었다. 한남캠퍼스가 모두 팔려 건물들이 모조리 헐리고 죽전캠퍼스로 이전하였지만, 이 서관만큼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죽전캠퍼스 이전 후에 본래 특수대학원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었지만, 정부의 압력으로 교육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대학원도 모두 옮기게 되었다. 2010년 11월 29일에 IBK 기업은행의 사옥용으로 819억에 매각했다. 현재 IBK 기업은행 한남동점이 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빌딩이름은 아직 단국빌딩이다. 5. 동양학관(일석기념관)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동양학관 준공 : 1975.12 규모 : 지상 9층 용도 : 동양학연구소 겸 교수회관 면적 : 1,960㎡, 약 593평
학교 중점연구소인 동양학연구소가 들어서 있었다. 동양학연구소는 3층까지 사용하고, 5층 이상은 교수들의 연구실로 쓰여 교수회관이라 불리기도 했다. 국문학계의 원로이신 일석 이희승 선생이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대 소장으로 부임하셔서 10년여 세월동안 한한대사전 찬간에 도움을 주신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건물 별칭을 일석기념관이라 붙였다. 6. 1공학관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1공학관 준공 : 1970.12 규모 : 지상 7층 용도 : 공과대학 건물 면적 : 14,977㎡, 약 4,538평
공학대학 소속 건물이다. 원래는 단국대학교 병원으로 사용하려고 했던 건물이다. 건물 내부 구조가 중앙에 계단 없이 경사로 되어 있었다. 중앙 통로에는 창문이 뚫려 있어 각종 쓰레기와 남은 배달 음식들이 버려져 쌓여 있었다. 그걸 먹고 자란 팔뚝만한 크기의 쥐들이 중앙 계단을 누볐다고 한다. 7. 2공학관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2공학관 준공 : 1977년 규모 : 지상 9층 용도 : 공과대학 면적 : 1,960㎡, 약 593평
공과대학 소속 건물이다. 교수회관 옆에 애드온처럼 딸려 있는 건물이다. 높은 층수 동을 동양학관으로 썼고, 낮은 층수 동을 2공학관으로 썼다. 8. 학생회관(혜당기념관)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준공 : 1976년 9월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 용도 : 학생회관 면적 : 5,265㎡, 약 1,595평
동아리와 학생식당이 있던 곳이다. 설립자이신 혜당 조희재 선생을 기리기 위해 별칭으로 혜당기념관이라 불렀다. 현재도 죽전캠퍼스 의 학생회관의 이름은 혜당관이다. 9. 2부 학관 2부학관 준공 1966 규모 지상 3층 용도 야간대학 면적 2,162㎡, 약 655평
야간대학 학생들이 강의를 듣던 건물이다. 단과대나 학과별로 엠티를 갈 때 이곳 앞에서 학교로부터 김치를 싸게 사서 받아갔다고 한다. 10.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서울캠퍼스 퇴계기념중앙도서관 준공 1986.09 규모 지하 1층, 지상 5층 용도 중앙도서관 면적 17,755㎡, 약 5,380평 서울캠퍼스 퇴계기념중앙도서관 봄철 모습
1986년 9월 신축개관된 중앙도서관이다. 개관당시 국내 대학 중 최대 도서관이었다. 종합대학 승격을 기념하여 새롭게 건축되었고, '민족사학의 자긍심으로 겨례가 숭모하는 퇴계 이황 선생의 학문정신을 계승'하고자 퇴계기념중앙 도서관이라 명명하였다. 1987년 서울시와 한국건축가협회로부터 "우수건축상"을 수상했다. 1996년 제28회 『韓國圖書館賞 功績賞』 단체부문을 수상(한국도서관협의회)했다. 당시 한강이 보이는 도서관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서울캠퍼스 시절에는 도서관 열람실을 학생들이 직접 청소했다고 한다. 현재는 거의 모든 대학들이 미화직원들에게 청소를 맡기는 편이다. 밤 11시부터 12시까지 청소를 한 학생들에게 학교가 만원씩 주었다. 죽전캠퍼스 이전 이후에 이러한 전통은 없어졌다. 서울캠퍼스 사범학관 준공 1974 규모 지하1층, 지상 6층 용도 사범대학 면적 5,752㎡, 약 1,743평
서울캠퍼스 신관 준공 1987 규모 지하1층, 지상 5층 용도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면적 7,766㎡, 약 2,353평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舊 정경대학) 건물로 쓰였다. 본관 준공 1966 규모 지상 3층 용도 대학본부 면적 3,034㎡, 약 919평
대학본부가 소재해 있었다. 본래 사용하던 본관은 1986년 멸실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법정학관을 본관으로 개조해 사용하였다. 그리고 신관을 지어 새롭게 법정학관으로 사용했다. 서울캠퍼스 과학관 준공 1984 규모 지하1층, 지상 6층 용도 자연과학대학 면적 8,546㎡, 약 2,589평
서울캠퍼스 문학관 준공 1984 규모 지상 5층 용도 문과대학 면적 5,060㎡, 약 1,533평
문과대학 소재 건물이었다. 단대부고, 단국공고, 단대부중이 강남구의 현 위치로 이동하면서 본래 단국공고로 쓰이던 건물을 개보수해 문학관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문학관 오른편(체육관측)에도 작은 쉼터가 있었는데, 뽀뽀동산이라 불렸었다. 서울캠퍼스 상경학관 준공 1981 규모 지하1층, 지상 3층 용도 상경대학 면적 3,500㎡, 약 1,060평
상경대학 건물이었다. 앞에 보이는 작은 쉼터의 이름은 '케인즈 공원'이라고 한다. 수정자본주의를 이끈 존 메너드 케인즈를 기리기 위해 붙였다고 한다. 당시 상경대학 학생들의 주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야 케인즈로 나와!"). 서울캠퍼스 교수회관 준공 1980 규모 지하1층, 지상 4층 용도 교수연구실 면적 1,804㎡, 약 546평
교수들의 연구실이 위치해 있었다. 본래 교수회관으로 쓰이던 동양학관 일부가 제2 공학관으로 쓰이면서 새로 지어지게 되었다. 18. 체육관(범정기념관) 서울캠퍼스 체육관 준공 1977 규모 지상 4층 용도 체육관 면적 4,507㎡, 약 1,365평
체육부와 체육교육과 학생들의 건물로 쓰였다. 설립자이신 범정 장형 선생의 건학정신을 기리고 개교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범정기념관이란 별칭을 붙였다. 19. 석주선 기념박물관 서울캠퍼스 석주선 기념박물관 준공 1980 규모 지하1층, 지상 3층 용도 대학박물관 면적 2,473㎡, 약 749평
1981년 고 난사 석주선 박사가 평생 수집한 3,365점의 유물을 단국대에 기증한 걸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후 석주선 박사는 1996년 타계 직전까지 석주선 기념박물관의 초대 관장을 역임하였다. 석주선 박사의 기증과 관리 아래 단국대 박물관은 전통복식 분야의 독보적인 위상을 구축하였는데 그 산물이 바로 석주선 기념박물관이다. 1990년 중앙박물관과 통합되었다. 그 이래로 고고와 복식분야 모두 함께 전시되어 있다. 죽전캠퍼스 박물관도 마찬가지로, 한 건물에 관만 달리하고 같이 전시되어 있다. 2001년 제1종 종합박물관(문화관광부)으로 등록되었다. 또한 같은 해 문화기반시설 박물관 부분(문화관광부) 장려상을 수상 하였다. 2004년 4월서울 세계박물관 대회(ICOM)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죽전캠퍼스 이전 후 석주선 기념박물관으로 신축되었다. 난파기념 음악관 준공 1984 규모 지하1층, 지상 3층 용도 음악대학 면적 5,671㎡, 약 1,718평 서울캠퍼스 홍난파 흉상
음악대학 소속 건물이었다. 현재 죽전캠퍼스의 난파 음악관과 마찬가지로 홍난파를 기리기 위해 난파기념 음악관이라 불렸다. 죽전캠퍼스에 있는 홍난파 상은 서울캠퍼스에 있던 것을 홍난파 동요 악보 원판, 자필 악보, 유품과 함께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서울캠퍼스 미술관 준공 1990 규모 지하1층, 지상 4층 용도 예술조형대학 면적 4,032㎡, 약 1,221평
예술조형대학 소속 건물이었다. 어째 박물관부터 음악관, 미술관까지 건물 디자인이 다 똑같은 것 같다22. 체육부 기숙사 서울캠퍼스 체육부 기숙사 준공 1985 규모 지하1층, 지상 3층 용도 체육부 기숙사 면적 2,297㎡, 약 696평
운동부 기숙사였다. 이외에도 교내에 고시반 학생들을 위한 법선재라는 작은 기숙사가 3개정도 존재하였다. 교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과 교수들을 위한 별도의 작은 기숙사가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확인할 수가 없다. 흡사 군대 생활관(구 막사)과 비슷하다. 서울캠퍼스 인공폭포
캠퍼스 내에 조성된 인공폭포이다. 도서관에서 문과대가는 길로 올라가다보면 문과대 옆에 있었다. 죽전캠퍼스에 폭포공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알고보면 죽전캠은 전체적으로 서울캠의 전통을 잇는 요소 거리가 굉장히 많다. 다만 그걸 학생들이 모른다는 게 문제). 서울캠퍼스 곰상 준공 1980.03
서울캠퍼스에 있던 곰상이다. 현재 죽전캠퍼스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 79년부터 당시 학도호국단을 중심으로 대학의 상징인 곰상을 건립하자는 움직임이 일어 <단국인의 상 정립위원회>가 결성됐으며 이윽고 80년 3월 3일 곰상을 건립하기에 이르렀다. 곰상의 제작은 당시 문리대에 출강하던 조각가 안찬주 교수가 맡았다. 안 교수는 한국 반달곰을 기준삼아 79년 6월부터 작업에 착수했는데 곰상 자체의 실형은 2m50cm이며 총높이는 6m이다. 곰상 주변에서 분수가 함께 틀어졌다. 분수 줄기가 마치 비데처럼 곰의 엉덩이로... 서울캠퍼스 범은정 준공 1976.11
범정선생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1976년 9월에 기공되어 개교기념일인 11월 3일에 준공되었다. 역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에도 정자가 있다. 대표적인 약속장소였다.6시까지 은정이네 집으로. 26. 각종 기념탑과 조형물 4.19 기념탑 준공 1988.04
도서관 진입로 옆, 본관 좌측에 마련되어 있던 4.19 혁명 기념탑이다. 1988년에 4.19혁명 28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기념탑의 크기는 가로 6m, 세로 8m이고, 높이는 탑받침 40cm, 탑단 10cm, 탑신 90cm이며, 탑의 앞면에 "사월항쟁 계승하여 민족자주통일의 길로!"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현재 죽전캠퍼스 혜당관 우측에 위치한 4.19 기념탑 역시 서울캠퍼스에 가져온 것이다. * 도서관에서 신관으로 가는 길목에 마련된 신동엽시인 시비이다. 단국대 사학과를 졸업해 '껍데기는 가라'를 쓰신 신동엽 시인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 뒷면에는 시인의 대표시인 '껍데기는 가라'가 새겨져 있다.
* 현재 이것은 죽전캠퍼스 상경관 앞에 세워져 있다.
서울캠퍼스 도약상
* 현재 죽전캠퍼스 체육관 앞에 세워져 있다.27. 캠퍼스 갤러리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