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02:55:44

Lachryma《Re:Queen’M》

라크리마 레퀴엠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라크리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2_sv_05.jpg

1. 개요2. 사운드 볼텍스
2.1. 채보 상세2.2. 당선자 코멘트2.3. The 5th KAC에서
3. 팝픈뮤직4. DanceDanceRevolution5. Lachryma《Re:Queen’M》 (Orchestra Arr.)6. 기타

[clearfix]

1. 개요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雪女, INF-B《L-aste-R》 등의 곡을 제공한 かねこちはる(카네코치하루). 작곡가 본인도 못 읽을 정도로(この読めない曲やります)[1] 곡명이 어려울 수 있으나, 쉽게 라크리마 레퀴엠으로 읽으면 된다. 곡 명은 눈물을 뜻하는 라틴어 라크리마(Lácrĭma, Lacryma, Lachrima)와 레퀴엠(Requiem)을 변형한 것이다.

악곡이 수록된 2016년 2월 BEMANI 좋아요 랭킹에선 Rebellio에 밀려 2위를 차지했다. 팝픈뮤직으로 이식된 2019년 11월에는 투표 목록에 없는데 누락된 것으로 보인다.

2. 사운드 볼텍스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역대 KAC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 최우수 당선곡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Max_Burning!!.png
파일:sdvx_Bangin' Burst.png
파일:sdvx_for_ultraplayers.pn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4_sv_02.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2_sv_05.jpg
Max Burning!!
BlackY
Bangin' Burst
かめりあ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703_sv_08.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702_sv_03.jpg
파일:p.eagate.573.jp/201802_sv_11.jpg
파일:p.eagate.573.jp/201902_sv_14.jpg
파일:p.eagate.573.jp/201902_sv_13.jpg
iLLness LiLin
かねこちはる
I
黒魔
ΣmbryØ
かぼちゃ
파일:666NOV.jpg
파일:XHRONOXAPSULE_exh.png
파일:Mixxion_NOV.jpg
파일:Akasha_NOV.png
666
RoughSketch
Silentroom MixxioN
MisoilePunch♪
BlackY
feat. Risa Yuzuki
}}}}}}}}} ||

사운드 볼텍스의 20레벨 패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bottom: -15px;"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파일:lachryma_grv.jpg
Lachryma《Re:Queen’M》 (GRV)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
파일:HE4VEN_MXM.jpg
HE4VEN ~天国へようこそ~
파일:iLLness LiLin MXM.jpg
iLLness LiLin
파일:FIN4LE ~終止線の彼方へ~_MXM.png
FIN4LE ~終止線の彼方へ~
파일:WHITEOUT_MX.png
WHITEOUT
파일:I_MXM.jpg
I
파일:xronier mxm.jpg
Xronièr
파일:엠브리오 mxm.jpg
ΣmbryØ
파일:배멀미 mxm.jpg
*Feels Seasickness...*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
파일:egomxm.jpg
ΣgØ
파일:ShockWAVE Syndrome MXM.jpg
파일:666MXM.jpg
666
파일:VVelcome!!.png
VVelcome!!
파일:MAYHEM_MXM.jpg
MAYHEM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margin: -7px 1px;"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파일:reminiscencemxm.jpg
《Re:miniscence》[코나스테][아레나]
파일:XHRONOXAPSULE_mxm.png
XHRONOXAPSULΞ
파일:Mixxion_MXM.jpg
MixxioN
파일:Bloomin_MXM.jpg
Bl∞min'
파일:imakimini_MXM.jpg
いまきみに
파일:YAMBR_MXM.jpg
You Are My Best RivaL!![아레나]
파일:SuddendeathMXM.jpg
SuddeИDeath
파일:APOCALYPSE RAY_MXM.jpg
APØCALYPSE RAY
파일:HeaveNsRain_MXM.jpg
HeaveИ's Rain
파일:Akasha_MXM.png
Λkasha
파일:Hexathlon_MXM.jpg
NEMSYS ARENA World Hexathlon
파일:exlipxe_MXM.jpg
{ eXLIPXe }[BPL_S3]
파일:SayonaraPlanetWars_XCD.jpg
Sayonara Planet Wars (XCD)
파일:dontyoudareplaygod_MXM.jpg
Don't you dare play GOD }}} MXM 난이도가 아닌 경우 곡명 옆에 괄호로 난이도명 별도 표기.
기간한정 또는 코나스테 해금[해금정보]

[코나스테] 코나스테의 BLASTER GATE에서 해금(기한 없음)[아레나] 아레나 스테이션 15000AP[아레나] [BPL_S3] 시즌 종료 후 일정 기간 스탬프 이벤트
}}}}}} ||
<colbgcolor=white,#1f2023>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colcolor=orange,#dd0> ADVANCED <colcolor=red> EXHAUST <colcolor=#dc6901,#e28712> GRAVITY
자켓 파일:external/sdvx.in/03242n.jpg 파일:external/sdvx.in/03242a.jpg 파일:external/sdvx.in/03242e.jpg 파일:lachryma_grv.jpg
레벨 08 13 18 20
체인 수 1348 1654 2253 3038[2]
일러스트 담당 第十のセフィラ - 亡国のGRACE ‡ 蒼弐 Michael
이펙터 PHQUASE lūcifer
수록 시기 III 47(2016.02.05)
BPM 236

The 5th KAC 최우수 당선곡 해금 순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XbqRvWE.jpg
雲の彼方
파일:external/sdvx.in/02163g.jpg
Last Battalion GRV
[BLASTER]
파일:VGuuWls.jpg
NEO GRAVITY
파일:erlung_grv.jpg
Erlung GRV
[BLASTER]
파일:R221IQ2.jpg
Candy Colored Hearts
파일:choux_a_la_creme_grv.jpg
choux à la crème GRV
[BLASTER]
파일:VKorKXi.jpg
End to end
파일:hellfire_grv.jpg
Hellfire GRV
[BLASTER]
파일:F54XcsH.jpg
EMPIRE OF FLAME
파일:bangin_gravity.jpg
Bangin' Burst GRV
[BLASTER] [로컬매칭X]
파일:external/sdvx.in/03242e.jpg
Lachryma《Re:Queen’M》 EXH
파일:lachryma_grv.jpg
Lachryma《Re:Queen’M》 GRV
자켓을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해금 조건은 각 문서 참조
[BLASTER] BLASTER GATE를 통한 해금[BLASTER] [BLASTER] [BLASTER] [BLASTER] [로컬매칭X] 로컬 매칭 미인정
}}}}}} ||

TRACK INPUT
난이도 필요 PCB 조건
NOVICE 통상해금
ADVANCED 1000 PCB해금
EXHAUST 2500
GRAVITY 4000
――그리고, 허상의 여왕은 [ruby(왕관, ruby=케테르)]에 손을 뻗는다.
「허상? 실상? 뭐든 상관 없다구.
그 왕관은… 여왕인 나에게 어울려!」

- "Malchut" - 망국의 여왕 그레이스[3]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The 5th KAC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최우수 당선곡으로 수록되었다.

자켓 일러스트 담당 캐릭터는 아오니사이가 그린 그레이스. 대응하는 세피라는 제 10의 세피라 말쿠트(왕국).

전용 트랙 배경을 사용. 초기 상태에서는 EVIL EYE가 등장하나, ADV 이상의 패턴에서는 곡 중반 이후 자켓의 그레이스가 등장한다. EXH 이상의 패턴에서는 곡의 중후반부터 시리즈 최초로 트랙이 사라지는 연출을 사용하였다.곡 다 끝나면 그제서야 다시 나타난다.

이펙터는 KAC 2012, KAC 2013, The 4th KAC에서의 각 최우수곡들의 패턴을 제작한 절대로 용서할 수 없는 PHQUASE.

익시드 기어 이후 PCB해금으로 전환되었다.

2.1. 채보 상세


GRV 손배치 포함 PUC[4] 영상

GRV 패턴은 구 16레벨 체제 기준 12번째 구 16레벨 패턴, 현 20레벨 체제 기준으로는 최초의 20레벨 패턴이다[5]. 빠른 BPM에 곡 전반에 깔린 정확한 손이동이 요구되는 패턴이 합쳐짐으로써 게이지 손실은 잦고, 많은 체인 수 탓에 게이지 증가량이 적기 때문에 게이지 수복이 상당히 어렵다. 게다가 확실한 킬링 패턴도 있다. 플레이어들이 손에 꼽는 킬링 패턴은 크게 세 가지이다.

클리어 난이도의 경우 다양한 20레벨 악곡들의 등장으로 인해 과거의 독보적인 위엄은 사라진 상태이지만 여전히 20레벨이라는 이름값은 충분히 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스코어링 난이도는 구간 별로 체감이 갈리는데, AAA까지는 스코어링을 쉽게 만드는 요소인 노브와 롱노트의 비중이 어느 정도 있는 편이라 건반에 약한 플레이어에게는 Blastix RiotziLLness LiLin 같은 우직한 체력곡보다 쉬울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상, AAA+이나 특히 S랭크 쪽으로 간다면 난이도가 엄청나게 뛰어오른다. 사운드 볼텍스 3 종료 시점 기준으로 990 이상의 초고득점을 취득한 랭커 수가 약 40명인데, 2등인 FLügeL《Λrp:ΣggyØ》의 약 80명 정도보다 거의 절반 수준인 아득한 차이이다.[7] FLügeL《Λrp:ΣggyØ》이야 3 막바지에 나왔기 때문에 공개 기간이 짧아서 S랭크 달성자가 적었지만, 이쪽은 다른 10개월이 넘는 시간 동안 고작 40명 밖에 달성하지 못했으니 스코어링 난이도가 얼마나 어려운지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다.

PUC 난이도는 666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최초 PUC가 나오기까지 337일이 걸린 FIN4LE ~終止線の彼方へ~와 함께 압도적인 투톱을 이루고 있었다. 2016년 2월 5일 공개 이래 2018년 2월 20일 XD2.BOT(KAC 2013, The 4th KAC 우승자)의 첫 PUC가 보고되기까지 장장 2년이 걸렸으니 말 다한 셈.

2023년 4월 18일 랜덤[8] PUC가 보고되었다.#클립 영상 20레벨중에서는 최초이다.

2018년 2월에 GRV 패턴 PUC 기념 이벤트로 EXH와 GRV를 2월 내내 해금하지 않아도 플레이가 가능, 1플레이마다 39블럭/패킷을 제공하고 크리에이터 매칭 보너스가 10배가 되는 이벤트를 했었다.

2016년 2월 5일 스킬 애널라이저의 7회차 Skill Level ∞에 마지막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짠 게이지 증가량 때문에 수복이 쉽지 않고, 트랙이 사라지는 특수 효과 때문에 오히려 시선이 분산되어서 클리어에 위협이 되니 반드시 숙지하고 하는 것이 좋다.

버전을 하나 넘겨 사운드 볼텍스 4에서 20레벨로 조정되었는데, 정식 오픈 이후 다른 모든 구 16레벨 곡들이 전부 19레벨로 조정된 것을 보면, 제작진 공인 사운드 볼텍스 3의 최종 보스곡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시간이 지나 20레벨이 상당히 늘어난 이후엔 20레벨이 다 그렇듯 개인차를 타지만, 난이도가 롱잡계단과 트릴, 폭타에 상당히 쏠려있고 이 중 트릴은 비교적 패턴 파훼가 쉬운 편이며 다른 구간은 20레벨 치고는 무난하기 때문에 적어도 클리어면에서는 20레벨 입문이 되는 유저도 꽤나 나오는 정도로 위상이 많이 내려왔다.

하지만 단순 PUC까지의 소요시간으로는 역대 최장의 자리를 유지하기에 Max Burning!!처럼 상징성으로는 여전히 보스곡급으로 대접하는 유저들도 상당수 있다. 실제로 사운드 볼텍스는 POLICY BREAK으로 받는 보스곡에 비해 FLOOR INFECTION으로 주는 곡 중 (유독 보스곡 퍼주는 빈도가 잦던 리플렉 비트 시리즈를 제외하면)상징성 강한 보스곡이 전혀 없어 이에 대한 불만이 나오곤 했는데, 이후로 처음 이식된 보스곡이 라크리마인 것으로 볼 때 여전히 보스곡이란 상징성만큼은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나 이식된 기종을 보면, DDR에서는 최초로 최고레벨에 이식곡, 심지어 개전 라인업으로 들어가기도 했고, 팝픈에서는 비록 보스급 바로 아랫단계인 49레벨이기는 하지만 그정도만 되어도 이식곡으로서 전체적으로는 매우 높은 난이도에 배정된 케이스이다. 다만 노스텔지어에는 FLOOR INFECTION은 아니지만 WHITEOUT이 이식되었는데, 사운드 볼텍스의 현재 보스곡 중에 피아노로 연주하기 제일 나은 곡이 이 곡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9]


EXH 손배치 포함 PUC 영상

비교적 수월했던 Everlasting Message와는 다르게 EXH 패턴도 상당한 난이도의 패턴이다. 클리어 난이도는 15레벨 상위권이며 스코어링 역시 하술할 요소들 때문에 상당히 까다롭다. 사볼 4 기준으로는 18레벨로 조정되었다.

중반에 나오는 16비트 계단은 GRV 패턴과 비교해보면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롱노트가 나오지 않아 한결 처리가 쉽다. 또 GRV 패턴에서 2번 등장했던 트릴 역시 같이 나오던 롱노트가 없을 뿐 같은 속도로 그대로 살아서 나오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박자감을 잃거나 트릴 진입을 반대로 해서 에러 말림이 발생한다면 게이지 유지가 힘들어질 것이다. 특히 마지막 트릴의 경우는 패턴의 맨 마지막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말리면 회복할 틈도 없이 바로 크래시가 되어버리므로 주의. GRV의 꼬여있는 모래시계 노브가 여기선 그냥 평범한 직각 노브로 약화되었다. 이 직각노브 패턴이 그레이스가 허공에서 플레이어에게 을 날리는 것 같다는 이야기가 있다. 작곡가 본인도 인지하고 있다.

EXH 패턴의 PUC는 업데이트 당일에 나왔다. 달성자는 각각 KAC 2012The 5th KAC의 우승자인 0-1.REMI와 1008.BOT.


ADV 손배치 포함 PUC 영상

ADV 패턴은 다섯 번째 ADV 13레벨 패턴으로 등장했다. 패턴의 지향점은 전체적으로 Everlasting Message와 비슷하며, 가장 주의할 점은 최후반부에 등장하는 8비트 겹계단 패턴. 익저의 동일 패턴을 레벨에 맞게 완화시킨 것이지만 패턴 자체의 특성상 13레벨 적정 유저라면 매우 어렵게 다가올 수 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클리어를 눈앞에서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체감 클리어 난이도는 ADV 13레벨 내에서 중상위~상위권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으며 13레벨 전체를 놓고 보아도 최소 중하위권 이상이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NOV 손배치 포함 PUC 영상

NOV 패턴은 시리즈 최초로 등장하는 NOVICE 8레벨 패턴이며, NOVICE의 최대 체인 수였던 VILE CAT을 빼앗고 체인 수 1위가 되었다. 다만 선례가 그랬듯 흔히 존재하는 ADV 8레벨 패턴들과 비교해보면 표기 난이도 8레벨 중에서는 비교적 쉬운 편이며 경우에 따라 7레벨인 Max Burning!!의 NOV 패턴보다 쉽게 느껴질 수 있다. 다만 고BPM을 기반으로 한 노브 패턴이 주로 되기 때문에 간단한 경로의 노브라도 한번 탈선해버린다면 다시 맞추려는 사이에 게이지가 꽤 빨려나가기 때문에 칩 노트를 몇개 놓치는 한이 있어도 노브를 흘리지 않게 최대한 주의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레벨 8인 NOV채보이기에, 라이트 스타트 모드였을 경우 트랙 크래쉬가 나면 다른 NOV 채보랑은 달리 SAFE 보정을 받지 못한다. 입문 유저들이 NOV는 죽어도 안전하다고 생각하다가 당황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

2.2. 당선자 코멘트

라크리마《레퀴엠》이라 읽습니다.
「눈물의 진혼곡」이라는 뜻입니다.
보통은 「Requiem」이라 씁니다만, KAC 곡이니 「Queen」이라는 단어를 섞어 여왕으로서의 멋을 나타냈습니다. 끝까지 사랑하고 아껴주신다면 매우 기쁘겠습니다.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당선자 かねこちはる 코멘트-

2.3. The 5th KAC에서


47분 59초부터. The 5th KAC 당시의 플레이 영상. 여기서는 중반에 그레이스가 출현하기 직전부터 UI가 사라지는 KAC 전용 연출이 적용되었다. UI를 안 치우면 그레이스가 안 보인다.


직캠 영상. 상단 영상에서 시점 변경으로 잘린 부분의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눈깔이 무섭다.

3. 팝픈뮤직

파일:Lachryma popn banner.png BPM 236
<colbgcolor=#ffffd2,#3f3f38> 곡명 Lachryma《Re:Queen’M》
아티스트 명의 かねこちはる
담당 캐릭터 [ruby(RASIS, ruby=navigator)]
레이시스
수록된 버전 pop'n music peace
난이도 <colcolor=blue,#6495ed> EASY <colcolor=green,#0c0> NORMAL <colcolor=orange> HYPER <colcolor=red> EX
50단계 16 32 42 49
노트 수 248 508 840(?) 1534(?)
2019년 11월 14일 FLOOR INFECTION을 통해 이식되었다.


EX 패턴 영상. 1:47 부분 주목.

EX 패턴은 고속 계단과 트릴 위주의 패턴으로 전반적으로 체력이 크게 요구된다. 또한 두 가지 요소에 난이도가 다소 쏠려 있어 체감 난이도에 있어 개인차가 생기기도 쉬운 편. 중반에 한 차례 등장하는 계단 발광과 이어지는 트릴에서 게이지를 크게 잃지 않는 것이 요점이며, 마지막의 기나긴 반복 계단에는 원작에서의 패턴처럼 1번 축이 계단과 폴리리듬으로 등장해 후살 성향도 제법 강하다. 끝 부분 역시 원작과 마찬가지로 2-8 롱노트를 잡은 채 4-6 고속 트릴이 등장해 게이지를 잃기 쉽다. 동시치기로 뭉개기 어렵지는 않으나, 이러한 트릴 배치에 약하다면 롱노트를 아예 버리고 트릴 처리에만 집중하는 것이 클리어에는 차라리 나을 수 있다.

다만 패턴의 평가는 전반적으로 매우 나쁜편.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대표곡 중 하나로 이식 소식부터 크게 화제가 되었던 것에 비하면, 기대에 못 미치다 못해 곡의 명성에 먹칠을 했다는 평까지 나올 지경이다. 대표적으로 지적되는 부분은 지나치게 반복되는 후반의 계단 패턴. TOXIC VIBRATION EASY 패턴을 연상케 하는, 정돈되지 않은 더미 채보 같다는 평이 많다. 고BPM의 곡이라 일부러 단순 계단으로 배치한 듯 하나, 그걸 감안해도 실제 음계와 배치의 괴리가 너무 크다. 이밖에도 영상 기준 40초쯤 나오는 겹계단 노트에 해당하는 기타음은 정박이 아닌데도 정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반에 한번 더 나오는 구간도 동일. 또한 곡의 음 갯수 자체가 아주 많은 것에 비해 노트를 배치하지 않고 비워 둔 부분이 많아 전반적으로 연주감도 좋지 않다는 평이다.

노트수가 1534개로 짠 게이지 노트 수 보더(1537~)에 아슬아슬하게 미달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난이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턴을 조정한 것으로 보이나 그 과정에서 선 넘었다고 할 정도로 몸을 사려 패턴의 질이 낮아졌다는 것이 중론. 실제로도 곡 자체는 50레벨로 만들기에도 무리가 없는 곡이기에 아예 짠 게이지 곡으로 만들거나 작정하고 50레벨로 만들어야 했다는 평이 매우 많았으며,[10] 더 극단적인 반응으로는 아예 이식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평도 존재한다. 결국 OVERSOUL이 이걸 반면교사로 삼았는지 최초의 이식곡 짠 게이지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4. DanceDanceRevolution

DanceDanceRevolution의 19레벨
파일:attachment/valk.jpg 파일:PARANOiA_Revolution.pn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4_ddr_00.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6_ddr_03.jpg
Valkyrie dimension
X2
PARANOiA Revolution
X3 vs 2nd MIX
EGOISM 440
2014
Over The "Period"
2014
파일:p.eagate.573.jp/201707_ddr_00.jpg 파일:p.eagate.573.jp/201810_ddr_01.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2_sv_05.jpg 파일:BREAKING_THE_FUTURE.png
ENDYMION
A
MAX 360
A
Lachryma《Re:Queen’M》
SDVX III / A20
BREAKING THE FUTURE
A3
파일:hou_camellia.png 파일:p.eagate.573.jp/2022a_ichika_02.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606_iidx_03.jpg

A3
VOLAQUAS
A3
POSSESSION
X2
더블 플레이만 해당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싱글 플레이 BEGINNER BASIC DIFFICULT EXPERT CHALLENGE
5 9 14 18 19
134 26 269 25 506 42 869 18 950 13 0
더블 플레이 - BASIC DIFFICULT EXPERT CHALLENGE
9 14 18 19
227 27 495 39 846 12 905 12 0
BPM 236
아케이드 버전분류 DanceDanceRevolution A20

FLOOR INFECTION 38탄 최종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자켓은 사볼의 GRV 보면의 자켓을 사용하였다.


ESP 보면 클랩 영상

싱글 EXPERT는 18레벨로 등장하였다. 싱글 18레벨에서는 4번째[11]로 등장한 무변속 무정지 곡이다. voltississimo의 강화판 수준으로 BPM 236 트릴이 수도 없이 나오고, 고난도의 12비트 허리틀기 폭타[12], STREAM 182라는 압박적인 밀도까지 합쳐져 18레벨 상위권 채보라고 평가받는다. 채보의 평가는 타격감 부분에서는 팝픈보다 좋다라는 의견만은 만장일치로 모두 동의하고 있으며, 준수하게 나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EDP 보면 클랩 영상

더블 EXPERT는 거의 19. 싱글에서도 고난도 요소였던 12비트 허리틀기 폭타를 체중이동 요소까지 더해 극악으로 만들어놓았다. 원래 싱글에서도 어려웠지만, 12비트 대륙횡단 후살로 인해 더블 18레벨의 별격 수준이었던 Pluto Relinquish CDP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아주 조금 쉽다는 평. 더블 18레벨에서는 사실상 최상~별격 취급되며, EXPERT에서는 19를 줄수 없어서 18을 줬다는 의견도 있을 정도.

DDR A20이 자체적인 보스곡이 등장하지 않고[13] DDR A20 PLUS로 넘어감에 따라 졸지에 이 곡이 A20의 보스곡이 되어 버렸다.


CSP 보면 클랩 영상


CDP 보면 클랩 영상

A20 PLUS에서 DDR CHALLENGE Carnival PLUS의 마지막 해금 요소로 등장해 싱글, 더블 모두 챌린지 19레벨 채보가 나왔다. 즉 이식곡 최초의 19레벨이자, 이식곡 중 최종보스의 자리를 그대로 가져가게 되었다. 덤으로 변속 및 정지 기믹이 없는 최초의 19레벨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다른 19레벨 곡들이 BPM 폭으로 인해 배속 설정에 제한이 걸리는 것과 달리 원하는 배속으로 도전할 수 있다.

기존 보스곡인 EGOISM 440ENDYMION이 불규칙적인 220BPM 16비트 난타로 승부를 봐왔다면, 해당곡은 익스퍼트 채보에도 나왔던 236BPM 12비트 구간을 강화했으며[14] + 규칙적인 16비트 난타[15]로 킬링 파트가 구성이 되어있다.

싱글의 경우 익스퍼트 난이도에서 개인차를 타던 길고 긴 트릴이 대부분 폭타로 바뀌었기 때문에 잘 뭉개면 클리어는 그런대로 쉬워지지만 이것도 기본적인 체력이 되어야 가능하며, 스코어링으로 갈 경우 노트를 전부 정확하게 밟아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체력 소모가 더 심해진다. 이때문에 사실상 MAX360의 상위호환 취급이며, 엔디미온 챌린지 바로 아래급인 Over The "Period"와 동급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16] 등장후 20일이 지나서 O4MA.에 의해 최초로 AAA랭크가 등장했다.

A3가 되면서 싱글 챌린지 채보는 개전 라인업에 수록이 되었는데, 바로 하위호환 취급받는 MAX360 챌린지를 대체하고 들어온지라 개전 난이도가 올랐다는 평가를 받는다. 난이도 외적으로 개전 코스의 상징성 측면[17]에서 약간의 이슈가 존재는 하지만, 해당 곡도 BEMANI 시리즈의 대표 보스곡이기도 하고 이 곡도 본가에서 개전에 대응되는 폭룡천 일원이란 점을 고려하면 그런대로 넘어가는 편이다. 1스테이지 수문장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오히려 그 다음 2스테이지와 3스테이지인 Over The "Period"와 Valkyrie dimension가 게이지를 회복할 구간이 충분히 있다보니 자동문 취급을 받는다. DOLCE.가 DDR 싱글 개전을 취득하는데 있어서 몇 주동안 계속 이 곡을 넘어가지 못했었다.

더블은 마찬가지로 후반부의 12비트 구간이 강화되었지만, 해당 구간이 나오기 전까지는 익스퍼트보다 폭타의 밀도가 높은 점을 감안해서인지 몇몇 구간의 좌우 이동폭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클리어 난이도는 MAX 360 챌린지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이사항으로 EXPERT 이상 난이도에서 곡의 후반부로 넘어갈 때 굉장히 짧은 롱노트가 나온다. 원판인 사볼에서도 EXH 이상 난이도에서 해당 시점부터 레인이 사라지는 기믹이 들어가는 것을 어느정도 반영한 것인지도 모른다.

5. Lachryma《Re:Queen’M》 (Orchestra Arr.)


비마니 시리즈의 <BEMANI SYMPHONY ORIGINAL SOUNDTRACK> 기획에 오케스트라 편곡 버전이 수록되었다.

5.1. 유비트 시리즈

jubeat 난이도 체계
BASICADVANCEDEXTREME
레벨6810.3
노트수432(19)717(42)1079(80)
BPM200
해금 방법(유비트 페스토 기준)
플래그 랠리 SYMPHONY편 Track 2-6
아케이드 수록버전 및
jubeat plus 수록 pack
아케이드 수록 유비트 페스토(2022.1.5. ~ )
iOSBEMANI SYMPHONY
AndroidBEMANI SYMPHONY

EXT 채보 영상


EXT EXC 영상

비마니 심포니 어레인지 버전으로 모바일 유비트에 선행 수록되었다. 이후 2022년 1월 5일에 업데이트된 플래그 랠리 SYMPHONY편 트랙 2를 통해 아케이드에도 수록되었다. 전반적으로 동시치기와 롱잡 위주의 무난한 패턴이지만 맨 마지막에 아케이드에서 처리하기 다소 불편한 롱잡 패턴이 나온다.

5.2. 노스텔지어 시리즈

곡명 Lachryma《Re:Queen’M》 (BEMANI SYMPHONY NOSTALGIA mix)
『SOUND VOLTEX』より
「The 5th KAC オリジナル楽曲コンテスト」から生まれた交響詩
「The 5th KAC 오리지널 악곡 콘테스트」에서 태어난 교향시
작곡가 かねこちはる × Morrigan + gaQdan
수록된
버전
ノスタルジア Op.3
난이도 Normal Hard Expert Real
4 8 12 ◇3
노트 수 460 927 1814 2248


Real 플레이 영상


Expert 플레이 영상

원곡보다는 낮은 200BPM이지만 그래도 상당히 손이 바쁘다. Real의 내부 상수는 13.0이지만 원곡 BPM 그대로 어레인지하여 이식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상상을 하길 꺼리게 만드는 난이도.[18]
후반 이중계단은 12비트와 16비트가 섞여나오며, 왼손과 오른손의 박자가 다른 구간도 상당히 섞여있다.
Expert는 Real의 고난도구간을 약화시켜 12레벨에 맞췄다.

6. 기타

한국어 버전이 있다는 소리도 있다.

PUC가 등장하자 리듬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실시간 트윗 수 2위에 라크리마가 등장했을 정도. 그 후 코나미에서 2018년 2월 28일까지 라크리마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19] 정작 작곡가 본인은 그 해 연말에야 PUC가 등장한 것을 알게 되었다.

제 37탄 FLOOR INFECTION 대상곡으로 선정되자 당시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1위[20]에 오르기도 했으며, 11월 14일 이식 당일에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진행중이였음에도 불구하고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 1, 2위[21]를 오가기도 했다.

The 9th KAC DDR 결승전에서 FLOOR INFECTION 대상곡으로 선정되자 실시간 트렌드에 또 다시 오르기도 했다.

제 37탄과 마찬가지로 이식 당일에 엔디미온과 함께 실시간 트렌드에 또 다시 올랐다. 이로써 라크리마는 지금까지 실시간 트렌드에 5번이나 등장했다.


BPL DDR 관련 경기의 부속 행사로 BEMANI LIVE가 있었는데, PHQUASE사운드 볼텍스의 I와 함께 디제잉했다.


[1] 번역 : 이 못 읽는 곡 해봅니다[2] 사볼4까지만 해도 2863이었으나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에서는 1 감소하였다.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에서 새로운 게임 엔진으로 갈아타면서 체인 수가 3038로 증가하였다.[3] 각각 업데이트예고 이미지에 적혀있는 문구.[4] MAX-26[5] 원래는 가장 오래된 20레벨 악곡이기도 했지만, 2024년 8월 7일에 Sayonara Planet Wars의 XCD 패턴이 추가되면서 자리를 넘겨주었다.[6] The 5th KAC에서 0-1.MIKU가 클리어하지 못하게 만든 원흉이다.[7] 이 두 곡을 제외한 나머지 16레벨은 S랭크 달성자가 100명을 넘어 랭킹 차트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8] 정확히는 랜덤+미러로, BT 배치는 2143, FX는 미러 배치 그대로이다.[9] 스피드코어, 스플리터코어, 전파송, 칩튠보다는 아트코어 곡을 피아노로 어레인지 하기 쉬울 것이다. 마침 WHITEOUT이 피아노를 많이 쓰고, 현 20레벨들 중에선 느린 편인 것도 한 몫 했다.[10] 참고로 이미 팝픈뮤직에는 50레벨 이식곡이 등장한 선례가 존재한다. 다만 수록 당시 이식곡 중에서 짠게이지 곡이 단 1곡도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아 암묵적인 룰이라도 있던 것으로 보이며, 노트수만 따지면 라크리마 쪽이 이식곡 중에선 가장 많았었다.[11] 나머지 셋은 嘆きの樹, Prey,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채보로 따지면 Prey가 EXPERT와 CHALLENGE 둘 다 18레벨이므로 5번째[12] 말이 12비트이지, BPM 236의 12비트는 BPM 177의 16비트와 속도가 동일하다. 비슷한 패턴을 지닌 16레벨 VANESSA ESP는 BPM 185, 후반에 12비트 허리틀기가 잠깐 나오는 Idola CSP는 BPM 201이다.[13] MAX 360의 챌린지 난이도가 해당 버전의 이벤트로 등장하긴 했으나 곡 자체는 DDR A의 곡이라 미묘한 면이 있다.[14] 싱글 채보는 여기서 동치까지 섞여있다.[15] 싱글 채보는 극단적인 허리틀기를 요구하는 난타, 더블은 16비트 트릴이 수시로 위치가 바뀌여지는 구조로, 에고이즘과 엔디미온이 440BPM 8비트 난타가 주를 이루는 것을 감안하면 단순 비교시 라크리마 측이 대체적으로 킬링 파트의 밀도가 더 높다. 물론 채보 해석은 라크리마쪽이 좀 더 쉬운 편이며, 싱글 채보의 경우 엔디미온은 순간적이지만 440BPM에서 12비트로 더 빠른 트릴이 나오기도 한다.[16] 둘의 차이를 말하자면 오버피리는 노트 물량은 비교적 적은 대신 잦은 변속과 허리틀기로 난이도를 올렸으며, 이 채보는 변속은 아예 없지만 그걸 노트 물량과 복합 패턴으로 때운 케이스다.[17] 대체된 MAX360은 DDR 시리즈의 전통적인 보스곡인 MAX300의 리믹스, Over The "Period"는 시리즈의 끝일 줄 알았던 MAX.(period) 수록 이후 후속으로 나타난, BEMANI 역사를 통틀어서 가장 어려운 해금이벤트였으며, Valkyrie dimension은 DDR 시리즈 최초의 19레벨이자, "모든 보면이 과거가 되었다."의 주인공이다. 그리고 ENDYMION은 공식조차 인정한 현 DDR 최종보스곡이다. 이에 비하면 라크리마의 DDR에서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18] 1.2배속으로 재생하면 원곡의 속도와 얼추 비슷하다.[19] 라크리마 전 난이도를 해금하지 않아도 플레이 가능, 플레이 할 때 마다 39블럭/패킷 지급, 크리에이터 매칭 시 평소 블럭/패킷의 10배 지급.[20] 당시 1위는 프로모션 이였으므로 제외하여야 한다.[21] 역시나 당시 1위는 프로모션 이였으므로 제외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