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5:25:04

메가스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도구/진화
,
,
,
,
,

1. 개요2. 상세3. 메가스톤 입수 방법

1. 개요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메가진화를 위해 필요한 도구. 광석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2. 상세

모든 메가진화에 대응하는 키스톤과 다르게, 메가스톤은 포켓몬마다 종류가 다르다. 포켓몬의 종류에 맞지 않는 엉뚱한 메가스톤을 장비하고 있다면 메가진화할 수 없다.

메가스톤은 OOO나이트[1]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메가스톤의 크기는 보통 야구공 수준의 크기로, 대체적으로 키스톤보다 크다. 다만 이쪽도 돌인만큼 크기는 제각각인 편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스카프, 목걸이 등의 형태로 포켓몬에게 달아주는 것으로 묘사되나, 썬문에서는 그냥 메가진화 할 때 포켓몬에게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3. 메가스톤 입수 방법

3.1. 포켓몬스터 X·Y

보통 메가링 업그레이드 전/후로 나뉜다. 메가링 업그레이드는 전국도감 업그레이드를 하고 기남시티의 배틀하우스에서 배틀을 한 뒤, 라이벌과의 배틀을 하고 나서 앱솔나이트를 받고 향전시티에 있는 플라타느 박사에게 받아야 한다.

따라서 메가링 업그레이드 후 구할 수 있는 모든 메가스톤은 게임 내에선 엔딩 이후에 얻을 수 있다.

3.1.1. 상시 입수 가능

3.1.2. 메가링 업그레이드 후

전당등록 후 기남시티에서 라이벌을 이기고, 앱솔나이트를 받으면 플라타느박사가 향전시티로 부르는데, 이 때 메가링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이하 메가스톤은 모두 오후 8~9시 사이에만 입수가 가능하다.

3.1.3. 그 외

이하의 메가스톤은 1인 플레이로는 얻을 수 없다.

3.2.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

ORAS에서 추가된 메가진화 포켓몬의 메가스톤 뿐 아니라 X·Y에서 등장한 메가진화 포켓몬의 메가스톤도 획득할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초고대포켓몬 사건 해결 이후에 얻을 수 있다. X·Y에도 존재하는 메가스톤이라면 교환을 통해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에 옮길 수 있다.[3] 버전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메가스톤이 나뉘지는 않지만, 한카리아스나이트같이 입수 조건이 괴랄한 메가스톤이 있다.

3.2.1. 상시 입수 가능

3.2.2. 각성의 사당 이벤트 후

각성의 사당 이벤트를 거쳐야 진입할 수 있는 지역에서 얻거나, 필드에 등장하거나, 입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다.

3.3. 포켓몬스터썬·문

Z기술이 게임의 핵심 요소이므로 메가진화는 스토리 클리어 이전에는 사용할 수 없다. 전당등록 후 포니옛길에서 덱시오에게 키스톤을 받은 다음부터 사용 가능하다. 많은 메가스톤이 BP로 구입하는 아이템이 되었으며[5], 배틀트리의 난이도가 높아서 어렵다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BP는 로열돔에서도 얻을 수 있으며 난이도도 배틀트리보다 훨씬 쉽기에 모으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그리고 알로라도감에 등재되지 않은 포켓몬들의 메가스톤을 게임 내에서 일반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방법은 발매 초기 기준 현재 1세대 스타팅용 4개를 제외하면 알려져 있지 않았다. 몇몇 유저들은 포켓몬 뱅크에 6세대의 모든 도구 데이터가 더미로 들어있음을 알게 되며 혹시 메가스톤과 도구를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 아닐까 기대하고 있었지만, 현실은 아니었다.

허나, 2017년 1월 30일 PGL의 정보에 따르면 2월 말에 개최되는 인터넷 대회에 참가하는 사람들에게 독침붕, 입치트의 메가스톤을 선착순 5만명으로 배포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이러한 형식으로 배포될 것으로 보였다. 그런데 2017년 2월 15일 PGL에 올라온 공지에 따르면 대회에 참가하는 유저들에 한해 1~2개월 먼저 메가스톤을 선행 배포하고, 차후에는 공용 시리얼코드를 통해 모든 사람들에게 배포할 예정이라고 하니 일단은 불행중 다행.

전체적으로 이번 7세대 메가진화 시스템 자체에 포덕들의 불만이 많다. 일단 1개당 무려 64BP나 소모해야 구할 수 있어 노가다성이 한 층 짙어진데다, 게임 상에서 구할 수 없는 메가스톤이 무려 20종을 넘어서 너무 갑작스럽게 배틀 판도를 뒤집어버린 게 아니냐는 비판이 거세다. 인터넷 대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한다고는 하지만 전체 유저 중에 인터넷 대회까지 꼬박꼬박 참가하는 유저는 소수라는 점이 문제. 메가진화 디자인 만들기 귀찮으니까 그냥 내팽개친 거 아니냐는 의견도 파다하게 나오는 중. 하지만 다행히도 메가스톤을 시리얼코드로 풀고 있어 이러한 불만은 잦아든 상태다.

결국에는 2017년 8월 10일자 시리얼 코드 공개로 썬문에서 모든 메가스톤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시리얼 코드 입력 기간은 2017년 11월 1일까지다.
공용 시리얼코드 입력으로 얻을 수 있는 메가스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 참고.

3.4. 포켓몬스터 울트라썬·울트라문

썬문과 동일하게 스토리 클리어 후 포니옛길에서 이벤트 후 사용할 수 있다. 메가스톤을 얻는 방법은 동일하지만 썬문과는 다르게 이상해꽃나이트, 리자몽나이트X/Y, 거북왕나이트, 디안시나이트를 제외한 모든 메가스톤을 배틀트리에서 64BP로 구입할 수 있다. 관동 스타팅들의 메가스톤은 배틀트리 싱글배틀에서 레드에게 승리할 시 획득할 수 있으며, 디안시나이트는 코니코니시티 라이치의 보석상에 있는 매니아에게 디안시를 보여주면 얻을 수 있다.

3.5.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

체육관 배지를 7개 모으고 마지막 체육관 도전 전에 오박사에게 방문하면 그린에게서 키스톤과 이상해꽃나이트, 리자몽나이트X/Y, 거북왕나이트를 얻을 수 있다. 뮤츠나이트X/Y는 뮤츠 포획 후 뮤츠 잡았던 자리로 다시가서 블루랑 배틀 후 승리 시 얻을 수 있다. 나머지 메가스톤은 전당 등록후 포켓몬리그 건물 내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매니아에게서 개당 3만원에 구매할 수 있다.


[1] ○○○는 메가진화할 포켓몬의 이름이다. 예를 들면 번치코는 번치코나이트, 루카리오는 루카리오나이트. 단, 예외적으로 후딘은 후디나이트이다. 영어로는 포켓몬 이름 뒤에 -ite를 붙히는데 여기에도 예외가 있다. 대표적으로 눈설왕나이트는 영어로 Abomasite.[2] 후딘나이트가 아니다![3] 물론 오메가루비, 알파사파이어에만 존재하는 아이템들은 X, Y에 옮길 수 없다.[4] 이어롭나이트를 얻는 이벤트의 텍스트를 보면 가관인데, 다른 세입자에게서 월세가 밀렸다며 뜯어낸 것을 주인공에게 준다.[5] 후디나이트는 이벤트로 덱시오에게 받을 수 있다.[6] 영어로 위협[7] 마적의 일본어판 이름[8] 한국어다. 가디안의 분류인 포용 포켓몬에서.[9] 독일어로 드래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5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