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30 18:58:31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지역예선


1. 개요2. 역대 월드컵 지역예선 참가 및 성적3. 각 대회 지역예선 별 전적 요약4. 시기별 경기 상세 내용 정리
4.1. 1954 스위스 ~ 1978 아르헨티나 (16개국 진출 체제)4.2. 1982 스페인 ~ 1994 미국 (24개국 진출 체제)4.3. 1998 프랑스 ~ 2022 카타르 (32개국 진출 체제)4.4. 2026 미국-캐나다-멕시코 ~ (48개국 진출 체제)
5. 기록 정리
5.1. 선수 관련 기록
5.1.1. 최다 출전 선수5.1.2. 최다 득점 선수5.1.3. 최다 무실점 골키퍼
5.2. 전적 관련 기록
5.2.1. 지역별 전적5.2.2. 국가별 전적5.2.3. 홈 & 어웨이별 전적
6. 여담 및 특이사항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치뤄온 역대 FIFA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에 관련한 정보를 모아둔 문서

2. 역대 월드컵 지역예선 참가 및 성적

대회 결과 티켓 수 경기 득점 실점 비고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독립 이전(일본 제국령 조선)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38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 불참(6·25 전쟁)[1]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본선 진출 1장[2] 2 1 1 0 7 3 [3]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불참(지역 예선 참가 신청서 분실)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62 대륙간 PO 탈락 0.5장 4 2 0 2 6 9 [4]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66 기권[5]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1라운드 탈락 0.5장 4 1 2 1 6 5 [6]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최종예선 탈락 8 3 4 1 10 4 [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12 5 6 1 16 9 [8]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1라운드 탈락 1.5장[9] 3 2 0 1 7 4 [10]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본선 진출 2장[11] 8 7 0 1 17 3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11 9 2 0 30 1 [13]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4 13 9 3 1 32 5 [14]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98 3.5장[15] 12 9 2 1 28 8 [16]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02 - 개최국 자격 예선 면제
파일:독일 국기.svg 2006 4.5장 12 7 3 2 18 7 [1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14 7 7 0 22 7 [18]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14 8 3 3 27 11 [19]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 18 12 3 3 38 10 [20]
파일:카타르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2 16 12 3 1 35 4 [21]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26 최종예선 진행중 8.5장[22] 6 5 1 0 20 1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 ? ? ? ? ? ?
합계 참가 15회 / 진출 10회[23] 157 99 40 18 319 91 [24]

3. 각 대회 지역예선 별 전적 요약

대회 단계 경기 상대 및 결과
1954 예선 13조[25]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5:1 (A) 2:2 (A)[26]
1962 AFC 예선[27]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1 (H) 2:0 (A)
대륙간 PO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1:5 (A)[28] 1:3 (H)
1970 1차예선[29]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2:2 (H) 1:2 (H) 2:0 (H) 1:1 (H)
1974 1차예선 A조[30]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4:0 (H) 0:0 (H) 0:0 (H) 3:1 (H) 1:0 aet (H)
최종예선[31]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0:0 (A) 2:2 (H) 0:1 (-)[32]
1978 1차예선 2조[3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0:0 (A) 3:1 (H) 0:0 (A) 1:0 (H)
최종예선[34]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1:0 (A) 0:0 (H) 1:2 (A) 1:0 (H) 0:0 (H) 2:2 (A) 2:2 (A) 5:2 (H)
1982 1차예선 3조[35]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1 (-) 5:1 (-) 0:2 (A)
1986 동아시아 3조[36]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 (A) 0:1 (A) 4:0 (H) 2:0 (H) 2:0 (H) 4:1 (A)
최종예선[37]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1 (A) 1:0 (H)
1990 1차예선 4조[38]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3:0 (H) 9:0 (H) 3:0 (H) 4:0 (-) 3:0 (-) 3:0 (A)
최종예선[39]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0:0 (-) 1:0 (-) 1:0 (-) 2:0 (-) 1:1 (-)
1994 1차예선 D조[40]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0:0 (-) 1:0 (A) 3:0 (-) 3:0 (-) 4:1 (H) 2:0 (H) 7:0 (H) 3:0 (H)
최종예선[41]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3:0 (-) 2:2 (-) 1:1 (-) 0:1 (-) 3:0 (-)
1998 1차예선 6조[42]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2:0 (A) 3:1 (A) 4:0 (H) 0:0 (H)
최종예선 B조[43]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3:0 (H) 2:1 (H) 2:1 (A) 3:0 (H) 1:1 (A) 5:1 (A) 0:2 (H) 3:1 (A)
2006 2차예선 7조[44]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2:0 (H) 0:0 (A) 2:0 (H) 2:1 (A) 1:1 (A) 2:0 (H)
최종예선 1조[45]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 (H) 0:2 (A) 2:1 (H) 1:1 (A) 4:0 (A) 0:1 (H)
2010 3차예선 3조[46]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4:0 (H) 0:0 (A)[47] 2:2 (H) 1:0 (A) 3:1 (A) 0:0 (H)
최종예선 B조[48]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1:1 (A)[49] 4:1 (H) 2:0 (A) 1:1 (A) 1:0 (H) 2:0 (A) 0:0 (H) 1:1 (H)
2014 3차예선 2조[50]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6:0 (H) 1:1 (A) 2:1 (H) 2:0 (A) 1:2 (A) 2:0 (H)
최종예선 A조[51]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4:1 (A) 3:0 (H) 2:2 (A) 0:1 (A) 2:1 (H) 1:1 (A) 1:1 (H) 0:1 (H)
2018 2차예선 G조[52]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2:0 (A) 8:0 (H) 3:0 (A) 1:0 (A) 4:0 (H) 5:0 (A) 1:0 (H) 3:0 몰수
최종예선 A조[53]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3:2 (H) 0:0 (A) 3:2 (H) 0:1 (A) 2:1 (H) 0:1 (A) 1:0 (H) 2:3 (A) 0:0 (H) 0:0 (A)
2022 2차예선 H조[54]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2:0 (A) 8:0 (H) 0:0 (A) 0:0 (A) 5:0 (H) 취소 5:0 (H) 2:1 (H)
최종예선 A조[55]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0:0 (H) 1:0 (H) 2:1 (H) 1:1 (A) 1:0 (H) 3:0 (A) 1:0 (A) 2:0 (A) 2:0 (H) 0:1 (A)
2026 2차예선 C조[56]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5:0 (H) 3:0 (A) 1:1 (H) 3:0 (A) 7:0 (A) 1:0 (H)
최종예선 B조[57]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 (H) -:- (A) -:- (A) -:- (H) -:- (A) -:- (A) -:- (H) -:- (H) -:- (A) -:- (H)

4. 시기별 경기 상세 내용 정리

4.1. 1954 스위스 ~ 1978 아르헨티나 (16개국 진출 체제)

4.2. 1982 스페인 ~ 1994 미국 (24개국 진출 체제)

4.3. 1998 프랑스 ~ 2022 카타르 (32개국 진출 체제)

4.4. 2026 미국-캐나다-멕시코 ~ (48개국 진출 체제)

5. 기록 정리

5.1. 선수 관련 기록

5.1.1. 최다 출전 선수

5.1.2. 최다 득점 선수

5.1.3. 최다 무실점 골키퍼

5.2. 전적 관련 기록

5.2.1. 지역별 전적

5.2.2. 국가별 전적

5.2.3. 홈 & 어웨이별 전적

6. 여담 및 특이사항


[1] 개막전과 동시에 전쟁이 시작되었다.[2] 1978월드컵까지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단 16자리 월드컵이었다.[3] 첫 진출, 16개국 본선 진출, 아시아 독립국 첫 진출[4] 첫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5] 당시 북한이 워낙에 강해서 패하면 국가 망신이라는 높으신 분들의 지시로 아예 기권. 남북 체제 경쟁의 병림픽이 극에 달하던 시기였다. 이로 인해 대한축구협회FIFA로부터 5천 달러라는 거액의 벌금을 물게 되었다. 그리고 북한은 이 대회에서 아시아 최초의 FIFA 월드컵 8강 진출(8위)이라는 대업을 세웠다.[6] 사상 첫 예선 1라운드 탈락. 모든 경기를 서울 동대문운동장에서 치뤘음에도 호주에게 밀려 탈락했다.[7] 사상 첫 동률 플레이오프 3차전 치룸. 역시 1차예선을 모두 서울에서 개최했고, 최종예선 호주와의 홈 앤드 어웨이 플레이오프에서 2무승부, 당시 골득실을 따지지 않았던 룰에 의해 3차전을 홍콩에서 가져 0-1로 패배하고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8] 최종예선이 5개국 풀리그 형태로 확장되었다. 1차예선 2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한 이후 이란, 쿠웨이트, 홍콩, 호주와 홈 앤드 어웨이로 최종예선을 펼친 끝에 이란에 승점 4점이 뒤진 2위로 본선 진출권 획득에 실패했다.[9] 마지막 아시아 + 오세아니아 합동예선으로 월드컵 티켓이 단 2장이었으며, 1994월드컵까지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단 24자리 월드컵이었다.[10] 현재까지 참가한 월드컵에서 마지막으로 예선 1라운드에서 탈락한 사례. 당시 쿠웨이트에서 싱글 풀리그로 진행된 1차예선에서, 개최국 쿠웨이트의 도 넘은 편파판정 속에 쿠웨이트에게 0-2로 지면서 조 2위에 그쳐 최종예선 진출에 실패했다.[11] 아시아 단독 티켓으로 바뀜[12] 32년만의 월드컵 본선 재진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아시아 예선이 동아시아-서아시아로 분리되어 진행된 예선으로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배정된 1장의 티켓을 획득했다.[13] 사상 첫 월드컵 연속 본선 진출 성공. 또한 1954 스위스 월드컵 이후 36년만에 무패로 본선에 진출했다.[14] 3회 연속 월드컵 본선진출 성공. 우리에겐 도하의 기적으로 각인된 예선이다.[15] 2022월드컵까지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32자리 월드컵이었다.[16] 차기 월드컵 개최국으로서 5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최종예선이 2개조 규모로 확장된 첫 예선으로 대한민국이 B조 1위로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17] 6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하지만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에서 2패를 당하고 본선에 진출한 대회다. 이 때부터 아시아 1차예선과 2차예선이 세분화되며 대한민국은 2차예선부터 경쟁을 시작했다.[18] 7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또한 1990 이탈리아 월드컵 지역예선 이후 20년만에 무패로 아시아 예선을 통과한 대회다. 예선이 한 층 더 세분화되어 대한민국은 3차예선부터 경쟁을 시작했다.[19] 8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그러나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예선에서 3패를 허용한 예선, 사상 처음 2개조로 치뤄지는 최종예선에서 조 2위로 본선에 턱걸이한 예선 등 여러 불명예스런 기록을 양산한 예선이다.[20] 9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2차예선부터 시작했으며, 8전 전승을 기록한 2차예선과 다르게 최종예선에서 4승 3무 3패로 역대 최악의 퍼포먼스를 보여 겨우 본선에 턱걸이한 예선이다. 2개 대회 연속으로 아시아 예선에서 3패를 허용했으며 최종예선에서 두 대회 연속 조 2위를 기록한 대회다.[21] 10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 성공. 지난 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차예선에서 같은 조에 편성되었던 북한이 코로나를 이유로 예선 도중 기권해 이미 소화했던 북한과의 원정경기 0-0 무승부 기록은 삭제되었다. 1990년, 2010년에 비견될 정도로 압도적으로 편안했던 예선으로 꼽힌다. 하지만 최종전 패배로 무패 통과와 조 1위 통과를 아깝게 놓쳤다.[22] 2026월드컵부터 전세계 지역예선에서 본선 월드컵에 들어 갈 자리가 48자리로 확장되어 치뤄지는 첫 예선으로 최종예선에 해당하는 3차예선이 2개조에서 3개조 규모로 늘어났다. 진출권이 늘어난 만큼 각 조의 2위까지 본선에 직행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2024년 6월 현재 대한민국은 최종예선에 진출해있는 상태다.[23]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참여하지 않고 본선에 직행한 2002 FIFA 월드컵은 제외했다.[24] 2024년 6월 기준.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 통산 기록 1위[25] 이 당시에는 현재처럼 지역 연맹별로 철저히 예선을 구분하지 않고 지정학적 위치로만 대강의 예선 조를 편성했다.[26] 원래대로였으면 홈 경기로 치뤘어야 했으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일본인 선수단의 입국을 절대 허가하지 않겠다는 으름장을 놓는 바람에 2경기 모두 일본에서 치뤘다.[27] 3개국 참가 풀리그였다. 그러나 인도네시아가 기권하며 다시 한 번 일본과의 2연전으로 예선을 치뤘다.[28] 월드컵 예선 참가 첫 패배[29] 호주, 일본과 함께 더블 풀리그로 2라운드 진출 한 팀을 가렸다. 당시에는 예선도 개최국을 선정해 한 국가에서 모여 치뤄 대한민국이 모든 1라운드 예선을 개최했다.[30]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태국과 함께 A2조에 속해 싱글 풀리그로 조 2위까지 2라운드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A1조와 A2조의 1,2위가 크로스 토너먼트를 벌여 최후의 한 팀만이 최종예선에 나선다. 이번에도 대한민국이 예선 유치에 성공해 A조 전체의 모든 경기를 동대문운동장에서 개최했다.[31] A조와 B조의 최종 승자가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어 1장의 티켓을 가린다. 만일 동률일 경우 제3국에서 3차전을 가진다.[32] 홍콩 개최[33] 참가국이 대폭 늘어나 5개 조로 나뉘어 더블 풀리그를 벌이고 각 조의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34] 각 조 1위 5개국이 홈 앤드 어웨이로 팀 당 8경기를 가지며 최종 1위만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35] 쿠웨이트, 태국, 말레이시아와 한 조에 묶였고, 개최지 쿠웨이트에서 싱글 풀리그로 진행됐다.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했다.[36] 네팔, 말레이시아와 한 조에서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3A조와 3B조 1위가 이후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최종예선 진출팀을 가렸다.[37] 4조 승자인 일본과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었다.[38] 각 조 1위 6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차 라운드 로빈은 대한민국, 2차 라운드 로빈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다.[39] 각 조 1위 6개국이 중립지 싱가포르에서 모여 싱글 풀리그를 진행해 1,2위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40] 각 조 1위 6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 1차 라운드 로빈은 레바논, 2차 라운드 로빈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다.[41] 각 조 1위 6개국이 중립지 카타르에서 모여 싱글 풀리그를 진행해 1,2위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42] 각 조 1위 10개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완전한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진행되었다.[43] 조 1위 10개국이 5개국씩 2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 1위는 본선 직행, 각 조 2위는 플레이오프를 치른다.[44] FIFA 랭킹에 따라 하위권은 1차 예선을 치르고, 2차예선부터 아시아 강팀들이 참가했다. 대한민국도 2차예선부터 참가했으며 각 조 1위 8개국만이 최종예선으로 향했다.[45] 조 1위 8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46] FIFA 랭킹 아시아 최상위 5개국은 3차예선으로 직행하며 나머지 팀들은 1,2차 예선을 진행한다. 3차예선은 20개국이 4개국씩 5개조로 나뉘어 각 조 1,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47] 중국 중립경기로 진행[48] 3차예선 통과 국 10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49] 중국 중립경기로 진행[50] FIFA 랭킹 아시아 최상위 5개국은 3차예선으로 직행하며 나머지 팀들은 1,2차 예선을 진행한다. 3차예선은 20개국이 4개국씩 5개조로 나뉘어 각 조 1,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51] 3차예선 통과 국 10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52] 1,2차 예선이 1차예선으로 간소화되고 2차예선 또한 40개국이 참여하는 규모로 확장되었다. 40개국은 5개국씨 8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치르고 각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각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4개국이 추가로 최종예선에 진출한다.[53] 3차예선 통과 국 12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54] 대한민국은 2차예선부터 시작한다. 2차예선은 40개국이 5개국씨 8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2020년부터 COVID-19의 범유행으로 인해 예선이 잠시 중단되었고, 결국 각 조의 잔여 경기를 한 국가에서 몰아 개최하는 방식으로 재개되었다. 따라서 2차 라운드 로빈 경기는 대한민국에서 모두 개최되었다. 각 조 1위는 최종예선 직행, 각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4개국이 추가로 최종예선에 진출한다.[55] 3차예선 통과 국 12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56] 대한민국은 2차예선부터 시작한다. 출전권이 확장됨에 따라 2차예선 36개국은 4개국씩 9개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더블 풀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 2위가 최종예선에 진출한다.[57] 3차예선 통과 국 18개국이 3개조로 나뉘어 조별 더블 라운드 풀리그를 진행하고 각 조 1,2위는 본선 직행, 조 3위, 4위는 플레이오프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