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00:26:31

동방광요야 ~ Lost Branch of Legend/코메이지 코이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동방광요야 ~ Lost Branch of Legend|동방광요야 ~ Lost Branch of Legend]]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코메이지 코이시]]{{{#!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LBoL Title.png
파일:LBoL ReimuIcon.png
레이무
파일:LBoL MarisaIcon.png
마리사
파일:LBoL SakuyaIcon.png
사쿠야
파일:LBoL CirnoIcon.png
치르노
파일:LBoL KoishiIcon.png
코이시
파일:LBoL EmptyIcon.png
중립
게임 내 정보 | 전시품 | | 이벤트 | 용어 | 모드
코메이지 코이시
Koishi Komeiji
[ruby(古, ruby=こ)][ruby(明, ruby=めい)][ruby(地, ruby=じ)] こいし
파일:LBoL Koishi Low.png
시작 HP 75/75
시작 금액 50
마나 풀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1. 개요2. 구성
2.1. 타입 A2.2. 타입 B
3. 전용 카드
3.1. 공격
3.1.1. 일반3.1.2. 고급3.1.3. 희귀
3.2. 방어
3.2.1. 일반3.2.2. 고급
3.3. 스킬
3.3.1. 일반3.3.2. 고급3.3.3. 희귀
3.4. 능력
3.4.1. 고급3.4.2. 희귀
3.5. 동료
3.5.1. 고급
4. 팁5. 덱 컨셉
5.1. 공통적으로 좋은 카드5.2. 목록
5.2.1. 열정-평온 덱5.2.2. 둔주 덱5.2.3. 연계 덱
6. 해금 정보7. 기타

1. 개요

해금 단계 8에서 해금되는 캐릭터이자 Slay the Spire와쳐의 컨셉 일부를 빌려온 캐릭터. 녹색 카드들은 각기 다른 효과를 가지는 마음 가짐인 열정-평온-둔주의 순환에, 흑색 카드들은 카드 간의 연계와 추가 공격에 특화되어 있다.

코이시 A는 열정, 평온, 둔주 총 3가지 마음가짐 사이를 넘나들며 전투를 진행한다. 마음가짐은 한 번에 하나의 마음가짐만 유지할 수 있으며, 새로운 마음가짐에 진입하면 이전 마음가짐에서 벗어나게 된다. 각 마음가짐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코이시 B는 추가 공격과 연계를 통해 카드 간의 유기적인 사용을 통해 전투를 진행한다. 추가 공격을 발동할 시 뽑을 카드 더미의 맨 위에 있는 연계 카드가 발동되며, 이때 발동되는 연계 카드는 마나를 소모하지 않는다.

코이시의 전용 보조 키워드는 꿈결영감으로, 꿈결은 예지와 유사하나 꿈결로 지정된 카드는 강제로 버린 카드 더미로 보내지는 대신 꿈결 키워드가 붙고 해당 카드들은 카드 더미를 뒤섞을 시 한 장을 선택하여 손으로 가져올 수 있다. 영감은 중첩되는 상태로 4를 쌓을 시 둔주에 진입한다.

2. 구성

2.1. 타입 A

난이도
3
시작 전시품
파일:LBoL KoishiG.png
만개한 장미
마나 풀에 파일:LBoL ManaG.png가 추가됩니다.
코이시의 전용 카드가 카드 풀에 추가됩니다.
매 전투에서 첫 2턴 동안 파일:LBoL ManaB.png를 추가로 얻습니다.
스펠카드
파일:LBoL KoishiUltG.png
기인「생명의 근원」
파일:LBoL CurrencyPower.png 소모량: 100
선택한 적에게 반드시 명중하는 25의 피해를 가합니다.
꽃피는 생명을 1장 얻습니다.
시작 덱
사격*2 결계*2 이중나선*2
자폐*3 로맨틱 로즈*1 무아*1

2.2. 타입 B

난이도
3
시작 전시품
파일:LBoL KoishiB.png
특제 선글라스
마나 풀에 파일:LBoL ManaB.png가 추가됩니다. 코이시의 전용 카드가 카드 풀에 추가됩니다.
정예 적 또는 보스와의 전투 시 보호막을 10 얻습니다.
굴절된 햇빛으로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스펠카드
파일:LBoL KoishiUltB.png
애부「하트 콘체르토」
파일:LBoL CurrencyPower.png 소모량: 100
모든 적에게 반드시 명중하는 24의 피해를 가합니다.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시작 덱
사격*2 결계*2 흘러넘치는 사랑*2
백화요란*3 입맞춤*1 본능적인 사랑*1

3. 전용 카드

공격
일반
이중나선 흘러넘치는 사랑 로맨틱 로즈 입맞춤 본능적인 사랑
하트의 무도 요동치는 감정 마음의 해방 변심의 칼날 착신전화
고급
로즈 케이지 고독한 마음 선조의 꿈 요괴 심전도 DNA 전사
장난스런 장미 가시돋힌 춤 -
희귀
꽃피는 생명 로맨틱 라스트 콜 서브터레이니언 로즈 로즈 지옥 -
방어
일반
자폐 백화요란 무아 저조 폐소공포증
피해망상 시들어가는 추억 -
고급
닫힌 마음 태아의 꿈 무의식적인 행동 깨달음의 순간 -
스킬
일반
유레카! 열정적인 기억 거침없는 말 기백 지우기 본능적인 행동
고급
잠 들지 못하는 밤 VII. 전차 한 때의 안정 정신차리기 사고의 방황
평온의 기억 봄나들이 IX. 은둔자 일섬의 영감 호기심
의식에 잠기다 -
희귀
마음속 자물쇠 의식 박리 사랑의 매화 잠재력 해방 미움받는 자의 필로소피
상상 속의 탄막 로르샤흐 검사 완전범죄 0. 바보 돈오
능력
고급
상사병 변덕 DNA의 흠 A.T. 필드 무아지경
광적인 사랑 -
희귀
생각할 시간 자아 제어 진아의 각성 호접지몽 두렵고 귀여운 전화
동료
고급
감정의 가면, 코코로 -

3.1. 공격

3.1.1. 일반

파일:LBoL 이중나선.png <colbgcolor=green> 이름 이중나선
(Double Helix)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피해를 10 줍니다.
강화 피해 10 → 14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2.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A의 기본 카드.
파일:LBoL 흘러넘치는 사랑.png <colbgcolor=purple> 이름 흘러넘치는 사랑
(Overflowing Love)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10 줍니다.
연계 카드
강화 피해 10 → 14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2.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B의 기본 카드. 연계가 붙어 있어 입맞춤과 같이 사용하라는 의도가 다분히 보이지만, 흑색 마나를 요구하고, 위력이 낮고, 덱 아래에 깔린 다른 연계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들 보다도 가장 먼저 지워야 할 카드다.
파일:LBoL 로맨틱 로즈.png <colbgcolor=purple> 이름 로맨틱 로즈
(Romantic Rose)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12 줍니다.
열정에 들어섭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1.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A의 기본 카드. 열정 상태에는 주고 받는 피해가 2배가 되므로 초반에는 막타를 위한 열정 발사대로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초반에는 마나와 드로우가 부족하기 때문에 무아와 함께 사용하기 매우 힘들며, 평온->열정 전환을 통한 마나 펌핑은 물론 열정->평온을 통한 방어도 어려우므로 이탈 카드를 집거나 강화하는 편이 좋다. 추월마요 덱의 열정 카드로서 끝까지 들고 갈 수도 있지만 로즈 케이지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밀리게 된다.

1.7.0 업데이트로 강화 비용이 감소하였다.
파일:LBoL 입맞춤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입맞춤
(Air Kiss)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6 줍니다.
허약을 1 줍니다.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1.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B의 기본 카드. 미강화시 마나를 2개나 소모하기 때문에 쓰기 불편하지만 강화할 경우 추공 발사대 중 가장 낮은 코스트+허약까지 덤으로 걸기 때문에 쓸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1.7.0 업데이트로 미강화 및 강화 비용이 감소하였다.
파일:LBoL 본능적인 사랑.png <colbgcolor=purple> 이름 본능적인 사랑
(Instinctive Love)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20 줍니다.
전투 시작 또는 카드 더미를 섞을 시 본능적인 사랑은 뽑을 카드 더미의 바닥에 위치합니다.
연계 카드
강화 피해 20 → 25
명중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B의 기본 카드. 모든 기본 카드들을 통틀어서 가장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으며 케다마를 한 방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초반을 풀어나갈 수 있게 해준다. 3코스트지만 자체 효과로 덱 아래에 깔리고 보통 추가 공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패말림을 발생시키지는 않으나, 반대로 입맞춤으로 발사하는데 실패한다면 손해를 보게 된다. 강화 시 명중이 붙기 때문에 중독 카드가 없을 경우 그레이즈 저격용으로 강화할 수도 있어 까마귀와 아야를 카운터칠 수 있게 된다.
파일:LBoL 하트의 무도.png <colbgcolor=purple> 이름 하트의 무도
(Dance of the Heart)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10씩 2번 줍니다.
전투 시작 또는 카드 더미를 섞을 시 하트의 무도는 뽑을 카드 더미의 바닥에 위치합니다.
연계 카드
강화 공격 횟수 2 → 3
플레이버
텍스트
-
다타수 연계 카드. 본능적인 사랑과 같이 덱 아래에 깔리기 때문에 패말림이 덜하고 화력도 잘 받으면서 타수 덕에 그레이즈도 잘 벗기기 때문에 초반에 뜨면 한 장 정도는 집을만 하다. 강화시 딜 저하 없이 1타수가 증가하여 총딜이 50%가 늘기 때문에 강화 체감은 매우 크지만 코이시가 강화 필요한 카드가 워낙 많다보니 우선 순위는 뒷전이다.
파일:LBoL 요동치는 감정.png <colbgcolor=purple> 이름 요동치는 감정
(Emotional Surge)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모든 적에게 피해를 17 줍니다.
둔주: 피해를 한 번 더 줍니다.
연계 카드
강화 피해 17 → 22
플레이버
텍스트
-
광역 연계카드. 덱 아래에 깔리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연계 발동을 못 하면 효율이 애매하다. 둔주 시에는 깡으로 써도 좋은 효율을 뽑으나, 둔주 사이클이 완성되면 더 쓰기 좋은 카드가 넘쳐나는게 문제. 그래도 웬만한 케다마는 한 방에 잡아내는지라 1막에서는 나쁘지 않은 성능을 보여준다.
파일:LBoL 마음의 해방.png <colbgcolor=green> 이름 마음의 해방
(Mental Release)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피해를 14 얻습니다.
현재 마음가짐에서 벗어납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2.png
피해 14 → 20
플레이버
텍스트
-
마음가짐 해제 카드. 열정과 궁합이 좋은데, 열정 상태에서 딜링 후 마무리로 이 카드를 쓰면 2코 28 피해를 먹이고 열정 페널티를 없앨 수 있다. 비록 무아처럼 평온에 진입시켜 주는 것은 아니지만, 열정를 벗어나게 해주고 강화 시 매우 높은 효율을 가진 일반 공격 카드라는 점에서 초반에 집을 가치는 충분하다.

1.7.0 업데이트로 명칭이 '의식의 소용돌이'에서 변경되었으며, 강화 시 코스트 감소가 줄어든 대신 피해량이 증가하였다.
파일:LBoL 변심의 칼날.png <colbgcolor=green> 이름 변심의 칼날
(Transference Blade)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피해를 6 줍니다.
마음가짐이 변할 시 변심의 칼날을 버린 카드 더미에서 다시 손으로 가져옵니다.
명중
강화 피해 6 → 9
플레이버
텍스트
-
캐릭터마다 하나씩 존재하는 리필 0코스트 공격카드. 마음가짐이 해제될 때도 손으로 가져오는 효과가 발동된다. 마음가짐 전환에 반응할 뿐 마음가짐 진입 카드는 아니라서 상사병 무한 핵심 카드에 들어가지는 않지만, 무한 직전까지 활용도가 높고 명중도 달려 있어 실질 피해량도 준수한 편이다. 한 턴에 여러 번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두렵고 귀여운 전화와 궁합이 좋으며, 카드 사용 스택형 전시품들인 가면 시리즈와 시너지가 강력하고 스톨링하기도 좋다.

그러나 요호나 레밀리아 상대로 좋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1~2장만 집는 편이다. 변심의 칼날의 손패 복귀 효과는 상사병, VII. 전차, 새는 국자 등의 드로우 효과가 먼저 발동한 후에 발동한다. 이때 드로우로 인해 카드 더미가 섞일 경우 변심의 칼날이 버린 카드 더미에서 손패로 복귀하지 못하고 뽑을 카드 더미에 섞여 들어가게 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황에서는 드로우 직전에는 변심의 칼날을 사용하지 않고 드로우 이후 사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3.1.2. 고급

파일:LBoL 로즈 케이지.png <colbgcolor=purple> 이름 로즈 케이지
(Cage of Roses)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8씩 2번 줍니다.
열정에 들어섭니다.
이 카드를 뽑을 카드 더미에 섞어넣습니다.
강화 공격 횟수 2 → 3
플레이버
텍스트
-
열정 발동용 연타 카드. 열정 카드 중 가장 상사병을 발동시키기 좋으며, 연타형 공격 카드이므로 화력과 은총의 배율도 잘 받는다. 일단 기본적인 위력은 로맨틱 로즈보다 훨씬 높은데다 사용 시 뽑을 카드 더미로 돌아가는 특성 때문에 열정을 더 자주 켤 수 있으므로 더 자주 선호되기도 한다.

다만 코스트가 로맨틱 로즈보다 1 더 높기 때문에 마나 펌핑이 안된다면 자주 사용하기 힘들고, 사용 시 뽑을 카드 더미로 돌아가므로 딥 메모리 등으로 재사용하기 어려우며, 상사병 드로우가 안 될 때 로즈 케이지 말고 다른 카드를 먼저 뽑아야 하는 상황일 경우 대신 뽑히게 되어 애매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니 잘 사용하려면 상사병을 여러 장 채용하거나 청색 마나를 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1.7.0 업데이트로 비용이 감소했다.
파일:LBoL 고독한 마음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고독한 마음
(Lonely Heart)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피해를 16 주고 파일:LBoL ManaP.png를 얻습니다.
전투 시작 시: 고독한 마음의 복사본을 1장 뽑을 카드 더미에 섞어넣습니다.
보충 연계 카드
강화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
플레이버
텍스트
-
전투 시작 시 2장이 되는 공격 카드로, 마나를 반환하기 때문에 직접 사용하면 사실상 1~2코스트다. 추가 공격이 발동되는 동시에 마나 펌핑 또한 가능하며, 드로우만 충분하다면 이 카드를 통해 순환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으므로 코이시 B의 핵심 카드로 꼽힌다. 다만 카드가 복사되므로 덱이 조금 늘어난다는 사소한 장점이자 단점이 존재한다.

1.7.0 업데이트로 보충 키워드가 추가되고 획득 마나가 증가하는 대신 강화 시 피해 증가가 삭제되었다.
파일:LBoL 선조의 꿈.png <colbgcolor=purple> 이름 선조의 꿈
(Ancestral Dreams)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모든 적에게 피해를 17 줍니다.
꿈결 3, 그 중 첫번째 연계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명중
강화 피해 17 → 20
꿈결 3 → 5
플레이버
텍스트
-
광역 명중 공격 카드. 여기에 추가 공격까지 붙어 있어 공격 카드로서는 흠 잡을데 없는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꿈결로 인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덱이 얇아서 키 카드가 빨리 나올 수 있다면 오히려 트롤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다만 상태나 액운이 끌려가면 이득을 볼 수 있으며, 기본 성능이 출중하므로 1막에서는 집고 그 뒤에 지울지 말지 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코이시가 구현되기 전에는 '꿈자리에 조상님 총기립'이라는 명칭으로 데이터가 존재하였으나 구현 뒤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파일:LBoL 요괴 심전도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요괴 심전도
(Youkai EEG)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10 얻습니다.
피해를 10 줍니다.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직감: 추가 공격이 한 번 더 뒤따릅니다.
강화 피해 10 → 14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스트에 비해 위력이 매우 낮지만 추가 공격을 2회 할수도 있는 카드로, 기본 코스트가 매우 높기에 강화가 준 필수다. 직감을 충족하였을 시 딜 포텐셜이 매우 높지만 반대로 직감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을 경우 위력이 급감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우며, 특히 한쪽 끝에 액운이 뽑힌다면 직감이 사실상 봉인된다. 보통 중후반에 추가 공격 카드가 없을 때만 집게 된다.

1.7.0 업데이트로 피해량이 18에서 10으로 감소하고 방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파일:LBoL 장난스런 장미.png <colbgcolor=green> 이름 장난스런 장미
(Mischievous Rose)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2 얻습니다.
피해를 12 줍니다.
한여름의 꽃을 1장 얻습니다.
둔주: 대신 2장 얻습니다.
강화 방어 12 → 16
피해 12 → 16
플레이버
텍스트
-
공방 일체형 둔주 연계 카드. 사용 시 한여름의 꽃을 줘 추가 비용을 내고 추가 공격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한여름의 꽃은 둔주와 연계하기 좋으며, 마침 둔주 사용 중에 사용하면 2장을 주므로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둔주 중에 사용해야 하는 것이 좋다. 보통 1막에서 집게 되며, 둔주덱을 간다면 끝까지 들고 가도 되지만 그렇지 않다면 정비에서 지워지게 된다.
파일:LBoL 가시돋힌 춤.png <colbgcolor=green> 이름 가시돋힌 춤
(Crazed Thorns)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3 얻습니다.
모든 적에게 피해를 13 줍니다.
추가 공격이 따릅니다.
강화 피해 13 → 16
방어 13 → 16
플레이버
텍스트
-


1.7.0 업데이트 이전에는 성장형 공격 카드였다. 그냥 사용하면 코스트를 감당하기 매우 어렵지만 평온 상태에서 사용하면 코스트가 절반이 되기 때문에 평온을 공격적으로 운용하라는 의도를 가졌다. 평온 상태에서 사용하면 딜 효율이 좋고 사용할 수록 성장하여 나쁘지 않은 위력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열정-평온 순환을 통해 딜을 넣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므로 굳이 이런 카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3.1.3. 희귀

파일:LBoL 꽃피는 생명.png <colbgcolor=green> 이름 꽃피는 생명
(Blossoming of Life)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피해를 5 주고 파일:LBoL ManaG.png를 얻습니다.
보존될 시: 주는 피해가 5 증가하고 얻는 마나에 파일:LBoL ManaG.png가 추가됩니다.
소멸 보존
강화 피해 5/5 → 8/8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P.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A가 스펠을 사용할 시 얻는 카드. 보존 카드라 사용하지 않고 놔두면 점점 성능이 증가하며, 그래서 이 카드를 키 카드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코이시 A는 첫 턴에 스펠을 바로 사용해야 한다. 성능 자체는 딜링 수단보다는 마나 펌핑에 특화되어 있으나 적재적소에 사용 가능하여 매우 뛰어난 위력을 보여주며, 특히 로즈 지옥과 같은 X코스트 카드와의 조합이 좋다. 성능을 극대화 하려면 거침없는 말+로 한 번 되돌리는 것이 추천되며, 이득을 더 보기 위해서는 마운틴 에코와 같은 메아리나 복사 카드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LBoL 로맨틱 라스트 콜.png <colbgcolor=purple> 이름 로맨틱 라스트 콜
(Last Romantic Night Call)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모든 적에게 피해를 32 줍니다.
명중
강화 피해 32 → 36
연계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
마리사의 파이널 스파크와 유사한 5코 광역 공격 카드. 명중이 달려 있어 그레이즈가 달린 까마귀들을 청소하는데 좋지만 이 카드의 진짜 진가는 강화 시 추가되는 연계. 추가 공격 카드와 함께 조합하면 무려 5마나를 절약하고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코이시 B보다는 코이시 A가 더 사용하기 쉬운 카드이기도 한데, 코이시 A는 기본 연계 카드가 없기 때문에 이 카드와 추가 공격 카드 하나만 집으면 확정적으로 발사가 가능해진다. 다만 덱 맨 밑으로 내려간다는 기능은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이는 염두에 두어야 한다.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colbgcolor=green> 이름 서브터레이니언 로즈
(Subterranean Rose)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모든 적에게 피해를 6씩 줍니다.
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U.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R.png파일:LBoL ManaG.png를 얻습니다.
강화 피해 6 → 8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U.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R.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U.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R.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P.png
플레이버
텍스트
-
공격 카드지만 주 용도는 마나 펌핑으로 유색 마나를 종류별로 1개씩 생성한다. 강화 시 무색, 무지개색 마나가 추가되어 총 +3의 마나 이득을 제공한다. 마나 보충만 봐도 성능이 준수하지만 마나를 종류별로 뽑는다는 특성 덕분에 다색마나 조건이 걸린 초고밸류 카드와 아주 잘 맞는데, 강화 시 채광난무도 바로 뽑히며 봉래의 수해, 탄막의 쌍고치 등도 손쉽게 발동할 수 있다.

원본은 동방지령전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서브터레이니언 로즈」'. 1.7.0 업데이트로 비용이 상승했다. 1.6.1 업데이트 이전에는 잠재력 해방이 해당 카드의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파일:LBoL 로즈 지옥.png <colbgcolor=green> 이름 로즈 지옥
(Rose Hell)
비용 파일:LBoL ManaX.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파일:LBoL Mana2.png를 지불할 시: 모든 적에게 피해를 9 주고 파일:LBoL ManaG.png를 얻습니다.
강화 피해 9 → 12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P.png
플레이버
텍스트
-
카드 발동에 소모한 2마나당 9대미지의 전체 공격을 수행하고 녹색 마나 하나를 환급해주는 카드. 발동시에 추가로 소모한 2마나당 공격 횟수가 한 번 늘기 때문에 화력을 매우 잘 받으며, 무색 마나등의 쓸모가 적은 마나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코이시 특성인 열정과 조합하면 매우 흉악해진다. 다만 무의식적인 행동과 같은 카드 자동 사용 카드와의 궁합이 나쁘며, 다른 X코스트 카드들과 달리 마나를 대량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마나 펌핑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사용하기 어렵다. 강화 시 환급 마나가 무지개색으로 바뀌기 때문에 강화 의존도는 매우 높다.

원본은 더블 스포일러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로즈 지옥」'.

3.2. 방어

3.2.1. 일반

파일:LBoL 자폐.png <colbgcolor=purple> 이름 자폐
(Self-Isolation)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10 얻습니다.
강화 방어 10 → 13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2.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A의 기본 카드.
파일:LBoL 백화요란.png <colbgcolor=green> 이름 백화요란
(Vivid Flower Wreath)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0 얻습니다.
강화 방어 10 → 13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2.png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B의 기본 카드.
파일:LBoL 무아 2.png <colbgcolor=green> 이름 무아
(Selflessness)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3 얻습니다.
평온에 들어섭니다.
강화 방어 13 → 18
플레이버
텍스트
-
코이시 A의 기본 카드이자 평온 진입용 카드. 평온 효과 때문인지 방어+결계보다 얻는 방어도가 적다. 다만 다른 평온 카드들은 직접적인 전투 효과가 없는데 반해 무아는 방어 기능이 있다는 차별점은 있다.
파일:LBoL 저조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저조
(Low Profile)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방어를 5 얻습니다.
열정일 때: 방어를 추가로 10 얻습니다.
강화 방어 5/10 → 7/14
플레이버
텍스트
인기 투표 1위는 했지만 사람들이 몰라줬으면 좋겠어.
열정 상태일 때 성능이 급상승하는 방어 카드. 불안정한 방어도 카드면서 보존 카드도 아니고, 보스 상대로 썩 좋은 카드가 아니지만, 대신 0코 카드이므로 일반 적이나 육각령 상대로는 다른 1코 이상 일반 방어 카드에 비해 덜 거슬리는 편이다. 진노 재진입이 용이한 로즈 케이지와 시너지가 존재하며, 상사병을 2장 이상 갖춘 추월마요 덱에서 후반 방어 플랜이 늦게까지 완성되지 않을 경우 그 대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1.7.0 업데이트로 방어 수치가 4/6→5/7, 8/12→10/14로 증가하였다.
파일:LBoL 폐소공포증.png <colbgcolor=purple> 이름 폐소공포증
(Claustrophobia)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12 얻습니다.
직감: 추가로 보호막을 6 얻습니다.
강화 방어 12 → 16
보호막 6 → 8
플레이버
텍스트
-
직감 효과가 달린 방어 카드. 기본 성능은 별로 좋지 않지만 직감 발동 시 그럭저럭 좋은 효율을 가지게 되어 초반 방어 수단으로 적합하다. 다만 직감을 막는 보존 카드와의 궁합이 나쁘며, 순수 효율으로만 보자면 닫힌 마음의 하위호환이므로 오래 사용할 카드는 아니다.
파일:LBoL 피해망상.png <colbgcolor=purple> 이름 피해망상
(Persecutory Delusions)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15 얻습니다.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강화 방어 15 → 20
플레이버
텍스트
-
추공을 발사하는 방어 카드. 유사 이매지너리 타임라인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딜 밸류는 일반적으로 훨씬 떨어지며, 공격 대상은 랜덤이고, 연계 카드가 없다면 발사조차 불가능하므로 애로사항이 많다. 대신 뒤떨어지는 성능만큼 레어도가 낮은지라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다 강화 시 방어 카드로서는 나쁘지 않으므로 초반에만 적합하다.
파일:LBoL 시들어가는 추억 2.png <colbgcolor=green> 이름 시들어가는 추억
(Withering Dreams)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8 얻습니다.
평온: 대신 보호막을 21 얻습니다.
강화 방어 18 → 24
보호막 21 → 28
플레이버
텍스트
-
탄막 연구와 유사한 조건부 보호막 카드.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특출난 장점이 존재하므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뭣하면 그냥 방어 카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약 사항은 없다. 그러나 모든 코이시 보호막 카드가 그렇듯이 닫힌 마음의 하위 호환이라 애로사항이 있지만, 닫힌 마음을 집지 못했다면 대용으로 사용해도 된다.

3.2.2. 고급

파일:LBoL 닫힌 마음.png <colbgcolor=purple> 이름 닫힌 마음
(Closed Heart)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보호막을 18 얻습니다.
다음 턴동안 적의 의도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강화 보호막 18 → 22
플레이버
텍스트
코이시는 마음을 읽는 서드 아이를 닫았습니다.
보호막을 주는 방어 카드. 약간의 페널티가 붙어 있긴 하지만 보호막을, 그것도 코스트 대비 높은 효율로 주는 카드는 이 카드가 거의 유일하다. 다음 턴 적의 행동을 알 수 없게 되나 보호막이기 때문에 알 필요도 없어지고, 게임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플레이어라면 물음표 갯수로 대충 무슨 행동을 할 지 짐작 가능하기 때문에 의미도 없어지는 매우 좋은 카드다. 페널티는 디버프로 취급되기 때문에 금각사의 부적과 시너지가 있으나, 부적을 소모하기 때문에 부적 카드 및 하쿠레이 애뮬릿과의 역시너지가 존재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파일:LBoL 태아의 꿈.png <colbgcolor=purple> 이름 태아의 꿈
(Embryo's Dream)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18 얻습니다.
꿈결 3, 그 중 첫번째 연계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강화 방어 18 → 24
꿈결 3 → 5
플레이버
텍스트
-
선조의 꿈의 방어 버전. 추가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방 일체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선조의 꿈과 마찬가지로 꿈결로 인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격 대상은 랜덤이고 연계 카드가 없다면 발사조차 불가능하다는 점은 피해망상과 동일. 다만 연계 카드가 충분히 많을 경우 방어와 공격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공격 덱에서는 방어 플랜으로 고려할 만하다.

원본은 더블 스포일러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태아의 꿈」'.
파일:LBoL 무의식적인 행동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무의식적인 행동
(Unconscious Action)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방어를 5 얻습니다.
뽑을 카드 더미의 맨 위에 놓인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1.png
플레이버
텍스트
"아, 실수로 송금해버렸다..."
비교적 낮은 코스트로 카드를 대신 사용해주는 카드. 5코 능력 카드가 발동될 경우 대박이 나지만, 보통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매우 불안정하다.
  • 단일 타겟 공격 카드가 발동될 시 랜덤으로 적을 공격하는 경우
  • 마음가짐 해제 카드가 패에 없음에도 열정이 발동되는 경우
  • 유레카!를 발동해 버려 영감을 쌓지 못하는 경우
  • 도구 카드나 소멸 카드가 필요하지 않을 때 발동되는 경우
  • 상태나 액운을 발동시켜 아무 일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그래서 정 사용하고 싶다면 VII. 전차, IX. 은둔자 등의 예지 카드로 덱을 미리 정리하거나, 아니면 로르샤흐 검사호접지몽 등의 덱 조작 카드로 미리 판을 깔아놓은 뒤에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능력 카드인 진아의 각성와 비교하자면 코스트를 먹는 대신 원하는 타이밍에 발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시간의 역사를 가지고 있을 경우 미리 뽑을 카드 더미의 순서를 알 수 있어 사용이 편해진다.

1.7.0 업데이트 이전에는 스킬 카드였다.
파일:LBoL 깨달음의 순간 2.png <colbgcolor=green> 이름 깨달음의 순간
(Moment of Inspiration)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방어를 10 얻습니다.
영감을 1 얻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2.png
방어 10 → 14
플레이버
텍스트
주민들이 과학 기술에 대한 비밀을 공유했습니다.
코이시의 핵융합 기술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발전했습니다.
둔주 연계형 방어 카드. 방어 효율은 기본 카드와 동일한지라 구리지만 모든 카드를 통틀어 유레카! 없이 영감 스택을 준다는 것에 가치가 있다. 둔주 덱일 경우 일섬의 영감생각할 시간을 보조하는 목적으로 1장 정도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며, 이때 현재 영감 스택을 보고 바로 둔주를 발동할지 아니면 다음 턴에 발동할지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허나 카드의 기본적인 체급이 너무 낮은지라 이런 카드를 집는 상황이 온다면 그것은 덱 구성이 망했다는 뜻이나 마찬가지 이므로 최악의 경우가 아니면 집지 말자. 강화 시 성능은 차이가 거의 나지 않지만 요구 마나의 색상이 달라지므로 녹색 마나가 중요하다면 강화하는 것이 좋다.

3.3. 스킬

3.3.1. 일반

파일:LBoL 유레카.png <colbgcolor=green> 이름 유레카!
(Eureka!)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손에 들어올 시: 파일:LBoL ManaP.png를 얻고, 영감을 1 얻습니다. 그 후 유레카!는 소멸합니다.
보충
강화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
플레이버
텍스트
-
일섬의 영감생각할 시간의 토큰 카드. 둔주 덱의 핵심 카드이고 덱 내에서 좋은 윤활제로서 작용한다. 강화하면 마나를 2개 주기는 하지만 득도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강화는 불가능하므로 의미는 없다.
파일:LBoL 열정적인 기억.png <colbgcolor=purple> 이름 열정적인 기억
(Passionate Memories)
비용 파일:LBoL ManaB.png
효과 열정 상태에 들어섭니다.
소멸 보존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0.png
플레이버
텍스트
-
일회용 열정 진입 카드. 간이 이벤트 호라이즌 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존이 붙어 있어서 필요할 때 열정을 활용하거나 상사병 또는 광적인 사랑을 발동시킬 수 있다. 보존이 달려 있어 전투를 마무리 할 각이 보일 때 발동할 수 있으므로 속전속결로 끝낼 수 있다. 다른 캐릭터들이 사용하면 가치가 더 높은 카드.
파일:LBoL 거침없는 말.png <colbgcolor=green> 이름 거침없는 말
(Talk Through the Hat)
비용 파일:LBoL Mana1.png
효과 카드를 2장 뽑습니다.
손에서 카드를 1장 선택한 뒤 강화시켜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에 돌려보냅니다.
강화 드로우 2 → 3
플레이버
텍스트
"이것이 사건의 전모다!"
카드를 되돌리는 카드. 다음 턴 공격에 대비해 현재 필요하지 않은 방어 카드나 마나가 부족하여 현재 사용이 불가능한 고코스트 카드를 돌려보내는 등 패 꼬임을 방지하고 덱을 정리해 주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능적인 행동 등 코이시 특유의 자동 사용 카드와 연계하는 플레이도 가능. 다만 무조건 1장을 다시 뽑을 카드 더미로 되돌려 보내야 하기 때문에 전체 드로우 코스트는 0이다.

1.7.0 업데이트로 소멸 키워드가 삭제되고 항상 돌려보낸 카드를 강화하게 되었다.
파일:LBoL 기백 지우기.png <colbgcolor=green> 이름 기백 지우기
(Presence Concealment)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그레이즈를 1 얻습니다.
현재 마음가짐에서 벗어납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2.png
그레이즈 1 → 2
플레이버
텍스트
-
방어형 마음가짐 이탈 카드. 보통은 열정에서 벗어나 리스크를 줄이고 그레이즈로 방어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2코 1 그레이즈는 밸류가 낮은지라 방어 수단으로 사용하기에는 구리고 둔주와는 완전한 역상성을 띄며, 열정 이탈 용으로는 마음의 해방라는 훌륭한 카드가 존재하므로 만약 집는다면 초반에 잠깐 사용하고 버릴 카드다.

1.7.0 업데이트로 강화 시 그레이즈가 1 증가하였다.
파일:LBoL 본능적인 행동.png <colbgcolor=green> 이름 본능적인 행동
(Instinctive Action)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그레이즈를 1 얻습니다.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파일:ManaHBG.png
플레이버
텍스트
-
공방 일체형 카드. 2코 1 그레이즈는 밸류가 똑같이 낮지만 추가 공격 카드의 발사대로서 가치가 존재한다. 하지만 공격 대상이 랜덤이고 연계 카드가 없다면 발사조차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동일하므로 공방 일체형 추가 공격 카드가 필요하다면 보통은 피해망상을 사용하는 것이 나은 편이다. 강화 시 1코스트로 발동이 가능하여 효율이 좋아지지만 주력으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는 편.

3.3.2. 고급

파일:LBoL 잠 들지 못하는 밤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잠 들지 못하는 밤
(Sleepless Night)
비용 파일:LBoL ManaB.png
효과 열정일 때: 모든 적에게 취약을 3 줍니다.
열정이 아니라면 열정에 들어섭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록온 3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
2~4턴 지속되는 조건부 광역 취약 카드. 발동에 선행 조건이 필요하고 자체 딜이 없기 때문에 로즈 케이지보다는 위력이 약하며, 취약 분야에는 만월의 포효라는 만능 카드가 존재하기 때문에 밀리는 편이다. 따라서 추월마요 덱에는 별로 어울리지 않는 카드지만, 추월마요 덱과 달리 열정 카드가 여러 장 필요하며 취약의 가치가 높은 사서 덱에서는 1장은 충분히 집을 만하다. 원하는 순간에 열정을 걸 수 있는 열정적인 기억과의 조합이 좋기 때문에 덱의 파워가 약하고 적색 전시품을 가지 않을 시 집는 것도 좋다.

1.7.0 업데이트로 강화 비용이 감소하였으며, 취약은 항상 3이 되는 대신 록온 효과가 추가되었다.
파일:LBoL VII. 전차.png <colbgcolor=purple> 이름 VII. 전차
(Tarot: The Chariot)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예지 3.
플레이어의 다음 턴 시작 시 열정에 들어서며 카드를 2장 뽑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1.png
예지 3 → 5
플레이버
텍스트
-
다음 턴에 진노 진입과 추가 드로우를 예약해 놓는 예열 카드. 예지가 달려 있기 때문에 미리 드로우 할 카드를 정리할 수 있으므로 다음 턴에는 킬 캐치가 안 되는데 열정 이탈도 안 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덱이 얇을수록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나 그 효과가 다음 턴에 발동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엄청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온을 미리 발동하고 사용하면 이득이 크다.

그러나 둔주덱에서는 둔주의 효과를 정면으로 역행하는 카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사용하기 매우 힘든 카드다. 둔주덱을 구성하는 일섬의 영감과 생각할 시간은 지속적으로 뽑을 카드 더미에 유레카를 넣고 이를 다음 턴 시작 시 뽑아 둔주를 발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전차의 효과가 발동되면 둔주가 허공으로 날아가버리기 때문에 빌드업을 제대로 망쳐버린다. 카드 자체의 밸류는 좋지만 캐릭터의 한계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 비운의 카드.
파일:LBoL 한 때의 안정 2.png <colbgcolor=green> 이름 한 때의 안정
(Moment of Respite)
비용 파일:LBoL ManaG.png
효과 손에서 카드를 최대 1장 선택한 뒤 한 턴간 보존합니다.
평온에 들어섭니다.
내 턴을 종료합니다.
강화 선택 대상 손 → 손 또는 버린 카드 더미
플레이버
텍스트
-
사용 즉시 평온에 진입하면서 카드를 탐색한 뒤 보존 처리 후 턴을 종료한다. 열정 돌입 카드 등 다음 턴에 필요한 카드를 손에 남기고 평온 상태로 진입하기 때문에 다음 턴 저점과 덱 안정성을 상승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원래 보존이 붙지 않은 카드도 손에 남김을 통해 직감 시너지를 볼 수 있게 해주고, 이 카드가 2장일 경우 매 턴 같은 카드를 서치해서 계속 평온 상태로 턴을 끝낼 수도 있다.

대신 코이시의 카드들과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 코이시에게는 보존을 함으로써 이득을 얻는 카드가 없으며, 다음 턴에 사용해야 하는 카드를 남겨도 드로우와 이탈 수단이 부족하다면 제대로 써먹을 수 없다. 유사한 턴 종료 카드인 잠깐의 휴식과 비교해 봐도 페널티 대비 이득이 크지 않으며, 강화를 해야 제대로 된 카드 서치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도 문제다.

1.7.0 업데이트로 강화 효과가 기본 효과가 되었다.
파일:LBoL 정신차리기 3.png <colbgcolor=green> 이름 정신차리기
(Mental Reset)
비용 파일:LBoL ManaG.png
효과 열정일 때: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평온일 때: 보호막을 12 얻습니다.
둔주일 때: 둔주 상태에서의 카드 상한을 3 늘립니다. 이후 정신차리기는 소멸됩니다.
강화 회복 4 → 6
보호막 16 → 24
플레이버
텍스트
"여긴 어디?"


1.7.0 업데이트 이전에는 방어 카드의 탈을 쓴 체력 회복 카드였다. 그냥 사용해도 회복 수단으로 그럭저럭 쓸만 하며 둔주 상태에서 사용할 시 본연의 방어 기능을 발휘했다. 대신 사용 시 마음가짐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 따라 열정일 경우 공격 전 또는 턴 종료 전인지, 평온인 경우 펌핑 타이밍인지 확인하고 사용해야 하며, 특히 둔주의 경우 마지막 차례에서 사용해야 손해를 보지 않을 수 있다.
파일:LBoL 사고의 방황.png <colbgcolor=green> 이름 사고의 방황
(Calm Mind)
비용 파일:LBoL ManaG.png
효과 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를 얻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1.png
획득 마나 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파일:LBoL ManaC.png
플레이버
텍스트
이 마나 무슨 색이었더라?
마나 펌핑 카드. 성능이 특이한데, 꽤 많은 마나를 펌핑할 수 있는 대신 얻을 수 있는 마나가 모두 무색 마나다. 유색 마나만 요구하는 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면 다른 색상의 마나와 함께 사용함으로서 카드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좋으며, 아니면 로즈 지옥 등 X코스트 카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좋다. 제약이 약간 있지만 간편한 마나 펌핑 카드로서 괜찮은 성능을 발휘한다.
파일:LBoL 평온의 기억 2.png <colbgcolor=green> 이름 평온의 기억
(Serene Memories)
비용 파일:LBoL ManaG.png
효과 평온에 들어섭니다.
소멸 보존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0.png
플레이버
텍스트
-
일회용 평온 진입 카드. 일회용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평온 카드가 열정 카드에 비해 너무 적을 때 균형을 맞추기 위해 채용된다. 적이 공격 의도가 없을 때 사용을 미룰 수 있고, 다른 열정 진입 카드들의 리스크를 줄이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강화 시 0코가 되며 당장 열정 상태에서 벗어나야 하거나, 현재 패 관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면 다음 턴에 마나를 얻거나 다른 카드와 연계할 목적으로 보존하는 것이 좋다.

1.7.0 업데이트로 비용이 1 감소했다.
파일:LBoL 봄나들이.png <colbgcolor=green> 이름 봄나들이
(Springtime Vacation)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평온: 카드를 3장 뽑습니다.
아니라면, 평온에 들어섭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1.png
플레이버
텍스트
-
1코 평온+조건부 드로우 카드. 의식에 잠기다와 함께 단 둘뿐인 안정적 저코스트 비소멸 평온 진입 카드인 데다 조건만 갖추면 준수한 드로우 카드가 된다. 추월 무한은 물론이고 사서 덱에서도 호기심과 함께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열정-평온 순환을 돌릴 때 A.T. 필드가 있다는 가정 하에 방어 순환에서도 무아보다 딜이 느린 대신 훨씬 간편하고 안정적이나, 상대가 레밀리아일 경우 턴당 딜을 몇 배 더 많이 넣을 수 있는 무아 쪽이 더 안정적이다.
파일:LBoL IX. 은둔자.png <colbgcolor=green> 이름 IX. 은둔자
(Tarot: The Hermit)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예지 3.
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를 얻습니다.
둔주: IX. 은둔자의 코스트가 파일:LBoL Mana0.png이 됩니다.
강화 예지 3 → 5
뽑을 카드 더미 맨 위의 카드 강화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
예지 및 마나변환 카드. 드로우가 없어 평상시에는 밸류가 크지 않으며, 드로우를 1 소모하고 예지의 가장 큰 장점인 카드 탐색이라는 역할을 온존히 수행할 수 없다는 약점이 존재하다. 허나 둔주 발동 시에는 0코스트가 되어 마나 펌핑이 가능하고 예지 후 둔주로 드로우할 수 있기 때문에 둔주덱에서 한 장 정도 챙기면 체감이 좋다. 아무래도 초반보다는 후반에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카드. 강화 시 다른 카드를 강화하기 때문에 체감 성능이 더 높아진다.
파일:LBoL 일섬의 영감.png <colbgcolor=green> 이름 일섬의 영감
(Flash of Inspiration)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유레카!를 2장 뽑을 카드 더미에 섞어넣습니다.
강화 유레카! 2 → 3
플레이버
텍스트
"잠깐만, 범인이 난가?"
둔주덱 핵심 카드. 다른 카드들은 영감 스택 쌓는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깨달음의 순간, 생각할 시간) 거의 일회용(돈오, 의식 박리, 코코로)이지만 이 카드는 강화시 둔주를 비교적 빠르게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유레카를 빨리 뽑을 수단이 충분하면 대량 소멸 없이도 비교적 쉽게 무한덱을 만들 수 있다.

1.6.1 업데이트로 둔주 발동 조건이 영감 4스택이 되면서 원카드 둔주 발동이 불가능해졌고 성능도 낮아졌다. 그래서 제대로 써먹으려면 깨달음의 순간이나 생각할 시간과 같이 사용해야 둔주 발동이 가능하다.
파일:LBoL 호기심.png <colbgcolor=green> 이름 호기심
(Curiosity)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카드를 3장 뽑습니다.
현재 마음가짐에서 벗어납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파일:ManaHBG.png
플레이버
텍스트
난 고양이가 아닌걸.
마음가짐 이탈 드로우 카드. 유사한 카드인 마음의 해방이 열정을 끝내면서 딜을 넣을 때 특화되어 있다면, 호기심은 평온에서 벗어나면서 마나를 얻고 그 마나를 활용할 때 특히 좋다. 대부분의 경우 최소 한 장 이상은 채용할 가치가 충분하나, 드로우 이후에 마음가짐을 해제한다는 특성 때문에 유레카를 뽑아서 둔주를 발동하자마자 둔주를 없애버리는 트롤 짓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둔주덱이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파일:LBoL 의식에 잠기다 2.png <colbgcolor=blue> 이름 의식에 잠기다
(Diving Consciousness)
비용 파일:LBoL Mana1.png
효과 꿈결 5.
버린 카드 더미에서 꿈결 카드 중 최대 2개를 다시 손으로 가져옵니다.
강화 선택 2 → 3
플레이버
텍스트
-


1.7.0 업데이트로 등급이 희귀에서 고급으로 내려오고, 평온 효과가 삭제되었으며 가져올 수 있는 꿈결 카드의 수가 증가하였다.

3.3.3. 희귀

파일:LBoL 마음속 자물쇠.png <colbgcolor=purple> 이름 마음속 자물쇠
(Psyche-Lock)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지금 턴을 종료하고, 내 턴을 한 차례 더 진행합니다.
손에 마음속 자물쇠가 있는 동안 플레이어가 각기 다른 세 번의 마음가짐에 들어서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멸 보존
강화 추가 턴 동안 손에 있는 모든 카드 강화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코이시가 서드 아이를 닫은 이유일지도.
노페널티 노코스트 추가턴이라는 고밸류 카드지만 각기 다른 마음가짐에 들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평온 - 열정 - 평온 등으로는 발동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평온, 열정, 둔주를 한 번씩 발동해야 사용이 가능하니 주의. 보존이 달려있긴 하지만 퍼펙트 서머 아이스 등이랑 다르게 반드시 손에 들고 있어야 조건 카운트를 시작하기 때문에 빨리 뽑는 것도 중요하다. 이미 마음가짐인 상태에서 이 카드를 뽑으면 사용조건을 하나 채워준다. 도중에 버려지면 사용 조건이 초기화되니 실수로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자.
파일:LBoL 의식 박리.png <colbgcolor=purple> 이름 의식 박리
(Slipping Consciousness)
비용 파일:LBoL ManaB.png
효과 둔주에 들어섭니다.
다음 턴동안 카드를 최대 1장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멸
강화 제한 1 → 2
플레이버
텍스트
-
둔주에 진입하는 대신 강력한 페널티를 거는 카드. 같은 등급에 완벽한 상위호환인 돈오가 존재한다는 것은 둘째 쳐도 다음 턴 카드 제한이 너무나도 치명적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힘들다. 강화하지 않으면 다음 턴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죽을 위험성이 대폭 상승하고, 강화를 해도 해당 턴을 버티기 매우 힘들어지기 때문에 이 카드를 사용하고 이득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턴에 전투를 끝낸다는 보장이 있거나 보호막이나 방어 관련 버프를 주렁주렁 달고 있어야 하거나, 아예 미리 부적을 가지고 있어 해당 디버프를 막거나 영야 되돌리기로 넘기는 편법을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일섬의 영감이 나쁘지 않고 돈오가 사기적인 취급을 받는 동안 이 카드는 좋지 않은 취급을 받는다.
파일:LBoL 사랑의 매화.png <colbgcolor=purple> 이름 사랑의 매화
(Embers of Love)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를 얻습니다.
카드 3장 중 하나를 골라 뽑을 카드 더미 위에 올려놓습니다. 해당 카드에는 보충, 소멸, 휘발성이 붙습니다.
각 카드들의 코스트는 4로 구성됩니다.
강화 카드 선택 3 → 5
플레이버
텍스트
좋은 생각이 있어.
마나변환 및 생성 카드. 고코스트의 무작위 카드를 사실상 0코스트로 생성 가능한 것은 장점이나 덱의 맨 위로 보내기 때문에 바로 발동할 수가 없으므로 무의식적인 행동과 같은 덱에서 바로 발동하는 카드 또는 드로우 카드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 가장 좋은 조합은 카드를 2번 발동시키는 잠재력 해방과 연계하는 것이다. 다만 4코 카드 중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강화를 하여 선택지를 늘리는 것이 좋다.

원본은 동방지령전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부연「사랑의 매화」'. 1.6.1버전 이전에는 추가 공격을 사용한 턴 종료시 화력 3을 올려주는 희귀 능력 카드였다.
파일:LBoL 미움받는 자의 필로소피.png <colbgcolor=purple> 이름 미움받는 자의 필로소피
(Philosophy of the Despised)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버린 카드 더미에서 카드 최대 1장 선택해 연계 효과를 발동시킵니다.
이 때 대상 카드가 연계 카드가 아니라면 소멸됩니다.
강화 카드 선택 1 → 2
플레이버
텍스트
-
덱 발동 카드와 정반대로 버린 카드 더미의 카드를 발동시키는 카드. 발동한 카드에 연계 키워드가 붙어있지 않다면 그냥 발동하고 소멸해 버린다. 덱 압축 용도로 사용해도 괜찮으며 경우에 따라 초고코스트 카드를 2장이나 동시에 발동시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 불가 카드와 발동에 특수한 조건이 붙어 있는 카드[2]는 발동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 버린 카드 더미에 충분한 카드가 있어야 원하는 카드를 발동시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꿈결 카드와 조합해야 수월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원본은 동방지령전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미움받는 자의 필로소피」'.
파일:LBoL 잠재력 해방 2.png <colbgcolor=purple> 이름 잠재력 해방
(Unleashed Potential)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뽑을 카드 더미의 위에서부터 2장을 확인하고 이 중에 한 장을 선택합니다. 해당 카드는 두 번 발동되며 이후 소멸합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B.png
카드 확인 2 → 3
플레이버
텍스트
뇌 사용량 25%로 증가.
카드를 확인한 뒤 2번 발동시키는 카드. 미리 덱 정리를 해놔야 하는 자동 발동 빌드에서 가장 받을 수 있는 효과가 크며, 마찬가지로 다른 카드들의 보조를 받아야 제 성능을 발휘한다. 오픈 유니버스와 마찬가지로 초고코스트 고성능 능력 카드를 발동시켜 대박을 내는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아니면 쓸모 없는 카드를 제거해 압축시키는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대신 미움받는 자의 필로소피와 마찬가지로 사용 불가 카드와 발동에 특수한 조건이 붙어 있는 카드는 발동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1.7.0 업데이트로 비용이 감소하였다. 1.6.1 업데이트 이전에는 서브터레이니언 로즈의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파일:LBoL 상상 속의 탄막.png <colbgcolor=purple> 이름 상상 속의 탄막
(Imaginary Danmaku)
비용 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추가 공격을 2회 진행합니다.
뽑을 카드 더미에 충분한 연계 카드가 없는 경우 무작위 연계 카드를 생성해 추가 공격을 진행합니다.
강화 추가 공격 2 → 3
플레이버
텍스트
-
공격을 2~3번 하는 카드. 만약 뽑을 카드 더미에 연계 카드가 없다면 무작위로 연계 카드를 생성해서 발사를 하며, 생성되는 카드에는 본능적인 사랑, 하트의 무도, 요동치는 감정, 고독한 마음이 있다. 최소 32 피해는 보장하는 강력한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발동되는 효과는 두렵고 귀여운 전화의 효과보다 우선된다.

다만 카드 자체가 코이시 B보다 코이시 A에게 더 적합한데, 코이시 B는 기본 카드가 연계 카드이기 때문에 미리 지워놓지 않았다면 성능이 급감한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 뽑을 카드 더미에 좋은 연계 카드만 남아 있어도 해당 카드들을 미리 소모해버려서 다른 추가 공격 발사대 카드들을 낙동강 오리알로 만든다는 문제점도 존재. 그렇다고 이 카드만으로 추공 발사대 역할을 맡기려고 한다면 발사대 선택지가 크게 줄어들어 최악의 경우 패에 추가 공격 카드만 몰려 나오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이시 B는 이 카드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추천되고, 코이시 A가 열정을 켜고 주력 또는 보조 딜링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훨씬 좋다.
파일:LBoL 로르샤흐 검사.png <colbgcolor=green> 이름 로르샤흐 검사
(Rorschach Test)
비용 파일:LBoL ManaG.png
효과 뽑을 카드 더미의 위에서부터 3장을 확인합니다. 이 중 남길 카드를 한 장 제외하고 나머지 카드를 뽑습니다.
선천성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1.png
카드 확인 3 → 4
플레이버
텍스트
-
저코스트 드로우 및 덱조작 카드. 선택한 카드 이외는 모두 드로우하므로 덱에서 발동하는 카드가 있을 경우 고코스트 카드는 일부러 남기는 전략도 가능하다. 덱조작을 빼더라도 선천성 달린 물장난이라는 훌륭한 성능을 자랑하므로 초중반이나 딜플랜이 확보되어있는 상태면 주워도 손해보지 않을 카드. 허나 카드 그 자체로는 위력이 없기 때문에 덱 파워가 부족하다면 다른 카드를 먼저 집는 것이 추천된다.
파일:LBoL 완전범죄.png <colbgcolor=green> 이름 완전범죄
(Perfect Crime)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대상의 보호막, 그레이즈, 광학미채, 천의무봉을 빼앗습니다.
대상의 화력과 영력을 최대 3만큼 빼앗습니다.
소멸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플레이버
텍스트
이 '천의무봉'은 이제 제껍니다. 제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겁니다.
대상의 버프를 털어가는 카드. 온갖 방어 버프를 싹 털어가는 효과는 좋아보이지만 이득을 볼 정도로 오랫동안 버프를 거는 적은 거의 없는데다 화력과 영력은 기본적으로 대상이 가지고 있어야만 훔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모로 사용하기 애매하고 써먹기 힘든 카드다. 그러나 달토끼를 상대로 사용할 때는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달토끼의 천의무봉을 훔칠 수 있어 플레이어가 무한 무적이 되어버리고 달토끼는 체력 20짜리 잡몹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특수한 상대가 아니라면 쓸모 없는 카드.

1.6.1 업데이트로 보호막도 훔쳐갈 수 있게 되어서 엘리트나 보스 상대로 사용할 여지가 생겼다. 특히 시작부터 보호막을 많이 두르고 있는 도레미와 클라운피스의 카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파일:LBoL 0. 바보.png <colbgcolor=green> 이름 0. 바보
(Tarot: The Fool)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예지 3.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에 있는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강화 예지 3 → 7
플레이버
텍스트
-
덱압축 및 코스트 절약 카드. 고코스트 카드를 덱 맨 위에 올려놓고 발동하는 용도로 쓰이나 단순 덱압축 성능도 나쁘지 않으며, 다른 꼭대기 발동 카드와 같이 사용하려면 당장 사용할 카드와 그 다음에 사용될 카드들까지 염두에 두고 정리하는 것이 추천된다. 강화 시 예지 범위가 2배 넘게 상승하기 때문에 강화 의존도가 있다.
파일:LBoL 돈오 2.png <colbgcolor=blue> 이름 돈오
(Epiphany)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U.png
효과 둔주에 들어섭니다.
소멸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U.png파일:LBoL Mana1.png
플레이버
텍스트
ㄱ―
간단명료하게 둔주에 진입하는 카드. 같은 등급의 희귀 카드인 의식 박리의 완벽한 상위호환으로, 코이시가 보유한 가장 뛰어난 고밸류 카드 중 하나이자 코이시 A의 핵심인 둔주에 아무런 조건이나 페널티도 없이 진입시켜주는 막강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이 카드 하나 때문에라도 청색 마나 유물을 집을 가치가 존재한다.

1.7.0 업데이트로 등급이 고급에서 희귀로 올라갔다.

3.4. 능력

3.4.1. 고급

파일:LBoL 상사병.png <colbgcolor=purple> 이름 상사병
(Lovesickness)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열정에 들어설 시 카드를 2장 뽑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0.png
플레이버
텍스트
-
추월마요의 핵심이자, 코이시의 드로우를 대폭 보강하는 카드. 기본 카드인 로맨틱 로즈와 사용 시 뽑을 카드 더미로 돌아가는 로즈 케이지 덕분에 조건 충족이 그리 어렵지 않다. 이미 열정에 진입한 상태에서 추가로 발동시킬 수는 없고, 열정인 상태로 턴을 종료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열정 상태에서 이탈하기 위한 카드와 평온 카드 수를 열정 카드 수와 적절히 맞추는 등 덱 밸런스를 신경 쓸 필요가 있다.

상사병 1장으로도 덱 압축을 아주 잘하거나 호기심 등 드로우 카드/텐구의 전화기나 국자 등 손패를 대량으로 끌어올 수단이 있다면 1~2번째 턴에 무한 진입이 가능하지만, 상사병이 2장 있다면 훨씬 쉽고 안정적인 무한 진입이 가능하며, 봄나들이나 무아지경이 안 나오더라도 실험기구 등으로 로맨틱 로즈-무아 무한을 달성할 수 있다. 상사병 3장째부터는 패 매수 제한 때문에 과하므로 굳이 집을 필요는 없다.
파일:LBoL 변덕.png <colbgcolor=green> 이름 변덕
(Capriciousness)
비용 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화력을 2 얻습니다.
열정: 추가로 화력을 1 얻습니다.
평온: 대신 영력을 2 얻습니다.
강화 화력 2 → 3
영력 2 → 3
플레이버
텍스트
-
흔히 볼 수 있는 화력 카드. 현재 마음가짐 상태에 따라 효과가 증가하거나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택에 따라 신체 강화 또는 신앙 수집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로즈 지옥과 같은 연타 카드와 조합하면 좋아 보이지만 원체 성능이 낮은지라 집을 필요는 별로 없다. 사실 거의 완벽한 상위 호환 카드인 자아 제어가 존재하므로 해당 카드가 있다면 집을 필요가 없다.
파일:LBoL DNA의 흠 2.png <colbgcolor=green> 이름 DNA의 흠
(DNA's Flaw)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내 턴 시작 시 DNA 전사를 1장 얻습니다. 해당 카드에는 소멸과 휘발성이 붙습니다.
강화 즉시 효과 한 번 발동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
매 턴 공짜 공격 카드를 2장 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카드. 피해량으로 보면 6씩 2회 총 12 피해를 주며, 보통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 그레이즈 벗기기
  • 둔주 중 마나 펌핑 및 드로우
  • 두렵고 귀여운 전화 발동
  • 가면 시리즈 효과 트리거
화력이 충분할 경우 좋은 서브 딜 플랜이 될 수 있으나, 요호와 같이 카드 사용 제한을 거는 적 상대로 취약하며 특히 레밀리아 상대로는 봉인하는 것이 추천된다.

원본은 더블 스포일러에 등장한 코이시의 스펠 카드 '기억「DNA의 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DNA 전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LBoL DNA 전사.png <colbgcolor=green> 이름 DNA 전사
(DNA Transcript)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피해를 6 줍니다.
영구 메아리
강화 피해 6 → 9
플레이버
텍스트
-
사용할 시 복사되는 카드이자 DNA의 흠의 토큰 카드. 유사한 카드인 포수명과 비교하자면 포수명은 패로 들어올 시 바로 복사되는 반면 DNA 전사는 사용해야만 카드가 복사된다. 위력은 포수명과 동일하며 0코 12~18 피해는 강한 편이라 초중반에 사용하기 좋고, 만약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무한히 복사될 일은 없으므로 덱에 방해를 주는 일도 없다. 소멸 관련 시너지가 있어서 레이무 관련 카드들과의 조합도 좋고 타수도 여러 번 발생하기 때문에 가면 계열 전시품과의 조합도 뛰어나다.

다만 자체적인 위력이 낮기 때문에 좋은 주력 딜링 수단을 얻었다면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잘 안 쓰이게 되며, 특히 카드 제한을 거는 레밀리아를 상대로는 포수명보다는 조금 덜 하지만 그래도 쓰레기임은 똑같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후환이 없다.

1.7.0 업데이트로 DNA의 흠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게 되었고 피해량이 1 증가하였다.
}}}}}}}}}
파일:LBoL A.T. 필드.png <colbgcolor=green> 이름 A.T. 필드
(A.T. Field)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마음가짐이 바뀔 때마다 방어를 5 얻습니다.
강화 방어 5 → 7
플레이버
텍스트
겁먹지 마... 겁먹지 마!
추월마요의 가장 강력한 방어 대책. 코이시는 마음가짐을 계속 전환하는 방식으로 운용하게 되는데 그 때마다 방어 카드 없이도 5~7 방어도를 제공한다. 가장 흔한 사이클인 (평온 시작) - 로맨틱 로즈(열정) - 마음의 해방(이탈) - 무아(평온) - 로즈 케이지(열정)을 사용한다고 했을 때 강화 카드 기준으로 28의 방어를 얻을 수 있다. 둔주 진입이나 마음가짐 없음 상태로 돌아가도 적용된다.

추월마요 빌드를 갈 때 A.T. 필드가 나오지 않는다면 안정적인 방어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A.T. 필드가 초반에 나왔더라도 한 장은 보험 삼아 집을 만하다. 대신 닫힌 마음이 충분히 있을 경우 중요성이 살짝 낮아지며, 좀 더 힘들지만 저조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코이시 B는 마음가짐 전환을 염두에 두지 않기 때문에 집을 필요가 없다.
파일:LBoL 무아지경 2.png <colbgcolor=yellow> 이름 무아지경
(Anatta)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W.png
효과 평온에서 벗어날 때 추가로 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파일:LBoL ManaP.png를 얻습니다.
평온에 들어섭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W.png
플레이버
텍스트
-
평온의 가치를 1 늘려주는 카드. 평온 돌입 카드가 많고 평온 이탈을 자주 할 때 많은 이득을 볼 수 있다. 평온 상태일 때 열정으로 전환하거나 마음의 해방, 호기심 등을 사용하면 큰 이득을 볼 수 있으며 이 카드도 평온 돌입 카드이기 때문에 그럭저럭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코스트가 높기 때문에 강화가 필수적이며 최대한 이득을 볼 수 있도록 상사병이나 호기심 등의 수단으로 드로우를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colbgcolor=red> 이름 광적인 사랑
(Lunatic Love)
비용 파일:LBoL ManaR.png
효과 플레이어가 열정 상태일 때 주는 피해 배율이 150%가 되며, 공격 카드로 가하는 피해에 명중이 붙습니다.
열정에 들어섭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R.png파일:LBoL Mana1.png
선천성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사실 지난 게임에서부터 따라다녔어!"
열정의 위력을 대폭 상승시키는 카드. 열정 진입 시 기본 공격 카드의 피해량이 25가 되는 등 공격력을 크게 끌어올려 짧은 턴 안에 적들을 쓸어버릴 수 있게 만들어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궁니르 대용으로 사용도 가능. 대신 내가 받는 피해도 증가하기 때문에 턴 종료 전에 열정을 끄지 못한다면 역공을 맞고 순식간에 죽어버릴 수 있으므로 각종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마음가짐 전환 능력은 없어도 깡방어가 높은 레이무가 더 잘 사용하기도 한다.

3.4.2. 희귀

파일:LBoL 생각할 시간.png <colbgcolor=green> 이름 생각할 시간
(Lemme Think)
비용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내 턴 종료 시 유레카!를 한 장 뽑을 카드 더미에 섞어 넣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
플레이버
텍스트
-
매 턴 유레카!를 주는 카드.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스택을 쌓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별 쓸모가 없으므로 영감을 쌓는 다른 카드들과 연계해서 사용해야 한다. 특히 1.6.1 업데이트로 영감 스택 요구가 4로 증가해 일섬의 영감+ 단독으로는 둔주 진입이 불가능해졌으므로 이를 보완하는 좋은 윤활유 역할을 하며, 잊을만할 때 영감을 쌓고 둔주에 진입하게 해주는 좋은 성능을 가졌다.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colbgcolor=green> 이름 자아 제어
(Self-Control)
비용 파일:LBoL Mana4.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선택: 열정 또는 평온 상태에 들어섭니다.
내 턴 종료 시 열정 상태라면 화력을 3, 평온 상태라면 방어를 9 얻습니다.
강화 화력 3 → 4
방어 9 → 12
플레이버
텍스트
-
현재 마음가짐에 따라 매 턴 다른 효과를 얻는 카드. 열정 상태라면 매 턴 불사의 불꽃+보다도 높은 화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버틸 수만 있다면 화력을 마나마냥 펌핑할 수 있으며, 평온 상태에서는 약간의 방어를 얻을 수 있다. 성능 자체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형인지라 상당히 강력하며, 굳이 추월마요가 아니라도 그냥 평온만 계속 켜놓는 방법으로 간이 방어 매트릭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대신 코스트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는 것은 비추천되고 마나 펌핑을 한 뒤 또는 잠재력 해방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1.6.1 업데이트 이전에는 평온 상태일 시 방어를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매 턴 얻는 방어도 수치가 고정된 탓에 후반 효율이 별로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그리 좋은 카드가 아니지만, 1막 방어 수단으로는 쓸만 했다.
파일:LBoL 진아의 각성.png <colbgcolor=green> 이름 진아의 각성
(True Self's Awakening)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
효과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에 있는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내 턴 시작 시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에 있는 카드를 발동시킵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G.png파일:LBoL ManaB.png파일:LBoL ManaG.png
플레이버
텍스트
-
매 턴 공짜로 카드 한 장을 써주는 카드로, 랜덤성은 있지만 전투가 길어질수록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 그러나 어떤 카드가 사용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불안정성이 커서 슬더스의 대혼란이 그렇듯이 평가는 좋지 않다. 자칫하다간 키 카드가 허공으로 날아가거나 감당하지 못할 열정 상태에 들어서게 되어 즉석에서 게임이 터질 수 있기 때문에 예지나 보존 카드 등으로 충분히 변수 대처가 가능하지 않다면 집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1.6.1 업데이트로 사용 시 바로 효과가 발동하고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를 조작하는 카드가 다수 추가되어 간접적인 버프를 크게 받았다. 이 때문에 자동 사용 빌드의 핵심 카드가 되었으며 조작 카드만 충분하다면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무의식적인 행동이나 0. 바보와는 다르게 사용할 카드를 바로 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턴 종료 전 미리 뽑을 카드 더미를 정리해야 한다. 카드를 처음부터 뽑을 카드 더미 위에 올려놓는 사랑의 매화와 호접지몽과의 조합이 가장 강력하다.

1.7.0 업데이트 이전에는 명칭이 '하르트만의 요괴소녀'였다.
파일:LBoL 호접지몽.png <colbgcolor=yellow> 이름 호접지몽
(The Butterfly Dream)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W.png
효과 완전 무작위 희귀 카드 1장을 뽑을 카드 더미의 꼭대기에 올려놓습니다. 해당 카드에는 보충과 소멸, 휘발성이 붙으며, 어떠한 마나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내 턴 시작 시 이 효과가 다시 한 번 발동됩니다.
휘발성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2.png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1.png파일:LBoL ManaW.png
선천성 추가
플레이버
텍스트
내가 나비인가? 아니면 나비가 나인가?
매 턴 무작위 희귀 카드를 제공하는 카드로, 얻은 카드는 마나 색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다른 랜덤 생성 카드들과 달리 생성된 카드를 뽑을 카드 더미에 올려놓으며 이는 해당 카드를 얻기 위해 드로우 카드를 요구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반대로 현재 마나가 부족할 때 사용 기회를 다음 턴으로 미룰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코이시가 보유한 덱 조작 및 자동 사용 카드들과의 시너지가 존재한다.

1.6.1 업데이트 이전에는 바로 패로 가져왔기 때문에 레이무의 경계 드나들기에 맞먹는 사기 카드로 온갖 강력한 희귀 카드들을 뽑아내서 스톨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승리 플랜이 될 수 있었으며, 특히 코이시는 평온과 둔주로 인해 마나가 상시 넘쳐나므로 코스트가 높은 희귀 카드를 아낌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파일:LBoL 두렵고 귀여운 전화.png <colbgcolor=red> 이름 두렵고 귀여운 전화
(Terrifyingly Cute Call)
비용 파일:LBoL Mana4.png파일:LBoL ManaR.png
효과 공격 카드가 사용될 시 추가 공격이 뒤따릅니다.
연계 카드가 없을 시 착신전화가 연계됩니다.
강화 비용 파일:LBoL Mana4.png파일:LBoL ManaR.png파일:LBoL Mana3.png파일:LBoL ManaR.png
플레이버
텍스트
착신거부를 거부한다.
모든 공격 카드를 연계 카드로 만들어주는 카드. 이 카드 한 장만으로 코이시 B의 공격 밸류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발동한 다음 공격 순환이 계속 돌아가게만 덱을 구성해도 승리 플랜이 갖춰진다. 코이시가 레이무에게 들이박게 되는 가장 큰 이유. 다른 캐릭터들도 코이시 전시품을 집었을 시 최우선적으로 구해야 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착신전화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LBoL 착신 전화.png <colbgcolor=red> 이름 착신전화
(Ring-Ring)
비용 파일:LBoL Mana0.png
효과 피해를 12 줍니다.
연계 카드
강화 피해 12 → 16
플레이버
텍스트
따르르르르르릉...
두렵고 귀여운 전화의 토큰 카드. 직접 사용할 일은 없고 덱에 연계 카드가 없을 경우 추가 공격으로서 발동될 때만 등장한다. }}}}}}}}}

3.5. 동료

3.5.1. 고급

파일:LBoL 감정의 가면, 코코로.png <colbgcolor=purple> 이름 감정의 가면, 코코로
(Kokoro, Awoken Persona)
비용 파일:LBoL ManaW.png파일:LBoL ManaB.png
효과 초기 지원력: 4
+1: 꿈결 1.
-2: 열정에 들어섭니다.
-4: 평온에 들어섭니다.
-6: 둔주에 들어섭니다.
강화 초기 지원력 4 → 6
플레이버
텍스트
페르소나!
하타노 코코로를 소환하는 코이시의 유일한 동료 카드. 매 턴마다 덱에서 한 장씩 날려버리는 사소한 단점이 존재하지만 현재 상황에 따라 그 어떤 감정 상태라도 진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특히 페널티나 복잡한 조건 없이 곧장 둔주를 발동시킬 수 있다. 강화 시 소환 즉시 둔주를 발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백색 마나의 돈오로 사용할 수도 있어 가치가 높다.

4.

5. 덱 컨셉

아래의 덱 목록은 로그라이트 덱 빌딩 장르 초심자 입장에서 직관적으로 전략을 이해하고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광요야를 보다 친숙한 유희왕트레이딩 카드 게임처럼 덱을 미리 완성하고 게임을 시작하는 형식에 대입한 후 억지로 구성하여 분류한 것에 가깝다. 광요야에서는 'XX 덱'처럼 특정 컨셉에 맞는 카드만 모아 덱을 만들기 어려우며, 만약 운 좋게 가능하게 되어도 그것이 항상 정답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덱 컨셉을 미리 정해 놓고 그것을 억지로 구현하려 하기 보다는 지도, 현재 카드, 전시품 상황 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덱을 구성하는 것이 전체적인 플레이와 장기적인 승률 상승에 도움이 된다.

5.1. 공통적으로 좋은 카드

5.2. 목록

5.2.1. 열정-평온 덱

일명 추월마요. 열정과 평온을 오가며 순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덱이다. 평온에 진입한 후 열정에 진입하면서 평온 이탈 마나를 얻고, 그와 동시에 상사병을 발동시켜서 손패를 무한 순환시키는 형식이다.

이론상 상사병, A.T. 필드, 열정 카드, 평온 카드 단 네 장만 있으면 게임 클리어가 가능하다. 단 광요야에는 쓰레기를 한무더기 넣는 적들이 많으므로 안정적인 드로우를 위해 여기에 호기심을 넣어 보통 다섯 장으로 구성을 완료하게 되며, 모든 카드들의 등급이 희귀 미만이라 카드 보상이나 상점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덱을 5장 이하로 압축하면 첫 턴에 무한 시동을 걸 수 있고, 여기에 특정 전시품이 있다면 6~7장까지 봐줄 수 있으나 덱 압축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단 최대한 불필요한 카드를 제거한 후 호기심 등 드로우 카드로 카드를 최대한 뽑아내거나 악마의 서적 등 소멸 카드 필요 없는 카드를 제거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사병을 2장 이상 사용할 경우 더 편하고 안정적으로 무한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봄나들이+/무아→로맨틱 로즈+→저조 같은 식의 방어 플랜도 구성할 수 있다.

여타 무한 덱이 그렇듯이 A.T. 필드와 같은 방어 카드를 구하지 못한다면 강제 턴 종료나 카드 사용 시 피격 기믹이 있을 경우 매우 위험해진다. 그리고 덱 압축 최소 요구치만 만족하는 상황에서 첫 턴에 바로 무한 진입이 안 되거나 충분한 소멸 카드/응급 처치 가이드 등이 없다면 상태 카드를 덱에 집어 넣는 각종 적들 상대로 무한 성립이 불가능해져 위험해질 수 있다. 특히 3막 보스로 레밀리아가 걸렸을 경우 절대 클리어가 불가능하며[3], 세이자가 첫 턴에 장궁을 꺼내든다면 똑같이 급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5.2.2. 둔주 덱

5.2.3. 연계 덱

6. 해금 정보

7. 기타


[1] 코이시의 스펠 카드 중 '표상「꿈자리에 조상님 총기립」'이 존재하여 여기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나, 해당 스펠의 중국 명칭은 '表象「列祖列宗入梦来」'이고 해당 카드의 중국 명칭은 '祖先托梦'으로 명칭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2] 마음속 자물쇠, 봄빛 섬광 등.[3] 루나틱 기준으로 카드를 딱 5장만 사용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무한 달성의 의미가 없어진다.[4] 안정적인 무한 달성을 위해 1장만 넣는 것이 추천된다.[5] 코스트가 매우 높으므로 무한 달성 전에 억지로 사용하는 것은 자살 행위가 될 수 있으니 최대한 마나를 쌓은 뒤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