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지된 성배의 관련 카드 | |||
금지된 성배 | 금지된 성창 | 금지된 성의 | 금지된 성전 |
신의 충고 | 심판의 천평칭 | 신의 통고 | |
실락의 성녀 실락의 마녀 | 마녀의 일격 | ||
실락의 타락천사 | 금지된 일적 | 향락의 타락천사 열락의 타락천사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명칭=마녀의 일격,
일어판명칭=<ruby>魔女<rp>(</rp><rt>まじょ</rt><rp>)</rp></ruby>の<ruby>一撃<rp>(</rp><rt>いちげき</rt><rp>)</rp></ruby>,
영어판명칭=Witch's Strike,
일반=,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을 무효로 했을 경우\, 또는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 /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몬스터의 소환이나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하는 여러 효과에 반응해 상대의 패 /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일반 함정.
발동 조건이 쉽지 않지만, 일단 통과되면 상대 필드에 더해 패까지 모조리 파괴해버린다. 파괴가 비교적 흔한 효과인 것과는 별개로, 이렇게 패까지, 그것도 전부 다 털어버리는 대량 제거 효과는 대단히 희귀하다. 그리고 마법 / 함정 중 드물게도 발동 조건이 '경우'인데, 그래서 무효가 된 뒤 다른 처리가 끼어들거나, 일반 함정으로 체인이 불가능한 카운터 함정이 발동한 경우에도 발동 조건이 충족된다. 하지만 "발동 무효"를 조건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이펙트 뵐러, 하루 우라라, 무한포영 등 효과를 무효로 하는 카드는 발동 조건에 들어오지 않는다.
가장 큰 문제는 함정 카드라는 분류와 모순되게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함정 카드는 세트하고 턴을 넘긴 후 발동해야 해서 선공 플레이어만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유희왕의 특성상 후공 플레이어가 턴을 받고 발동 무효 / 소환 무효 효과를 사용할 일 자체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정작 선공 플레이어가 이 카드를 발동할 기회가 거의 없다.
만약 속공 마법이었거나 패에서 바로 발동할 방법이 있었다면 강력한 후공 돌파 카드가 되었을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엔 오히려 너무 강력해서 문제가 되었겠지만.
일러스트는 실락의 마녀에게 마지막으로 자비를 베풀러 신이 찾아오지만 이를 거부한 마녀가 검은 번개를 날리는 장면으로, 신의 통고의 구도를 반대로 뒤집어 놓았다. 그러나 신의 힘은 절대적이었으며 결국 이후 마녀는 완전히 타락하여 실락의 타락천사가 된다.
여담으로 독일에서 요통(Hexenschuss)의 어원이 마녀(Hexe)의 일격(Schuss)이다. 다만 이 카드의 독일어판 카드명은 "Schlag Der Hexe"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새비지 스트라이크 | SAST-KR07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AVAGE STRIKE | SAST-JP07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avage Strike | SAST-EN079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