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2:12:37

던전 관리인/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던전 관리인
던전 관리인 (2024)
ダンジョンの中のひと
Dungeon People
파일:던전 관리인 키 비주얼 1.jpg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b8a374,#76643d><colcolor=#ffffff> 장르 판타지, 던전
원작 후타미 스이(双見 酔)
감독 야마이 사야카
시리즈 구성 타케우치 토시미츠(竹内利光)
캐릭터 디자인 나카야마 유미(中山裕美)
미술 감독 카토 켄지(加藤賢司)
색채 설계 사토 나오(佐藤 直)
촬영 감독 사토 아츠시(佐藤 敦)
편집 우시로다 요시키(後田良樹)
음향 감독 타테이시 야요이(立石弥生)
음향 제작 부시로드 무브
음악 Pieru
LASTorder
음악 제작 유즈 뮤직(ユーズミュージック)
치프 프로듀서 하야시 히로유키(林 宏之)
하시라야마 타이스케(柱山泰佐)
모리시타 카츠지(森下勝司)
프로듀서 요시타케 신타로(吉武慎太郎)
하라다 레이(原田 零)
이시이 마사키(石井正記)
난바라 미츠히로(南原充宏)
카메이 히로시(亀井博司)
오오누키 유스케(大貫佑介)
마토리 미호(間取美帆)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요시오카 다이스케(吉岡大輔)
애니메이션 제작 OLM Team Yoshitaka
제작 제작위원회 관리인
방영 기간 2024. 07. 06. ~ 2024. 09. 28.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MBS/TBS(아니메이즘)
(토) 01: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일) 00: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평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던전 관리인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마이 사야카, 방영 시기는 2024년 7월.

2. 공개 정보

2023년 8월 17일,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

2.1. PV

<rowcolor=#ffffff> PV 제1탄 PV 제2탄
<rowcolor=#ffffff> 애니플러스 PV

2.2. 키 비주얼

파일:던전관리인_애니티저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3. 줄거리

안트무르그 던전에서 실종된 아버지를 쫓아 단독으로 던전에 도전해 온 도적 소녀 클레이.
탐색 끝에 드디어 전인미답인 지하 9층에 도달. 그리고 이어진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던전의 벽이 붕괴!
부서진 벽 안에서 나타난 것은... 관리인?!던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자아내는, 미궁 업무 판타지.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던전 관리인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5.1. OP

OP
マイクロレボリューション
마이크로 레볼루션
TV ver.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TrySail
작사 토쿠마루 료(徳丸 凌)
작곡
편곡 모가미 키요조라(最上清空)
카와시마 아키히로(川島章裕)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야마이 사야카
연출
작화감독 아베 유리(阿部祐里)
총 작화감독 나카야마 유미(中山裕美)
}}}}}}}}} ||

5.2. E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ブループリン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ED
ブループリント
블루 프린트
TV ver.
두사람의 파랑 edit ver.[1]
M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나나오아카리
작사 나유탄 성인
나나오아카리
작곡 나유탄 성인
편곡 Hajime Taguchi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시무라 조지(志村錠児)
연출
작화감독 키노시타 유키에(木下雪映)
총 작화감독 나카야마 유미(中山裕美)
}}}}}}}}}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ダンジョンの中に、ひと
던전 속에, 관리인
타케우치 토시미츠
(竹内利光)
야마이 사야카 시무라 조지
(志村錠児)
오오카와 시노부
(大河しのぶ)
오오노 미요
(大野美葉)
아베 유리
(阿部祐里)
나카야마 유미
(中山裕美)
쇼우지 야스카즈
(東海林康和)
日: 2024.07.06.
韓: 2024.07.07.
하이라이트
제2화 ダンジョンの仕事始め
던전 업무 시작
타카하시 시게하루
(高橋滋春)
누마야마 마유
(沼山茉由)
사이카
(斎花)
타카하시 마나
(高橋茉奈)
하타 아이코
(秦 相子)
후지 아야나
(藤 彩七)
타케우치 히로시
(竹内 寛)
엔도 리카
(遠藤里蘭)
에지마 아카리
(江島あかり)
카케다 센코
(懸田扇子)
코노 히토미
(河野仁美)
사토 타카
(佐藤 陵)
日: 2024.07.13.
韓: 2024.07.14.
하이라이트
제3화 氷狼の牙
얼음 늑대의 이빨
닛타 노리오 키노시타 유키에
(木下雪映)
야마가타 아키
(山縣亜紀)
李普螺
쿠와바라 마이
히로타 아카네
(廣田 茜)
사토 타카
코노 히토미
日: 2024.07.20.
韓: 2024.07.21.
하이라이트
제4화 シーフギルドとダンジョン
도적 길드와 던전
모리 타케시 이시이 노조미
(石井希美)
토시다 카즈유키
(土信田和幸)
시무라 타카유키
(志村隆行)
쇼우지 야스카즈
오오카와 시노부
日: 2024.07.27.
韓: 2024.07.28.
하이라이트
제5화 仕事仲間、家族
직장 동료, 가족
아카호시 마사나오
(赤星政尚)
타카하시 시게하루
(高橋滋春)
누마야마 마유 오오노 미요
아베 유리
나카야마 유미 日: 2024.08.10.
韓: 2024.08.11.
하이라이트
제6화 探索と料理
탐색과 요리
타케우치 토시미츠 모리 타케시 이무라 유마
(居村雄馬)
大暴龙
顾宏瑜
魏丽娟
高熠竹
阿菁
하마베 유키
(浜辺ゆき)
Triple A
拾月動画
图灵动漫制作有限公司
나카야마 유미
쇼우지 야스카즈
오오카와 시노부
히로타 아카네
사토 타카
쿠와바라 마이
코노 히토미
日: 2024.08.17.
韓: 2024.08.18.
하이라이트
제7화 モンスターの面接
몬스터 면접
아카호시 마사나오 닛타 노리오 키노시타 유키에
야마가타 아키
히로타 아카네
쿠와바라 마이
日: 2024.08.24.
韓: 2024.08.25.
하이라이트
제8화 模様替えと雇用
모양 바꾸기와 고용
타케우치 토시미츠 후쿠시마 히로유키
(福嶋宏之)
이시이 노조미 토시다 카즈유키
李普螺
시무라 타카유키
쇼우지 야스카즈
오오카와 시노부
日: 2024.08.31.
韓: 2024.09.01.
제9화 国王とダンジョンマスター
국왕과 던전 마스터
아카호시 마사나오 시무라 조지 오오노 미요
아베 유리
나카야마 유미
사토 타카
코노 히토미
日: 2024.09.07.
韓: 2024.09.08.
제10화 風切りの娘
바람 가르기의 딸
타케우치 토시미츠 아키야마 토모코
(秋山朋子)
누마야마 마유 후지 아야나
시미즈 료타
(清水椋大)
엔도 리카
야다 타츠야
(矢田起也)
사이카
紫灯珈
에지마 아카리
李普螺
히로타 아카네
쿠와바라 마이
日: 2024.09.14.
韓: 2024.09.15.
제11화 守らぬ者たち
지키지 않는 자들
아카호시 마사나오 닛타 노리오 야마가타 아키
토시다 카즈유키
시무라 타카유키
쇼우지 야스카즈
오오카와 시노부
日: 2024.09.21.
韓: 2024.09.22.
제12화 ダンジョンの中のひと
던전 관리인
타케우치 토시미츠 닛타 노리오
나가시마 아키코
(永島昭子)
이시이 노조미 나카야마 유미
쇼우지 야스카즈
오오카와 시노부
히로타 아카네
사토 타카
쿠와바라 마이
코노 히토미
오오노 미요
키노시타 유키에
아베 유리
日: 2024.09.28.
韓: 2024.09.29.

7. 평가

작화도 나쁘지 않고 성우들의 연기력도 부족함이 없다. 다만 15세 이용가치고는 유혈묘사가 꽤나 적나라하고 팔다리가 찢기거나 몸이 절반으로 갈라져 죽는 등 잔인한 연출에 있어서 가감이 없다. 또한 그에 걸맞게 주인공인 클레이와 벨 두 사람 모두 사람을 포함한 생명을 죽이는 것에 거리낌이 전혀 없으며 그 시체를 이용하거나[3] 하는 행위에도 일말의 도덕적, 윤리적 거부감을 보이지 않는다.

우선 애니메이션이 12화로 끝이 났는데 다룰 수 있는 내용에 한계가 있다곤 해도 너무나 많은 떡밥이 풀리지 않은 채 마무리 됐다. 애초에 가장 큰 떡밥이자 클레이가 던전에 들어가게 된 이유기도 한 클레이의 아버지의 행방, 아버지가 남긴 단검의 진짜 능력[4] 등이 있으며 클레이와 마찬가지로 작품의 주역을 맡고 있는 벨에 이르러선 존재 자체가 선대와 더불어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는 떡밥 덩어리다. 어째서 그렇게 강력한지, 선대와 어떤 관계였던건지, 왜 그렇게 윤리관이 망가져있는지[5] 등등 클레이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그 무엇도 제대로 설명되지 않은 채 애니메이션이 끝이 났다.

또한 기본적으로 12화의 내용을 차지하는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던전 관리인인 벨이 어떠한 업무가 있는지 설명해주고 이것을 클레이가 경험하거나 견학한다는 전개의 무한반복인지라 깊이감 있는 스토리나 짜임새 있는 세계관을 원하는 사람은 만족스럽게 보기 어렵다. 액션은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액션을 메인으로 보기는 힘들며[6], 일상물로 바라보더라도 중간중간 너무나도 잔인한 연출과 묘사가 발목을 잡는다. 그렇다고 시리어스한 전개를 보고자 한다면 그러한 전개는 주인공 둘의 먼치킨적인 면모에 의해 순식간에 해결되어버려 깊이감이 아예 없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이 애니메이션은 어떤 부분으로 바라보더라도 생각보다 제대로 된 니즈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꽤나 난해한 애니메이션이다.
[1] 12화[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대표적으론 시체를 좀비 등의 언데드로 만들어 던전용 몬스터로 사용하는 것이 있다.[4] 벨의 말에 따르면 해당 단검은 던전의 10층에서 나오는 단검이며 무기의 가치는 국보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라고 한다. 또한 일종의 봉인이 걸려있어 10층에 도달하여 자격을 증명하지 않은 사람이 사용하면 6~7층 정도에서 발견되는 무기와 비슷한 성능만 발휘한다고.[5] 선대가 던전에 미쳐있는 변태라는 설정과, 그에게 '귀족/왕족들은 압도적으로 때려눕혀서 말을 듣게 해라' 라는 등의 과격한 교육을 받아왔다는 묘사가 있어 이또한 클레이와 비슷하게 길러준 대상의 잘못된 교육관으로 인한 것이라 추측은 할 수 있겠으나 제대로 된 설명은 끝내 나오지 않았다.[6] 안그래도 짧은 12화로 구성된 분량중에서도 전투는 손에 꼽을 정도인데다 그마저도 주인공인 클레이가 극히 일부의 상황을 제외하면 단검 한 두개로 싸우는 시프라서 전투가 상당히 밋밋하고 박진감이 부족한 편이다. 그나마 화려하고 웅장한 마법으로 싸우는 벨이 있지만 벨은 클레이보다 훨씬 전투횟수가 적은데 심지어는 지팡이로 근접전을 해버려 작중 벨이 마법을 공격용으로 사용한 건 딱 두 번 밖에 없을 지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