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F 레슬매니아 14 WWF WrestleMania XIV | ||||||||||
| ||||||||||
WWF 개최, 엠앤엠즈 제공 PPV | ||||||||||
개최일 | (*DST) 1998년 3월 29일 일 19시E/16시P 韓 1998년 3월 30일 월 08시 | |||||||||
경기장 |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플리트 센터 Fleet Center, Boston, Massachusetts | |||||||||
테마곡 | ||||||||||
관중집계 | 19,028명 | |||||||||
WWF의 PPV | ||||||||||
노 웨이 아웃 | 레슬매니아 14 | 언포기븐 | ||||||||
레슬매니아 | ||||||||||
13 | XIV | XV | ||||||||
포스터 모델: 스티브 오스틴, 마이크 타이슨, 숀 마이클스 | "THE GREATEST PPV ATTRACTION OF ALL TIME!" |
1. 대립 배경
1.1. WWF 태그팀 챔피언십 넘버 원 컨텐더 배틀로얄
- 참가팀 : 사비오 베가 & 미구엘 페레즈, 스나이퍼 & 레콘, 스티브 블랙맨 & 플래쉬 펑크, 브래드쇼 & 체인즈, 딜로 브라운 & 마크 헨리, 퀘베커스, 헤수스 카스틸러 & 호세 에스트라다, 리키 모턴 & 로버트 깁슨, 헤드뱅어즈, 브라이언 크리스토퍼 & 스캇 테일러, 디사이플스 오브 아포칼립스, 갓윈즈, 뉴 미드나이트 익스프레스, 네이션 오브 도미네이션, LOD 2000
1.2. TAKA 미치노쿠 VS 아귈라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3. 헌터 허스트 헴즐리 VS 오웬 하트
WWF 유로피언 챔피언십1.4. 마크 메로 & 세이블 VS 골더스트 & 루나 버숀
혼성 태그팀 매치1.5. 락키 마이비아 VS 켄 샴락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1.6. 뉴 에이지 아웃로즈 VS 캑터스 잭 & 체인쏘우 찰리
WWF 태그팀 챔피언십덤프스터 매치
1.7. 언더테이커 VS 케인
1.8. 숀 마이클스 VS 스티브 오스틴
WWF 챔피언십특별 집행관 : 마이크 타이슨
2. 대진표 및 결과
15팀 배틀로얄 <-1.5점> 승자 팀은 WWF 태그팀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
WINNER: LOD 2000 |
WWF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0.5점> | ||
✅ | 아귈라 |
WWF 유로피언 챔피언십 <3점> | ||
✅ | 오웬 하트 |
혼성 태그팀 매치 <3점> | ||
✅마크 메로 & 세이블 | 골더스트 & 루나 버숀 |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 <1.5점> | ||
✅ | 켄 샴락 |
WWF 태그팀 챔피언십 <3.25점> 덤프스터 매치 | ||
| ✅캑터스 잭 & 체인쏘우 찰리 |
싱글 매치 <1.5점> | ||
✅언더테이커[3] | 케인 |
WWF 챔피언십 <3.25점> 특별 집행관 : 마이크 타이슨 | ||
| ✅스티브 오스틴 |
3. 여담
- 메인 이벤트 경기가 치러지기 이전에 언더테이커가 숀 마이클스에게 몬트리올 스크류잡을 언급하면서 "이번에도 오스틴한테 그딴 짓거리를 한다면 재미없는 일이 일어날 거다."라며 협박에 가까운 경고를 하였고, 실제로 고릴라 포지션에서 손에 테이핑까지 하면서 대기하고 있었다. 업계의 뒷사정을 몰랐던 마이크 타이슨은 그런 언더테이커를 보면서 적잖게 당황했다고.
- 레슬매니아 14의 America the Beautiful과 The Star-Spangled Banner는 당시 DX의 테마곡을 부른 'DX 밴드'가 이 무대를 데뷔 무대로 삼아 노래를 불렀으며, 본인들의 스타일에 맞게 편곡하여 불렀다. 다만 당시 관중들이 야유를 날리는 등 평가는 썩 좋지 않았는데(#), 그래서 인지는 몰라도 최악의 레슬매니아 'America the Beautiful'을 뽑을 때 항상 거론되며 레슬매니아 14 DVD에도 해당 장면은 편집된 채 발매되었다. 이 팀은 메인이벤트에도 나와서 숀 마이클스를 포함한 DX멤버가 등장할 때 테마곡을 라이브로 불렀다.
[1] DQ 승.[2] 원래는 샴락이 이겼지만 끝나고 나서도 앵클 락을 풀지 않고 심판들을 공격하는 바람에 켄 샴락의 승리는 무효가 되고 락키 마이비아가 타이틀을 유지했다.[3] 레슬매니아 전적 7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