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정보 | |||||
인문캠퍼스 | 자연캠퍼스 | |||||
대학 정보 | ||||||
학부 | 대학원 | 연구소 | ||||
이념과 상징 | 역사 | 총장 | ||||
중앙도서관 ( 인문 / 자연 ) | 박물관 | 명지학원 | ||||
학생 정보 | ||||||
학사 제도 | 동아리 | 학내 언론 | ||||
학생정보시스템 (MSI) | 총학생회 | 학교생활 (주변상권) | ||||
학생 커뮤니티 | 교통 | 기숙사 | ||||
기타 정보 | ||||||
부속 기관 | 사건 사고 | 출신 인물 | ||||
명지전문대학 | 입시 | 산학협력단 | ||||
미래교육원 | 체육부 | 미래정책센터 |
| ||
공통 | ||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 ||
인문캠퍼스 |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
경영대학 |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 미래융합대학 |
자연캠퍼스 | ||
화학·생명과학대학 |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 반도체·ICT대학 |
스포츠예술대학 | 건축대학 |
1. 화학·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Chemistry and Life Sciences | |
화학·에너지융합학부 | 화학나노학전공 |
융합에너지학전공[1] | |
융합바이오학부 | 식품영양학전공 교직 |
시스템생명과학전공 | |
- | 수학과 교직 [2029년][졸업시] |
- | 물리학과 교직 [2029년][졸업시] |
|
1.1. 화학나노학전공
화학나노학전공은 1985년 11월 시작된 이래 1988년 11월 석사과정, 1991년 11월 박사과정이 신설되어 많은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화학의 전통적인 기초분야 및 폭넓고 심도 있는 전공과정을 두고 화학나노학전공의 기본원리와 과학자로서의 연구방법을 터득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최근 기계, 전자, 재료, 화공 등의 인접학문에 응용되어 거의 모든 이공분야에 파급효과가 가장 큰 학문으로 그 비중을 더해가고 있다.화학나노학전공을 졸업하면 일반적으로 모든 신소재관련분야, 전자, 비료, 농약, 제약, 페인트, 화장품, 식품, 섬유, 석유화학, 플라스틱, 의료 기구 등 물질을 제조하는 모든 회사에 취직할 수 있고, 이러한 제조회사를 직접 경영하는데 그 어느 학과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 특히 무한 경쟁사회의 첨단 기술을 지향하는 산업사회에서 필요한 IT (정보통신기술), BT (생명기술), ET (환경기술), NT (나노기술) 등의 분야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응용화학·기술 분야에 진출할 수 있다 |
1985 | 화학과 신설 |
1988 | 화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1991 | 화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1999 | 수학,물리,화학 계열의 학부제로 개편 |
2004 | 이과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으로 편제개편 |
2025 | 화학과에서 화학나노학전공으로 편제개편 |
명지대학교 화학과 홈페이지
1.2. 융합에너지학전공
물질의 구성요소인 소립자들의 미시적인 운동에서부터 우주천체들의 거시적인 운행에 이르기까지 자연현상은 일견 무질서해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정확한 질서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토대로 하는 현대융합에너지학은 오늘날의 과학기술 문명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융합에너지학은 자연의 법칙과 원리의 발견뿐만 아니라 이에 근거하여 앞으로 일어날 자연현상을 예측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자연현상의 탐구와 예측능력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기본이므로 융합에너지학을 과학기술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융합에너지학전공에서는 제반 융합에너지학 지식의 학습을 통하여 융합에너지학도로서의 기본능력을 배양시키며, 이를 산업계와 학계의 새로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융합에너지학의 전반적인 이론 및 실험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융합에너지학전공은 교수와 학생 사이에 정이 넘치고 선배와 후배 사이에 우의가 돈독한 학과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오고 있다. 재학 중에는 mentor와 tutor 활동을 통하여 후배들의 대학생활과 학업을 이끌어주고 졸업 후 취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
2025 | 융합에너지학전공 신설 |
1.3. 식품영양학전공
식품영양학전공은 1966년 우리나라 최초로 교육부 인가를 받은 오랜 역사를 지닌 전공으로 관련 분야에서 많은 인재를 양성해왔다. 식품영양학 전공자들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실시하는 국가시험을 통해 영양사 면허증과 식품위생사 자격증, 영양교사 자격증, 보건교육사 자격증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영양교육, 지역사회영양, 임상영양학 등의 영양학 영역, 식품과학, 발효학, 식품가공학 등의 식품학 영역, 영양소 대사 및 기능의 작용기전을 다루는 생명과학 영역, 급식 경영관리의 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한 단체급식 및 외식 영역 등 분야를 특성화, 세분화시키는 동시에 또한 통합화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킴으로써 식생활 전반에 걸친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미래지향적이고 긍정적인 식품영양학의 전망과 함께 본교 식품영양학전공은 건강전문가로서의 장래를 보장받는 전공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론과 실습을 겸한 내실 있는 교육은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다. |
1962 | 영양과 신설 |
1966 | 영양식품과로 증설, 국내 최초로 교육부 인가 |
1971 | 대학원 영양식품학과 석사과정 신설 |
1975 | 대학원 영양식품학과 박사과정 신설 |
2005 |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2025 | 화학생명과학대학 식품영향학전공 |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홈페이지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는 국내 최초로 교육부 인가를 받은 학과이다.
1.4. 시스템생명과학전공
생명과학은 21세기를 주도하고 있는 종합 학문으로서 새로운 연구 내용과 방법이 계속 개발되는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과학 분야입니다. 시스템생명과학전공은 생명 분자로부터 세포와 개체, 나아가 생물 집단과 지구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생명이 보여주는 체계적 생명 구현 시스템과 경이로운 진화와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명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종합적인 인재를 길러내고자 합니다. 또한 박테리아로부터 식물과 동물, 인간 등 주요 생물시스템에 대한 학문적 연마를 통해 인류의 미래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전문인을 육성하고자 합니다. 시스템생명과학전공에서는 생명 분자와 유전자, 효소에 대한 분자수준의 지식, 세포와 개체의 생명 활동에 대한 지식, 세균 등 원핵생물과 동식물 등 진핵생물 시스템에 대한 지식, 바이오 빅데이터와 생명정보의 처리에 대한 IT 지식, 생명시스템의 산업적 활용 지식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공 특화 프로그램과 동아리 활동을 제공하여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서 학생들이 경쟁력 있게 능동적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가르치고 있습니다. |
1988 | 생물학과 신설 |
1994 | 대학원 생물학과(석사과정) 신설 |
1995 | 생명과학과로 학과명칭 변경 |
1996 | 대학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신설 |
2002 | 생명과학과를 생명과학정보학부(생명과학전공, 생명정보학전공) 으로 편제개편 |
2016 | 생명과학정보학부를 생명과학정보학과로 편제 개편 |
2025 | 시스템생명과학전공으로 개편 |
명지대학교 생명과학정보학과 홈페이지
2. 신입생 모집 중단
2.1. 수학과
명지대학교 수학과는 1979년에 설립되었다. 수학과에서는 기하학, 대수학, 위상수학, 해석학 등 수학의 중심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직이수과정을 위한 교과목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수치해석, 전산통계, 데이터분석 등 다양한 응용수학 분야를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학문으로 수학이 주목받고 있어 폭넓은 분야로의 진출이 기대된다. |
1966 | 이공학부 신설 |
1980 | 수학과 신설 |
1984 | 대학원 수학과(석사과정) 신설 |
1985 | 대학원 수학과(석사과정) 신설 |
2004 | 이과대학에서 자연과학대학으로 편제개편 |
명지대학교 수학과 홈페이지
2.2. 물리학과
물질의 구성요소인 소립자들의 미시적인 운동에서부터 우주천체들의 거시적인 운행에 이르기까지 자연현상은 일견 무질서해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정확한 질서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토대로 하는 현대물리학은 오늘날의 과학기술 문명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물리학은 자연의 법칙과 원리의 발견뿐만 아니라 이에 근거하여 앞으로 일어날 자연현상을 예측하는 학문이기도 하다. 자연현상의 탐구와 예측능력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기본이므로 물리학을 과학기술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물리학과에서는 제반 물리학 지식의 학습을 통하여 물리학도로서의 기본능력을 배양시키며, 이를 산업계와 학계의 새로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물리학의 전반적인 이론 및 실험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물리학과는 교수와 학생 사이에 정이 넘치고 선배와 후배 사이에 우의가 돈독한 학과의 전통을 계승 발전시켜 오고 있다. 재학 중에는 mentor와 tutor 활동을 통하여 후배들의 대학생활과 학업을 이끌어주고 졸업 후 취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
1980 | 물리학과 신설 |
1982 | 자연캠퍼스 공학관 이전 |
1984 | 물리학과 1회 졸업생 배출 |
1985 | 대학원 물리학과 석사과정 신설 |
1988 | 대학원 물리학과 박사과정 신설 |
1993 |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석사과정 신설 |
1995 | 자연캠퍼스 이학관 이전 |
2004 | 물리학과가 소속된 이과대학을 자연과학대학으로 명칭 변경 |
2008 | 자연캠퍼스 차세대과학관 이전 |
2008 | 교육과학기술부 물리학과 최우수 평가 |
명지대학교 물리학과 홈페이지
차세대과학관 3층을 사용하고 있고 교내 유일하게 교수님 별 재학생 반 편성제도를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