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a Mathura | |
마두라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지역 | 인도네시아 마두라섬 |
원어민 | 약 670만 명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순다술라웨시어군 말레이숨바와어군 마두라어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639-1 | - |
ISO-639-2 | mad |
ISO-639-3 | mad |
주요 사용 지역 | |
영어 | Madurese language |
마인어 | Bahasa Madura |
1. 개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북쪽의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화자 수는 6-7백만 명 정도이다. 표준 한국어와 제주어 정도의 차이를 표준 마두라어와 보이는 캉에안어(Kangean language)를 마두라어의 방언으로 보는지 독립된 언어로 보는지에 따라 화자 수 집계에 약간씩 차이가 난다. 자바 동부에도 일정한 규모의 마두라어 화자가 있으나, 대개 이들은 자바어와 마두라어를 혼용한다. 그러나 시투본도(Situbondo), 본도워소(Bondowoso) 등 마두라인이 역사적으로 인구의 다수였던 자바 동부 일부 지역의 마두라인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자바어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마두라어와 인도네시아어만을 사용한다.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네시아어를 제외하면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들 가운데 자바어, 순다어 다음으로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의 제4언어이긴 하지만 상기한 언어들보다 문어 전통이 꽤 빈약하다. 역사적으로도 자바의 지배를 자주 받다 보니 전통 시대에는 자바어가 마두라 지역의 교양어이자 문어로 쓰이다 요즘은 인도네시아어가 이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마두라섬의 4개 현이 각각 방언군을 이루므로 방칼란 방언, 삼팡 방언, 파므카산 방언, 수므늡 방언이 마두라 본토의 방언이며, 이 외에 상술한 캉에안 방언(캉에안어를 마두라어의 일종으로 간주할 경우)까지 치면 마두라어 방언은 크게 다섯 갈래가 있다. 자바어의 마타람 방언처럼 가장 문화적 지위가 높은 마두라어 방언은 이 가운데 수므늡 방언이다.
2. 음운과 표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 중 음운 구조가 복잡하기로는 아체어와 함께 수위권을 달린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특성상 자음 연쇄나 이중모음은 흔하지 않지만, 개별 자모음 음운 자체가 많다. 우선 모음으로는 8개(/a, ɛ, ə, ɤ, ɔ, i, ɨ, u/)의 단모음이 있다. 더불어 자바어와 유사하게 모음조화가 나타난다.자음 음운에서는 자바어와 인도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치음과 권설음을 구별하고, 파열음의 기식성을 구별한다. 구체적으로 태국어처럼 유성 파열음-무성 무기 파열음-무성 유기 파열음의 3항 대립이 있다.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으레 그렇듯 로마자로 표기하지만, 과거에는 자바 문자를 빌려 표기하였다. 다만 자바어에서는 변별되지 않는 유성 파열음과 무성 유기 파열음을 하나의 글자로 나타내었다.
마두라어 로마자 맞춤법으로 2018년 현재 사용되는 것은 크게 두 갈래(EYD 1973 및 2000년대 제안된 현대 맞춤법[1])가 있으며,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네덜란드어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말에 만들어진(1897년의 마두라어 문법서에서 사용) 정서법까지 치면 마두라어 로마자 맞춤법은 세 갈래로 볼 수 있다. EYD 1973이 사실상 표준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므로, 많은 마두라어 문서는 1973년 맞춤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1973년 맞춤법은 결정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모음이 많고 무기음/유기음 구별이 존재하는 마두라어의 특성이 문자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ɛ, ɤ/ 모음의 표기는 /ə, a/와 구별되지 않는 'e, a'였고, 파열음이나 파찰음에서 유기음과 무기음도 구별되지 않았다. 다만 자바어 표기법을 참고하였으므로 권설음은 치음과 구별되었다. 예를 들면,
1973년 표기법 | 2008년 표기법 |
dungeng | dhungèng |
gula | ghulâ |
memba | mèmbhâ |
bejjat | bhejjhât |
melleyagi | mellèaghi |
kabadha'an | kabâḍâân |
ngedhingngagi | ngèḍingngaghi |
와 같다. 위 표기에서 현대 표기법은 1973년 표기법에서 치 파열음 d - 권설 파열음 dh의 단순한 2항 구별을 무기 치 파열음 d - 유기 치 파열음 dh - 무기 권설 파열음 ḍ - 유기 권설 파열음 ḍh의 4항 구별로 바꾸었으며 /ɛ, ɤ/를 'è, â'로 표기해 'e, a' /ə, a/와 구별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교과서 등은 1973년 표기법을 따르고 있어, 마두라어 화자이거나 직접 마두라어 화자에게 배운 중급 수준 이상의 학습자가 아니라면 표기만 보고 정확한 자모 음운을 읽어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
3. 문법
자바어처럼 경어법이 발달하였다. 카사르체(Kasar, 낮춤말), 틍응아안체(Tengnga'an, 중간), 알로스체(Alos, 높임말)가 있다. 인도네시아형 언어로서 기본 어순은 SVO이며 명사의 복수형은 반복으로 나타낸다. 하지만 인도네시아어에 비하면 접사 활용이 좀 더 복잡하다. 가령, 마두라어 동사 및 형용사 어미 '-a'는 서상법(敍想法, irrealis mood) 즉 아직 실현되지 않은 가설적 사건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서법을 표지하는데, 이는 자바어와 같은 방식이다.- 마두라어 경어법의 예
- Bârâmpa arghâna paona? (카사르체: 망고 얼마야?)
- Sanapè arghâna paona? (틍응아안체: 망고는 얼마인가요?)
- Saponapa arghâèpon pao panèka? (알로스체: 망고의 값이 어느 정도인지 여쭙겠습니다.)
4. 배우기
마두라어를 배워보고 싶거나 언어학적 특성을 좀 더 파고 싶다면 다음 서적을 참조하자. 2018년 기준 영어로 정리된 마두라어 레퍼런스 중 내용이 가장 충실한 편이다.- Davis, William D. 2010. A Grammar of Madurese. Berlin: De Gruyter Mouton.
[1] 2004년, 2008년 등 한 종류는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