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만화가 이상무의 대부분의 만화에 주인공으로 출연하는 캐릭터. 그 이유는 만화에 항상 독고탁을 넣으면 누가 기억하지 않을까 싶어서 그랬다고 한다. 캐릭터 디자인의 원형은 작가의 데뷔작인 노미호와 주리혜의 노미호로 짐작할 수 있다.2. 특징
독고가 성이고[1] 탁이 이름이다. 작명의 유래는 아이들이 "훈"이나 "철" 같은 강한 악센트의 이름을 좋아했던 걸 감안하여 강한 악센트를 주면서도 특이한 이름을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달려라 꼴찌"가 대인기였던 시절, 소년중앙에서 작가 인터뷰를 했을때 독고탁의 이름의 유래에 대한 질문에 작가 曰 "탁! 하고 고독을 날려 버리는 발랄한 소년"이라서 뒤집어서 "독고 탁"으로 지었다고 한 적도 있다. 남궁이나 선우에 비해 강한 악센트의 성을 골랐다고 한다. 때문에 이상무가 아니더라도, 심지어 일본 만화의 캐릭터 이름을 현지화할 때에도 이 독고란 성을 쓰는 캐릭터는 꽤 많았다. 예를 들어 독고 준이라든지. 미국을 무대로 한 갱스터 극화 "검은 휘파람"에서는 탁 데커 (Tak Dekker)라는 이름을 쓴 적이 있다. 일본인으로 나올 때는 데쓰라는 이름으로 바뀌는 것 같다.[2]매우 특이하게도 나올 때마다 설정이 각기 다 달라서 예를 들어 독고탁이 주인공으로 나온 만화 중 하나인 비둘기 합창에서는 조그만 탁구공 같은 아이로 출연한다. 그런 캐릭터일 때의 헤어스타일은 거의 박박 깎은 머리에 앞머리가 서너 가닥 나온 모습. 명랑 스포츠 만화에서는 주로 작은 체구의 짜리몽땅 꼬마로 나오지만, 진지한 작품에선 번듯한 성인체구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다만 기골장대한 체격으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 키 175cm 정도의 일반적인 체격으로 나오는 작품에선 대개 앞머리가 긴 장발이고, 고독하고 반항아적인 성격으로 대부분 세상에 저항하다 죽거나 기억상실이 되거나 미쳐 바보가 되며 파멸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경우가 많다.
라이벌로는 김준이 있으며, 이현세 만화에서 마동탁과 같은 포지션을 소화한다. 또 다른 고정 캐릭터 조봉구[3]는 이현세 만화에서는 백두산 포지션.[4] 그 밖에 달려라 꼴찌에서 독고탁 팀의 코치 겸 선수로 나오던 덩치 탱크 장도 독고탁 만화에서 자주 나오던 캐릭터. 그 외에 달려라 꼴찌에서는 라이벌이었다가 나중에는 팀 동료가 되는 챠리 킴(오늘날이라면 찰리 김)이 있다. 이현세의 공포의 외인구단에 나오던 하국상과 더불어 흑인 혼혈 캐릭터로 기억에 남던 캐릭터인데 다른 이상무 만화에선 그리 나오지 않았다.
명랑 스포츠 만화에 나오는 짜리몽땅한 독고탁[5]은 키가 작아서 컴플렉스가 있다.
3. 등장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제작은 대원동화)에서는 작품 별로 각각 다른 성우가 맡았다. 시리즈 별 성우는 다음과 같다.- 독고탁, 태양을 향해 던져라(1983)[6][7] - 오세홍[8]
- 내 이름은 독고탁(1984) - 박영남
- 다시 찾은 마운드(1985) - 김순선
- 비둘기 합창(1987) - 우문희 (위에 3편은 각각 극장판으로 개봉했는데 이건 이상무 화백 유일한 TV 애니메이션)
4. 여담
- 1980년대 다달학습 만화[9]에는 축구 선수로도 나오기도 했는데 우수 몽키스에 2천만 원[10]을 받고 스카우트되었는데 그 돈이 조정구 감독의 연봉이었다. 이 때 독고아우[11]는 그의 형으로 나오는데 독고탁을 이름으로 쓰지 못하게 해서 그 대신 박찰래라는 가명을 써서 스카우트되었다. 그런데 모종의 이유[12]로 우수실업 회장만 보면 숨어야 했다. 그래서 개막전 시작할 때 맨 앞 자리에 서서 구단주에 대한 경례를 하는데 회장이 단상에 있는 것을 눈치챈 독고탁이 깜짝 놀라 뒤로 숨었다. 그 개막전에서 독고탁이 회장이 안 보이게 숨어드는 바람에 초반에 두 골을 내주자 이대로 지겠다 생각한 우수실업 회장이 자리를 떴고, 그제서야 독고탁이 안심하고 나와서 종횡무진 활약하며 개막전을 역전승으로 이끌었다. 첫 골은 두 발 사이에 공을 끼우고 골키퍼 앞으로 점프했고 골키퍼가 껴안자 골키퍼 다리 사이로 공을 흘려 골인. 역전골은 대륙 로열스[13] 수비수가 독고탁의 바지를 잡아내리며 방해하다가 파울, 그 후 프리킥 찬스에서 강슛을 때려 골키퍼가 잡아냈지만 워낙 충격이 세서 중심을 잃고 비틀거리다 골라인을 넘어가며 골인. 아무튼 그렇게 역전승이 된 것이다.
- 만화를 잘 보다보면 등 번호가 오락가락 한다. 1편에서 주로 다는 등번호는 17번인데 앞에 1이나 7이 사라져서 7번이나 1번이 될 때도 있고, 아예 0번이 될 때도 있어서 제일 엉망이며 2편에 주로 다는 등번호는 13번인데 간혹가다 14번으로 될 때가 있다. 옛날 만화의 흔한 오류인 듯 하다. 그나마 3편에서 오류없이 정상적으로 14번으로만 나온다.
- 1편에서는 타자를 겸한 우완 투수지만 2편에서는 타자를 겸하긴 했지만 좌완 투수다. 3편에서는 2편처럼 좌완 투수지만 제목이 '다시 찾은 마운드'인 만큼 타자는 하지 않는다.
- 1편과 2편의 공통점으로는 아버지인 독고룡이 모두 고인이 된다.[14] 1편에서는 건강 악화으로 인한 병사[15], 2편에서는 교도소에서 사망한다.[16] 3편에서는 양친 모두 살아계시지만 아버지 이름이 독고룡인지는 불명이다.
- 1편 '태양을 향해 던져라'에서 독고탁의 학교인 우수고와 라이벌 김준의 학교인 대흥고의 유니폼은 1982시즌 삼성 라이온즈[17]와 해태 타이거즈의 유니폼을 모티브한 모습이다. 해당 편이 1983년작이라 시기적으로 들어맞는다.
- LG 트윈스에서 뛰었던 야구선수이자 현재 SSG 랜더스의 2군 투수코치인 류택현이 초등학교 시절에 만화로 봤던 독고탁의 영향을 받아 등번호를 14번을 주로 사용했다. 마침 류택현은 14번을 달았던 2편[18]과 3편의 독고탁처럼 좌완 투수이다.
- 3편인 "다시 찾은 마운드" 는 1999년에 SBS 금요 만화 스페셜을 통해서도 방영된 적이 있었는데, 방송 시작과 방송이 끝날 때 나오는 본편 영상 편집 부분이 참으로 비범했다. 해당 부분은 교통사고로 독고탁의 기억이 날아가는 부분이 강조되었고, 한술 더 떠서 BGM으로 슈퍼 그랑조트의 가이아 드래곤의 테마를 깔아놓는 바람에 의미불명 급의 비장감까지 부여했다(...).
[1] 독고씨는 실제로 있는 성이고, 창작물에서도 드물지 않게 보이는데 의외로 실제로는 800명밖에 없는 희귀 성씨다. 참고로 독고영재는 예명이다.[2] 소년중앙에 연재되었던 만화 중에 데쓰와 독고탁이 동시에 나온 적이 있다. 이때는 데쓰는 주인공으로 독고탁의 청년 모습이고 독고탁은 어린 모습의 조연 캐릭터.[3] 한때 이 캐릭터는 누가 봐도 미즈시마 신지의 대표작인 도카벤의 주인공 야마다 타로를 표절했다는 얘기가 있었으나, 사실 조봉구 캐릭터는 이상무 화백의 1971년 연재작 '주근깨'에서 먼저 나왔으며 그 이후에 나온 작품에서도 자주 출연했다. 즉, 1972년에 연재를 시작한 도카벤보다 먼저 나온 캐릭터라는 말.[4] 비둘기 합창에서는 친형 독고봉구가 되었다.[5] 80년대 중반 당시 다달학습이라는 초등학생 대상 월간 문제집에 연재되기도 했다. 어머니가 모종의 일로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어 교도소에서 국민학교를 다녔다. 학교와 사회에 반항하는 캐릭터로 등장하였다.[6] 축구만화인 '울지 않는 소년'을 개작해 야구 만화로 만들었다.[7] 다른 시리즈와는 다르게 독고탁의 외모가 다르다. 위에서 서술한대로 이 시리즈만 우투우타다.[8] 독고탁 시리즈의 유일한 남자 성우다.[9] 이 당시 일부 학습지에는 학습지를 보게 하기 위해(또는 공부 다 하고 머리 식히는 용도로) 해답 뒷 페이지에 만화를 연재했었는데 다달학습에는 독고탁이 축구선수로 나오는 만화나 말썽도령 알봉이 등을 연재했다.심지어 미국드라마 V 제목으로 한국을 배경으로 하던 만화도 이런 학습지로 연재했다.[10] 80년대 중순인 당시에는 지금으로 치면 억대 연봉이다. 이해가 안간다면 1992년에서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정식적 계약을 했는데 1호 감독인 김정남이 연봉 3천만원을 받았었다. 회장이 독고탁만 찾느냐 박찰래라는 가명으로 나온 독고탁을 정작 못보고 조감독의 스카웃 제의를 개무시한 것. 그래서 내 연봉을 다 준다고 스카웃한 것... 나중에서야 모든 오해가 풀리고 회장은 조감독을 찬양하고 독고탁에게 후한 돈을 주고 조감독도 연봉을 다시 찾게 된다.[11] 이 작품에서는 삭발에 정장이라는 괴이한 패션 센스를 자랑한다.[12] 왜냐하면 회장이 와서 경기보는데 멋대로 나와서 공을 차서 이기긴 했는데 멋대로 나오니 난리가 난거고, 덤으로 공을 차서 우연하게도 회장 얼굴을 강타했다..이러니 회장이 날보면 가만히 안두겠다고 피한 건데 회장은 재능이 넘친다라고 좋아라 찾고 있었고 나중에서야 오해가 풀리자 두둑한 돈을 내주고 독고탁 본 이름으로 나와 활약한다.[13] 실제로 이 만화에 등장한 팀들이 상당수 당시 프로 축구팀의 이름을 변형하였다. 대륙 로열스라던가, 돌핀스라던가, 아톰즈라던가.[14] 차이점으론 1편의 아버지 독고룡은 은퇴 후 잠적한 한국야구 레전드고 2편에서는 무슨 사유인지는 몰라도 사형수 신분이다.[15] 극 초반에 사망한다. 당시 사찰 근처에 있었던 허름한 창고에서 사경을 헤메고 있었다가 그를 찾은 야구협회의 김석원이 보는 앞에서 내가 미력하게나마 야구계에 돌려주어야 할 무기가 언급하며 그 무기를 부탁한다는 유언을 남긴채로 끝내 아들이 보는 앞에서 절명하고 만다.[16] 사형 집행으로 사망했는지 교도소에서 고생만하다가 병을 얻어서 죽었는지는 알수 없었으나 극 후반부에 독고탁이 야구 시합에도 나오지 않은걸 보고 이상하게 생각한 봉구가 독고탁의 집으로 찾아갔다가 아버지의 부고 기사 (사형수 독고룡, 3일 11시 정각, 교도소에서 사망)가 실린 신문을 보면서 울고있던 독고탁에게 아니, 그럼 바로 오늘이 너희 아버지가? 라고 말하는 것으로 보아서 아무래도 전자가 확실해보인다.[17] 1982년과 1983년의 삼성 라이온즈는 유니폼에 빨간색도 이용했었다. 1984시즌부터 빨간색이 사라졌지만 2016시즌부터 목 부분 줄무늬로서 다시 부활했다.[18] 위에 서술된 것 처럼 2편에서 14번은 오류로 잠깐잠깐 바뀔 때만 단다. 2편의 많이 달리는 등번호는 1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