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13:39:33

디스패치(게임)

디스
Dispatch
<nopad> 파일:디스패치 커버아트.jp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Digital Deluxe Edition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디스패치 디지털 디럭스 에디션 커버아트.jpg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유통 애드혹 스튜디오[1]
Critical Role[2]
플랫폼 Microsoft Windows | PlayStation 5
ESD Steam | PlayStation Store
장르 어드벤처
출시 2025년 10월 22일
엔진 언리얼 엔진 4
한국어 지원 자막 한국어화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관련 사이트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특징5. 등장인물
5.1. SDN(Superhero Dispatch Network)
5.1.1. 피닉스 프로그램(Pheonix Program)
5.2. 빌런
6. 에피소드7. 평가8. 흥행9. 기타

1. 개요

AdHoc Studio가 2025년 10월 22일 개발/발매한 슈퍼히어로 직장 코미디를 소재로 한 어드벤처 게임. 25년 5월 30일 데모 공개. 첫 출시 이후 약 4주에 걸쳐 매주 2개 에피소드씩 공개되며, 25년 10월 22일[3] 에피소드 1&2편, 10월 29일 에피소드 3&4편, 11월 5일 에피소드 5&6편, 11월 12일 에피소드 7&8편이 공개되었다. 원래는 텔테일 게임즈에서 개발 중이었지만, 텔테일 게임즈 파산 이후 출신 직원들이 새로 설립한 AdHoc Studio에서 개발/발매하였다.

2. 발매 전 정보

===# 트레일러 #===




3. 시스템 요구 사항

<rowcolor=#fff,#fff>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Windows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10 64-bit or later
프로세서 2.0 GHz Intel Core i5-7400
AMD Ryzen 5 2600
or higher
메모리 2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970
or equivalent
NVIDIA GeForce GTX 1050
AMD Radeon RX 580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25 GB

4. 특징

5.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5.1. SDN(Superhero Dispatch Network)

작중 주인공인 로버트가 슈퍼히어로를 은퇴한 뒤 새로 입사하는 직장으로 현실의 119 혹은 911 긴급상황센터처럼 각종 범죄 사건이나 긴급상황에 인력을 투입하는 사설보안기업이다. 차이점이라면 경찰관이나 응급대원 대신 슈퍼히어로를 투입한다는 것.[4] 회원제로 운영되는 민영기업인 듯하며, 이들이 쓰는 컴퓨터는 구식 컴퓨터로 보이지만 임무수행을 위해 계약을 맺은 건물의 CCTV 통제권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사설보안기업으로선 꽤나 규모가 크다.[5]

5.1.1. 피닉스 프로그램(Pheonix Program)

전 슈퍼빌런들을 슈퍼히어로 팀으로 활동하게 하는[29] 일종의 사회봉사형 프로그램이다. SDN도 여기에 참여하는 중이며 이에 따라 슈퍼빌런 출신들로 이루어진 팀을 운영하고 있다. 팀명은 Z팀. 전 멤버들이 절도죄부터 방화, 살인죄까지 다양한 죄목을 가지고 있는데, 그래서인지 다들 어딘가 문제가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작중 주인공인 로버트가 배치요원으로 이들을 담당하면서 골머리를 앓는다. 그래도 로버트의 노력으로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에피소드 3에서 실적이 가장 낮은 소나와 쿠프 둘 중 한 명을 해고해야 하며 이는 향후 스토리 진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

5.2. 빌런

6. 에피소드

7. 평가

기준일:
2025-11-1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dispatch/critic-reviews/|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dispatch/user-reviews/|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상세 내용

기준일:
2025-11-13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9505/dispatch|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fc430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9e00b4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4aa1ce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90) * 1.8deg)), #80b06a 90%, #2e2e2e 9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90}}}}}}}}}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9505/dispatch|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478c77, #76c8ff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6c9059, #627f50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9505/dispatch|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fc430a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9e00b4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4aa1ce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100) * 1.8deg)), #80b06a 100%, #2e2e2e 100%)"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100}}}}}}}}}
유저 평점]]


기준일:
2025-11-14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592160/#app_reviews_hash|압도적으로 긍정적 (9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592160/#app_reviews_hash|-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최종화가 공개된 이후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슈퍼히어로 드라마 장르를 많은 양의 애니메이션 컷신으로 풍부하게 연출하면서 가벼운 운영 시뮬레이션+퍼즐로 머리와 반사신경을 쓰게 만드는 게임 플레이까지,[57] 매 에피소드 공개마다 다음주를 기다려지게 하는 좋은 구성을 보여주었다는 평가.[58] 거기다 뭘 선택하든 답정너였던 기존 텔테일 게임들과는 달리 선택에 따라 특정 등장인물의 행적이 크게 바뀌기도 하고[59] 이는 당연히 후반부 에피소드와 결말에서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그래서 텔테일 게임즈 팬 출신 플레이어들은 이 점에 고평가를 주기도 하였다.

엔딩의 경우 대놓고 시즌 2를 예고하는 듯한 다소 불완전한 엔딩도 존재하는가 하면, 반대로 어느 정도 기승전결을 갖추며 깔끔하게 끝나는 엔딩도 존재한다. 다만 많은 플레이어들이 시즌 2를 기대하고 있는 데다가, 판매량도 그럭저럭 잘 나왔고,[60] 작품에 성우로 참여한 이들도 시즌 2를 기대한다는 영상들이 많이 공개된 만큼 향후 이를 시리즈화 혹은 스핀오프로 세계관 확장할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2025 더 게임 어워드 The Best Debut Indie Game 수상 후보에 올랐다.

8. 흥행

파일:dispatch-has-sold-1-million-copies-in-10-days-v0-2bmlxorkc4zf1.webp

출시 10일 만에 100만 장을 판매하였다. 에피소드 5, 6이 공개된 이후 150만 장을 넘겼다.

9. 기타


[1] 전 텔테일 직원들이 독립한 뒤 차린 회사이다.[2] 주로 시나리오를 담당했다.[3] 미국 시간 기준. 한국 시간으로는 하루 더 늦은 23일에 에피소드 1&2편이 나왔다.[4] 다만 현실의 진상들이 경찰관이나 소방관에게 잡다한 일을 시키기 위해 신고하는 것처럼, 계약했으니 뭐든 해줘야 한다는 마인드의 진상 고객들도 있다. 작중에선 이삿짐을 나르고, 가구를 조립해달라고 요구하는 고객도 등장한다.[5] 소속된 히어로만 해도 수백 명에, 로버트가 속하게 되는 지부에만 약 40~50명 정도의 히어로가 활동 중이라고. 로버트가 작중 SDN이 출동한 건물의 CCTV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이게 합법이냐고 묻자, 체이스는 작은 글씨로 써져 있지만, 분명히 계약서에 담긴 내용이라고 설명한다.[6] 메카맨은 50년 전 로버트의 할아버지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주인공 로버트는 3대 메카맨에 속한다. 1대 메카맨은 메카맨 프라임이라고 불렸으며 첫 번째 메카맨 슈트를 만들어서 활동을 시작했지만 히어로 활동 중 사망했다. 로버트의 아버지이자 메카맨 아스트랄이라 불렸던 2대 메카맨은 브레이브 브리게이드(Brave Brigade)라는 히어로 단체를 만들어 활동했지만, 마찬가지로 브레이브 브리게이드의 일원으로서 히어로로 활동하다가 빌런으로 전향한 슈라우드라는 악명높은 슈퍼빌런에 의해 살해당했다. 주인공 로버트는 얼마 안 남은 유산과 아버지의 사망 보험금을 모두 투자해서 메카맨 슈트를 복원해 3대 메카맨인 메카맨 블루라는 이름으로 히어로 활동을 이어갔다.[7] 작중 로버트는 약 5년 정도 메카맨 활동을 한 것으로 보이며, 그동안 모든 재산을 메카맨 슈트의 유지와 수리에 투입했기 때문에, 히어로로서 상당한 명성을 가진 것과는 별개로 조그마한 원룸에서 애완견 비프와 함께 근근이 살아가고 있다.[8] 심지어 입에서 광선을 뿜는 빌런의 엄지를 순수 치악력으로만 물어뜯어 잘라버리기까지 했다.[9] 다만 프롤로그에서는 부상을 입은 데다가 몇 달 동안 혼수상태였고, 깨어난 뒤에도 메카맨의 핵심 부품인 아스트랄 펄스를 찾느라 재활할 시간이 없었던 탓에 몸이 상당히 약해져 단순 강도 패거리를 상대하는 것도 버거워했다. 그래도 몸에 복근이 남아 있는 등 이전에 신체 단련은 철저히 한 듯.[10] 이 모습을 보면 생각보다 원만하지 못했던 부자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로버트 본인의 목숨이 위험했던 만큼 아버지로서 자식을 엄히 훈계하려는 게 그리 이상하지는 않다는 반응도 있다. 실제로 로버트가 위험하다는 걸 눈치채자마자 표정이 굳으며 체이스보고 가라고 외쳤고, 로버트가 크게 다치지 않았는지 급히 확인하던 것을 보면 아들을 사랑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11] 디스패치 세계관에는 SDN처럼 기업에 속해서 돈을 받고 일하는 히어로가 존재하는데, 메카맨은 어떤 기업에도 속하지 않고 오직 정의감만을 가지고 활동한 데다가, 2대가 빌런과의 싸움에 희생되기도 했다. 이런 자기희생적인 면모 때문에라도 당연히 일반적인 기업 소속의 히어로들과는 차원이 다른 훨씬 높은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12] 다만 작중 초반 기자들이나 인터뷰하는 시민의 태도를 보면 선대의 유산을 망친 못난이 취급을 받는데, 1대 메카맨으로서 초창기 히어로 활동을 이끌었던 할아버지나 브레이브 브리게이드(Brave Brigade)라는 히어로 단체를 이끌었던 아버지에 비해서는 낮은 평가를 받는 듯하다. 다만 이는 작중 한 기자가 내비쳤듯 1대 메카맨과 2대 메카맨 모두 슈트 안에서 죽었는데, 로버트는 왜 3대를 이어온 슈트를 박살냈으면서도 왜 그들처럼 슈트 안에서 죽지 않았냐는 다소 억지스러운 주장도 한몫한다. 즉 선대가 이룩한 업적이 워낙 큰 데다 정의를 위해 목숨까지 바쳤던 비극적인 말로 탓에 로버트는 억울하게 비겁자처럼 평가되는 것.[13] 애초에 페노마맨은 외계인이고, 그 사실을 딱히 숨기지도 않고 있다. 즉 영웅으로서의 정체성과 그 뒤의 존재에 대한 정체성이 완전히 동일한 인물이라는 것. 페노마맨과 블론드 블레이저가 헤어지는 내용을 담은 코믹스에선, 블론드 블레이저가 영웅이 아닌 자신의 진짜 정체성을 이야기하며, 평범한 사랑과 삶을 이야기하지만, 페노마맨은 일방적으로 히어로로서의 블론드 블레이저만을 이야기하며 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14] 이때 변신을 풀면서 붉은 보석 목걸이가 빛나면서 해제되는 것을 통해, 이 목걸이가 그녀가 가진 능력의 본질이라는 것이 드러나는데,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그 목걸이를 혼수상태인 체이스에게 빌려주는 것으로 역전의 기회를 마련한다. 이때 에피소드 4에서 로버트가 이미 목걸이의 비밀을 알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블레이저의 대사가 달라진다.[15] 다만 이는 게임상의 허용이거나 페노마맨이 우울증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능력을 약화시켜 나타낸 것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다. 실제로 이전에 로버트와의 대화에서 페노마맨이 자신보다 더 빠르게 비행한다며 언급한 적도 있기 때문에 신체적인 능력은 페노마맨이 더 뛰어날 것이다. 물론 블론드 블레이저는 슈퍼히어로면서 동시에 한 지부의 지부장을 맡을 정도로 관리자로서의 역량도 뛰어난 만큼 스탯이 주로 신체 능력 쪽으로만 쏠린 페노마맨과 달리 머리도 좋고 사람들을 이끄는 재능도 보유한 다재다능한 육각형 능력자라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16] 컷신에서도 붙잡혀 고문당하던 로버트를 구하기 위해 블론드 블레이저가 레드 링의 모든 슈퍼빌런들이 모인 가운데 홀로 돌입하는데, 여기서 그녀는 수십 명이 넘는 빌런들을 상대로 만약 너희들이랑 싸우게 된다면 마지막에 내가 지긴 하겠지만, 너희들 중 절반은 길동무로 같이 데려갈 수 있을 거라고 단언한다. 다른 빌런들 또한 이를 부정하지 못하고 긴장했으며, 슈라우드는 자기 계산상 32% 정도 처리할 수 있을 거라 덧붙이기는 했지만 당장은 순순히 물러나기를 택했다. 이후 SDN 습격 당시 Z팀 전부가 레드 링의 슈퍼빌런들과 비등비등한 전투를 벌이는 걸 보면 블론드 블레이저가 가진 전력을 짐작해볼 수 있다.[17] 부작용은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고, 이걸 알아차렸을 때는 이미 너무 많은 나이를 먹은 뒤였다고 한다. 오랜만에 그를 만난 로버트도 처음에는 체이스를 못 알아봤을 정도.[18] 로버트도 대놓고 흑인 아인슈타인처럼 됐다고 인종드립을 친다.[19] 이때 이렇게 달리고 나면 자신이 어떻게 될지 충분히 짐작하면서도, 히어로로서 다시 사람을 구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능력을 쓴다는 사실에 미소 짓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가 진정한 히어로임을 보여주는 명장면.[20] 체이스는 평소에도 인비저갤을 Z팀 안에서도 가장 안 좋게 보는 모습을 많이 보여줬고, 직전 인비저갤이 무리해서 아스트랄 펄스를 탈취하겠다고 주장했을 때도 이를 직설적으로 비난해서 크게 싸우기도 했다. 그런 체이스가 인비저갤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고 능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인비저갤 입장에선 더욱 큰 충격일 것이다.[21] 이때 체이스는 2003년 때 20살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작중 시간대는 2022년이라는 걸 알려 준다.[22] 로이드는 메카맨 슈트의 수리 담당이기도 하기 때문에 로버트의 정체가 공유되었다고 한다.[23] 로버트는 저 1시간 정도의 대화가 본인이 생전 아버지와 나눈 어떤 대화보다 길었다고 말하며 다소 황당해하며, 이를 들은 로이드도 머쓱해하며 분위기가 어색해진다.[24] 시너지도 두 개나 가지고 있는데 각각 펀치 업과 말레볼라와 함께하는 시너지를 보유하고 있다.[25] 페노마맨은 비행 능력이 있고 초기 능력이 매우 높지만 대부분의 능력치가 대체할 요원이 이미 많은 전투, 체력, 기동성에만 특화되어있다. 이에 반해 워터보이는 초기 랭크치가 워낙 낮아 능력 성장성이 높다 보니 소나를 해고시켜 팀에서 지능 담당 요원이 부족해졌을 때, 지능 쪽에 특화시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선택지이다.[26] 특히 전 연인이 블론드 블레이저와 함께할 때는 자기 입장에서 훌륭한 데이트라 생각했던 게 다 괴상하기 짝이 없는 짓이었고, 평소에도 이해하는 방식이 평범한 인간과는 많이 동떨어져 있어서 로버트를 많이 당황하게 만든다. 한국어 자막에서는 번역이 제대로 안 됐지만 영어를 쓸 때의 말투마저도 굉장히 사전적인 데다 일상적이지 않은 용어를 자주 쓴다. 페노마맨을 영입하면 뜬금없이 블론드 블레이저의 연애 이야기를 털어놓는 과정에서, 자신의 외계인 생식기는 지구인 생식기와 호환(?)이 되지 않아서 둘은 단 한번도 성관계를 맺은 적이 없다고 털어놓기도 하는 걸로 봐서 겉모습만 인간처럼 생겼지 생물학적으로도 많은 부분이 다르다. 페노마맨은 외모나 설정이 인빈시블옴니맨을 패러디한 캐릭터지만 지구인과 멀쩡히 애까지 낳은 데다가 폭력적이고 흉폭한 진실을 가진 옴니맨과는 달리, 인간과는 성관계도 불가능한 데다가 비록 인간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것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 히어로로서의 면모를 끝까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오히려 옴니맨과는 정반대 캐릭터.[27] 참고로 이때 뭉개진 차의 주인은 바로 플람베다. 워터보이 코믹스를 보면 플람베가 타는 차의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는데, 페노마맨이 뭉갠 차와 동일한 디자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최종 에피소드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망가진 자기 차를 보고 분노하는 플람베의 모습이 지나간다.[28] Z팀 영입 시 비행 가능, 휴식 시간 2초, 높은 기초 능력, 페노마맨 맞춤 임무 등 메리트도 많지만 자신을 포함해 팀 누구든 임무를 한번이라도 실패 시 임무 포기 및 45초의 쿨다운이 필요한 우울증이 발동한다. 게다가 처음부터 능력치가 전투/기력에 특화되어있고, 더 이상 성장시킬 수도 없다는 점도 활용하는 데에 있어서 발목을 잡는다.[29] 다만 공식적인 프로그램이라 그런지 폭탄 목걸이를 채우고 말 그대로 자살이나 다름없는 임무에 멤버들을 갈아 넣는 수어사이드 스쿼드보다는 대접이 훨씬 유한 편이다.[30] 다만 이 능력을 스스로도 통제하지 못해 박쥐인간 상태일 때 출동시키면 박쥐괴물로 변한 채, 박쥐괴물 상태일 때 출동시키면 박쥐인간으로 변한 채 돌아온다. 당연히 변신 상태에 따라 능력치도 달라진다. 평소 식성도 박쥐랑 똑같은지 타코를 먹을 때 쓰레기통에 기어다니는 바퀴벌레를 잡아 얹어서 먹는다.[31]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 중인 스탠드업 코미디언. 랜스 켄트스탑폴리스는 그의 부캐.[32] 이때 얼음물을 끼얹으면 열받아서 로버트에게 달려들다가 얼음을 밟고 미끄러져 부딪히는 바람에 이빨이 빠지고, 술을 끼얹으면 자기가 내뿜은 불이 번지는 바람에 눈썹이 홀라당 타버린다.[33] 하지만 로버트에게 진짜로 해를 입히는 등의 선을 넘지는 않는데, 이건 당연한 것이, 플람베가 로버트를 해치기라도 했다간 플람베는 그대로 다시 철창행이기 때문이다.[34] 그런데도 바로 위 순위인 16위가 300이 넘는 포인트를 얻은 상황에서 17등인 플람베는 81점으로 차이가 큰 걸 보면, 능력의 강약보다는 인성이나 자제력의 문제가 심한 듯하다. 이는 Z팀 구성원 대부분이 공유하는 문제기도 하다.[35] 정체를 밝히지 않았을 경우 평범하게 램프를 주고 간다.[36] 그런데 정작 천식 환자면서 흡연을 하는 등 능력 발동에 필요한 몸 관리를 제대로 안 한다. 다만 에피소드 7의 내용을 보면 습관적 흡연에 자포자기하는 심정이 합쳐져서 이렇게 이어진 듯.[37] 동시에 이 때문에 SDN 내부에서 소수만 알고 있는 로버트가 메카맨이라는 사실 또한 알게 된다.[38] 프로필상 근밀도 조절능력도 가지고 있어서, 골렘과 다퉈서 유리문을 부쉈을 때 커다란 유리 파편이 몸에 박혔는데 뽑아버리자마자 상처가 재생되기도 한다. 공식 코믹스에선 심지어 쿠프가 펀치 업의 가슴에 칼을 박아넣으려고 했는데 제대로 박히지도 않는 걸 보면, 근육에 힘을 주면 웬만한 칼붙이는 흠집도 못 내는 것으로 보인다.[39] 공식 코믹스에선 암살자였던 쿠프가 의뢰를 받고 펀치 업을 암살하려 하다가 들켜 둘이 그 자리에서 싸우다가 눈이 맞아 원나잇을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40] 실제로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는 가수.[41]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플린트시 납 수돗물 사태로 악명 높은 막장도시다.[42]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전투할 때는 단순한 환영을 넘어서서 아예 실체화된 빛 형태의 물체를 만들어내는 모습도 보여준다.[43] 실제 성우 새아버지의 성씨를 그대로 따왔다. 아쉽게도 성우의 계부는 게임이 발매되기 전에 작고했다.[44] 이 때문에 에피소드 7에서 Z팀 멤버들이 인비저갤을 해고해야 한다고 주장할 때 유일하게 인비저갤을 변호했다.[45] 참고로 그의 나이는 현재 20살이며 Z팀에서 막내인 편.[46] 프랑스어 이름이라 원래 발음은 쿠페이나, 작중에서는 영어 발음을 따라 쿠프로 표기된다.[47] 게임 및 애니메이션 작가이자 성우 및 배우.[48] 슈라우드의 과거를 아는 체이스와 로버트는 이름을 일라이(Eli)라고 부르기도 한다.[49] 이때 슈라우드는 강화슈트를 입은 채로 싸움을 거는데 로버트의 아버지는 메카맨 슈트도 안 쓰고 맨몸으로 슈라우드를 손쉽게 탈탈 털어버린다.[50] 작중 슈라우드는 로버트에게 자신이 로버트의 아버지를 여러발을 쏴서 죽였고, 비참하게 죽어가는 눈빛을 보았다고 이야기하는데, 정작 코믹스를 보면 엘레베이터가 열리자마자 기습적으로 총알을 한발 쏴서 죽여버리고 그대로 도망쳤다. 즉 거창하게 자신의 암살을 포장했지만 실제론 로버트의 아버지에게 비참하게 패배하자, 그 분풀이로 총을 쏘고 그대로 도망친것.[51] 슈라우드가 아스트랄 펄스의 개발자로 참여한 것은 맞지만, 기술력이 있었다면 굳이 로버트의 아스트랄 펄스를 빼앗기보다는 자신의 것을 따로 만드는 것이 더 빨랐을 것이다. 거대 거미형 로봇을 움직일 정도의 에너지원은 만들 수 있었지만, 홀로 아스트랄 펄스를 다시 만들어내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52] 뉴욕에서 활동하는 코미디언.[53] 얼마나 큰지 그 블랙 바가 거의 팬티만 하다.[54] 그 발칙한 몰골을 본 로버트는 과연 '톡식'이라는 이름값은 제대로 한다고 평하기도 했다.[55] 사실 슈라우드의 강화 장비로 능력을 상승시킨 덕분이다.[56] 라이트닝스트럭이 잘 했다기보다 첫 인비저갤과의 전투는 명령 무시 탓이고 두 번째는 고의적인 인비저갤의 방해 탓이라 제대로 싸운 세 번째에서는 평범하게 전투 끝에 잡혔다.[57] 다만 911 Operator 같은 로스터류 게임을 좀 더 기대했던 플레이어들과, 반대로 순수하게 이야기 위주로 한번에 몰아서 보고 싶었던 플레이어들도 있어서 이 부분은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좀 갈린다.[58] 처음에는 1주 단위로 에피소드를 단계적으로 공개하는 방식에 불만을 표하는 리뷰들도 꽤 있었지만, 시즌 중반에 이르러서 이야기가 흥미로운 전개를 보이자, 많은 커뮤니티에서 향후 전개를 예측하며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해보는 플레이어들이 많이 늘어나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 형성되었고, 이게 나름의 버즈 마케팅이 되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호불호는 갈릴지언정 나름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이 되었다.[59] 대표적으로 선택에 따라 적이 될 수도 있는 소나와 쿠프, 주인공 로버트와 연인 관계로 발전할 수도 있는 인비저갤과 블레이저가 있다.[60] 무엇보다 이 게임은 텔테일 게임즈의 독립 이후로 개발한 첫 번째 게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