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14:25:19

대구로페이

1. 대구로페이
1.1. 연혁
2. 사용업소 및 제한업소

1. 대구로페이

문서가 존재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목록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000><colbgcolor=#000,#aaa>
전국 공통 대행사
대행사 파일:코나아이 CI.svg 파일:KT 로고.svg 파일:한국조폐공사 CI_상하.svg
목록 코나카드/지역사랑상품권 그리고 착한페이 지역상품권 Chak
지방자치단체 주관 지역사랑상품권
광역
단위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서울사랑상품권 그래서울 경기지역화폐 인천e음 동백전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상생카드 여민전 대전사랑카드 대구로페이 탐나는전
기초
단위
파일:노원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노원구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동구 파일:군산시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파일:부여군 CI_White.svg 충청남도 부여군
노원 대덕 e로움 e바구페이 군산사랑상품권 굿뜨래페이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경기도 김포시
김포페이
}}}}}}}}} ||
파일:daeguropay.jpg
운영 대행사 대구은행
주관 대구광역시
사용처 대구광역시 소재 전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clearfix]

2023년 2월에 폐지된 대구행복페이를 뒤로 하고, 2023년 7월 3일에 대구로페이가 정식 출범했다. BIN 체계는 대구행복페이와 동일하다.

원칙적으로는 실물카드를 발급할 수 없으나, 고령층의 반발을 의식해서 만 65세 이상 사용자 한정으로 대구은행에서 IC 실물 카드를 발행해 준다. 하지만 QR코드 결제를 지원하는 가게가 매우 적다는 점에 있어서, 실물 카드가 없는 65세 미만 사용자들은 일반 상점에서 결제할 때 난항을 겪고 있다.

할인율은 7%로 줄었다. 충전은 기존과 같이 "IM샵" 앱을 이용하면 되지만, 결제는 IM샵 앱의 QR코드 기능을 이용하거나 IM샵 앱에 있는 카드 관련 번호를 갖고 와서 내수용 삼성 페이네이버페이 등에 등록해서 사용해야 한다.

QR 결제만 되게 해야 소비자가 가게에 QR코드 결제 안되냐고 닦달할 것이고, 그래야 가게들이 QR코드 결제 기능을 도입할 것이라는 대구광역시 경제정책관의 인터뷰를 고려하면 이 정책은 탈 IC결제를 위해 의도된 것이며, 따라서 IC카드 확대 도입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출범 한달 이후 기사에서는 충전 후 사용률은 44%밖에 되지 않으며, QR코드 결제가 가능한 상점은 5% 미만으로 드러났다.[1]

내수용 삼성 페이(MST)를 지원하지 않는 휴대폰이거나 아이폰 사용자들은 비씨카드앱카드페이북 앱을 이용하면 QR 결제 말고도 NFC(JUSTOUCH) 결제도 가능하다. 네이버페이페이코같은 간편결제 플랫폼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카카오페이는 아직 안 된다. 네이버페이 내 MST 결제(네이버페이 삼성 페이)도 연동이 가능하다.[2]

다만 편의점이나 프랜차이즈[3] 상점을 제외하면 동네 마트 등지에는 QR이든 RF(NFC)든 둘 다 지원하지 않는 가게가 훨씬 많은 점이 문제. Apple Pay가 공식 런칭하면서 일반 개인 가게에도 RF(NFC) 결제 단말기가 점차 보급되고 있긴 하나, 아직은 보급 속도가 느리다.[4]

1.1. 연혁

현재 상태는 볼드체
일자 월간 충전한도 최대 충전한도 할인율 비고
2023-07-03 50만원 60만원 7% 정식 출범
2023-09-01 100만원 150만원 7% 추석 특판
2023-10-01 50만원 60만원 7%
2023-11-20 충전불가 예산소진
2023-12-01 50만원 60만원 7% 예산확보
2023-12-04 충전불가 예산소진
2024-02-01 30만원 60만원 7% 예산확보
2024-03-04 30만원 40만원 7%
2024-03-07 충전불가 3월 예산소진
2024-04-01 30만원 40만원 7%
2024-04-02 충전불가 4월 예산소진
2024-05-02 30만원 40만원 7% [5]
2024-05-02 충전불가 5월 예산소진
2024-06-03 30만원 40만원 7%
2024-06-03 충전불가 6월 예산소진
2024-07-01 30만원 40만원 7% [6]
2024-07-01 충전불가 7월 예산소진
하루도 안돼서 다털린다

2. 사용업소 및 제한업소

지역사랑상품권 치고는 굉장히 사용 범위가 넓은 편이며, 일부 전국단위 프랜차이즈도 대구지점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음식점이라는 카테고리 안에 KFC, 버거킹, 롯데리아, 맥도날드같은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카페 프랜차이즈 중에서도 스타벅스[7]는 사용이 불가능한 반면[8], 투썸플레이스, 카페베네, 빽다방은 사용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프랜차이즈는 대기업 직영일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 프랜차이즈에서 사용할 때는 홈페이지에서 한번 찾아보고 들어가야 나중에 귀찮은 일이 생기지 않는다.

대구광역시 관외 타 지역에서는 이용 불가[9]하며, 온라인업종,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사행성 업종 등의 일부 업종은 사용이 제한된다. 온라인에서는 대구 지역 배달 앱인 "대구로" 및 대구 지역 택시호출 앱인 "대구로택시" 앱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대구행복페이 #==
2020년 6월 3일부터 2023년 1월까지 전자카드 형태로 대구광역시 최초로 운영되지역화폐. 대구은행을 운영 대행사로 선정해 출시하는 대구광역시 주관의 대구 지역 전용 지역사랑상품권. 2023년 2월부터 충전이 정지되었고[10], 2023년 7월 3일부터 대구행복페이와 유사한 대구로페이 서비스가 개시됐다.

==# 상세 #==
파일:대구행복페이.jpg
파일:daelgo_top.png
운영 대행사 대구은행
주관 대구광역시
사용처 대구광역시 소재전역
운영중단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11]
[clearfix]

대구행복페이란 이름은 2020년 3월에 시민 공모전을 거쳐서 당선된 것으로 6월 3일에 발행됐다.

대구행복페이는 대구광역시 관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화폐 카드로, 무기명 충전식 선불카드다.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는 30%이며 충전시 7% 즉시할인 혜택(대구광역시의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제공한다. 연 매출 10억 원 이하의 일반 가맹점에 결제 수수료 전액을 지원한다. 출시 기념으로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10% 즉시할인 혜택을 제공하였다.

발행한지 3일 뒤인 6월 6일에 하루에만 23억 8,000만 원이 발행되면서 누적 충전금액이 56억 8,000만 원에 도달했다. 발행 첫날에만 10억 6,000만 원 ,2일차에는 22억 4,000만 원이 충전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구광역시는 2,000억 원의 대구행복페이를 추가 발행하겠다고 밝혔다.

발행 1달 만인 7월 초 누적 충전 금액 582억 7,756만원을 달성하였다. 2020년 10월 4일 기사에서 대구광역시가 밝힌 바에 따르면 10월 초 예산 조기 소진이 예상되며 9월 28일 기준 총 판매금액 2,893억 4,484만원, 카드 발급건수 28만 8,205건을 기록하였다.

2020년 7월 20일 기사에 따르면, 연령대별로 40~50대가 전체 발급건수의 50%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달서구(24.7%), 수성구(21.8%), 북구(16.4%)로 발급건수가 높았다. 업종별로는 음식점과 정육 및 농축수산점(32.2%)에서 가장 많이 사용됐다. 병·의원과 약국(17.9%), 슈퍼마켓과 편의점(14.1%), 학원·교육(10.5%) 등도 주요 사용처였다.

2020년 8월 31일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지원하는 '대구희망지원금'도 대구행복페이로 지원받을 수 있다. 9월 13일 기준으로 지원금을 신청한 217만 1,800명 중에 8.8%인 21만 4,147명이 대구행복페이로 지원금을 신청했다.

2020년 10월 6일, 공식 홈페이지에 2020년 집행예산 3,000억 원이 모두 소진되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기존에 충전한 금액은 이용 가능하다. 2021년에는 1조 원 수준으로 예산을 편성했다.

2021년 1월 1일부터 다시 충전이 시작되었다. 집행 예산이 1조 원으로 확대 편성되었고, 할인율도 10%를 유지한다.

2021년 10월 20일, 대구광역시의 발행 한도가 모두 소진되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대구광역시는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맞아 2021년 11월 1일부터 대구행복페이를 800억원 규모로 추가 발행하기로 하였다. 추가 발행분은 첫 날부터 사용자가 몰려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 2021년 11월 5일, 추가 발행분이 전액 소진되었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기존에 충전한 금액은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1월 1일부터 다시 충전이 가능해진 대구행복페이는 2021년과 동일하게 1인당 월 구매 한도 50만원, 10% 할인이 적용된다. 연간 예산 규모 또한 작년과 동일하게 1조원 규모이나 조기 예산소진을 막기 위해 월 1천억원 상한을 두기로 했다. #

2022년 1월 1일부터 다시 충전이 시작되었다.

2022년 3월 17일부터 삼성 페이 이용이 가능해졌다.

2022년 5월 1일부터 충전 한도가 월 30만 원(기존 월 50만 원)으로 감소하였다.

2022년 6월 24일부터 IC칩이 내장된 대구행복페이 발급을 시작하였다. 기존 사용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대구은행 영업점 창구에서 교환발급할 수 있다.[12]

2022년 9월 19일 기준으로 예산 소진으로 인해 충전이 불가능하고, 지역 화폐에 대한 국비 지원이 중단되어 내년에 사용이 가능할지는 불투명하다. 설령 시 예산으로 충전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할인율이나 충전 한도가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2023년 1월 16일에 새해가 되면서 충전이 재개되었는데,1인당 월 구매 한도는 30만 원, 총 충전 한도는 80만 원이며, 할인율도 5%로 내려갔다. 그마저도 2월 무기한 중단을 알리며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고, 대구행복페이를 더이상 충전할 수 없게 변경되어 사실상 서비스가 종료되었다.(잔액은 사용가능)

===# 발급 및 사용 #===
카드 발급은 신분증을 지참하고 대구은행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대구은행 셀프창구(무인 키오스크)를 통해 발급할 수 있다. 창구든 키오스크든 대구은행 계좌가 없어도 발급 가능하며, 본인 카드만 발급받을 수 있다. 키오스크 발급시 휴대폰 본인인증과 계좌입금 인증이 추가로 필요하며, 기존 MS식 카드로 발급된다. 전술했듯이 IC칩이 장착된 신형 카드는 대구은행 창구로 가야 한다.

선불카드이기 때문에 금액을 충전해야 사용이 가능한데, 스마트폰 앱(IM샵안드로이드 폰, 아이폰) 앱을 내려받아 회원 가입 후 카드를 등록하여 연결된 계좌[13]로 충전하거나 대구은행 영업점에서도 충전할 수 있다. 단, 충전 취소는 충전한 당일에 한해서만 가능하니 주의하자.[14]

만 14세 이상이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가입비나 연회비, 재발급 수수료가 없다.

대구광역시청에서 제공한 긴급생계자금 선불카드와 동일한 BC 선불카드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LG 페이에는 등록 및 사용이 불가능하고 LG페이 또한 2024년 7월 31일부터 완전히 종료되었다. ISP/페이북 앱에서는 등록 및 사용[15]이 가능하다. 페이코는 등록이 가능하나 MST만 사용이 가능하고, 결제하더라도 결제 내역이 나오지 않고 적립도 되지 않고 2023년을 마지막으로 페이코의 MST 결제 서비스는 종료되었다. 국내용 삼성 페이의 경우 2021년 11월 대구광역시와 삼성전자가 대구행복페이 지원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으며, 2022년 3월 17일 자로 사용이 가능해졌다.

비씨카드 기반 선불카드이기 때문에, BIN은 9460으로 시작한다. 대구로페이도 BIN 체계는 동일하다.


[1] 계산대에 "QR Pay"라고 안내문과 함께 QR코드가 있어야 이거를 찍어서 계산할 수 있다.[2] 이를 따로 언급하는 이유는, 네이버페이 MST 사용이 안 되는 카드가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카드로 신한 신세계 체크카드, 신한 마이 홈플러스 체크카드, 하나 비바G 체크카드, 농협 GS리테일 체크카드, KB국민 나라사랑카드, iM뱅크 아시아나클럽 이코노미 체크카드(단종) 등이 네이버페이 MST 사용이 안 되는 체크카드다.[3] 애플페이 공식 가맹점(빽다방, 메가커피, 맥도날드 등)에서는 페이북 앱을 통해 대구로페이 NFC 결제가 가능하다.[4] 이는 카드사들이 MONETA, K-merce, bankON 때문에 EMV Contactless를 포함한 NFC를 은폐해서 멀티 패드까지 덩달아 보급이 지연되어 버렸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비접촉 결제 서비스 탑재에 적극적인 우리카드가 최근 EMV Contactless를 홍보하고 있으며, 동반위의 《신용카드 영세가맹점 지원사업》이 있긴 하지만 업력 2년 이상, 연매출 30억 원 이하 가맹점만 지원 대상에 포함되어 있다.[5] 5월 1일은 노동절이라 5월 2일부터 충전이 가능하다.[6] 온라인 오전 8시, 오프라인 오전9시 10분 마감.[7] 스타벅스는 전국 매장이 100% 직영점으로만 운영되어 본사 소재지인 서울특별시 소재로 인식되기 때문이다.[8] 서울특별시를 포함(대기업 프랜차이즈 사용 제한, 단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은 소재지 지역화폐 가능) 모든 지역화폐 사용 불가[9] 특히 시지지구-경산시처럼 시 경계를 넘어 생활권이 연결되어 있는 지역이라면 주의하자. 평소 행복페이를 잘 이용하다가 결제가 되지 않는다면, 일단 매장의 소재지 주소부터 확인해 보아야 한다.[10] 잔액은 사용 가능.[11] 주소는 대구행복페이로 되어 있는데, 정작 대구로페이 사이트로 변경되었다.[12] IC칩이 내장된 대구행복페이는 대구은행 셀프창구(키오스크)에서는 발급이 불가하고, 반드시 대구광역시 소재 대구은행 영업점을 방문해야 한다. 발급 시 영업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하며, 사용중인 MS카드(기존 대구행복페이)가 존재하는 교체발급자의 경우 사용중인 MS카드와 신분증을 함께 지참하여 영업점에 방문하면 IC칩이 내장된 대구행복페이로 교체 발급을 받을 수 있다. 교체발급 시 기존의 대구행복페이(사용 중인 MS카드)는 반납되고, 잔액은 이전된다. 소득공제 정보도 교환발급 때 이전된다.[13] 대구은행을 비롯한 일반 시중은행, 증권사, 상호금융(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 우체국예금 계좌 다 이용할 수 있다.[14] 앱을 통한 충전 건은 앱에서, 대구은행 영업점을 통한 충전 건은 영업점에서 충전 취소가 가능하다.[15] JUSTOUCH, EMV Q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