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OCG의 마법 카드.
1.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몬스터 게이트,
일어판 명칭=モンスターゲート,
영어판 명칭=Monster Gate,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넘겨\,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남은 넘긴 카드는 전부 묘지로 보낸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제한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덱 맨위를 넘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넘긴 나머지 카드를 덤핑시키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유사 카드인 명추리와 더불어 추리게이트 덱의 핵심 파츠에 해당한다. 서로 비교하자면, 릴리스 코스트가 필요하지만 특수 소환을 못하고 끝날 가능성이 더 적다는 차별점이 있다. 명추리와는 달리 상대한테 덱 맨위를 알려도 문제없으니 봉황신의 깃털, 좀비 캐리어, 에지임프 시저 등의 카드로 덱 맨위의 카드를 조작해서 확실하게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 후자 2장은 이 카드의 코스트로도 삼을 수 있으니 그 점에서도 상성이 좋다.
암흑세계-섀도우 디스토피아-와 함께 채용하게 된다면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고 자신의 덱을 갈아버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단순히 특수 소환만 해서야 손해를 지게 되니 다른 콤보와 연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릴리스 자체를 어드밴티지로 삼는 성각 덱이라면 충분히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변칙적으로 필요 없어진 엑시즈 몬스터를 이 카드의 코스트로 써버리고, 주탄동자로 덱 맨위에 둔 마두귀를 재활용하면서 새롭게 엑시즈 소환하는 방법도 있다.
특수 소환 이외의 활용법으로는 묘지로 보내는 처리를 착안하는 것도 있다. 덱에서 통상 소환할 수 없는 몬스터나 마법 / 함정 카드를 다수 투입해서 대량의 묘지 덤핑이 가능해지며, 이를 어드밴티지 삼은 전술이 더 수월해진다. 대표적으로 카오스 게이트, 도그마 블레이드, 매지컬 익스플로전 원턴킬 덱 등이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덱을 넘기는 것은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이므로 특수 소환 몬스터나 의식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무시하고 계속 넘기게 된다. 한편 앤틱 기어 골렘처럼 통상 소환 가능하지만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마찬가지로 그냥 넘겨야 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 것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시계신 메타이온 등이 나왔을 경우에는 특수 소환할 수 없고 넘긴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내게 된다. 넘겨서 묘지로 간 카드도 마찬가지로 덱에서 묘지로 보낸 것으로 취급되는데,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같은 카드도 넘겨서 묘지로 보내는 처리가 끝나면 효과를 발동해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
투입하는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를 줄이면 원하는 몬스터를 더 확실하게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되지만, 명추리와는 달리 덱에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줄면 이 카드의 발동이 어려워진다는 딜레마가 생긴다. 따라서 과거 원턴킬 덱에서는 다른 특수 소환 수단도 다수 채용하기도 했다.
TCG권에서는 추리게이트 덱을 견제하기 위해 2022년 2월부터 다시 제한카드가 됐다.
유희왕 GX에서는 53화에서 에드 피닉스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첫 듀얼 중 사용. 드로우하자마자 빛의 소집을 발동하기 위한 코스트로 버리고 신성한 구체를 패에 추가했다.
일러스트에서 빠져나오는 몬스터는 기가 가가기고.
수록 팩 일람
KCG
]]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 러시듀얼@
덱 맨위를 넘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넘긴 나머지 카드를 덤핑시키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유사 카드인 명추리와 더불어 추리게이트 덱의 핵심 파츠에 해당한다. 서로 비교하자면, 릴리스 코스트가 필요하지만 특수 소환을 못하고 끝날 가능성이 더 적다는 차별점이 있다. 명추리와는 달리 상대한테 덱 맨위를 알려도 문제없으니 봉황신의 깃털, 좀비 캐리어, 에지임프 시저 등의 카드로 덱 맨위의 카드를 조작해서 확실하게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 후자 2장은 이 카드의 코스트로도 삼을 수 있으니 그 점에서도 상성이 좋다.
암흑세계-섀도우 디스토피아-와 함께 채용하게 된다면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고 자신의 덱을 갈아버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단순히 특수 소환만 해서야 손해를 지게 되니 다른 콤보와 연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릴리스 자체를 어드밴티지로 삼는 성각 덱이라면 충분히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변칙적으로 필요 없어진 엑시즈 몬스터를 이 카드의 코스트로 써버리고, 주탄동자로 덱 맨위에 둔 마두귀를 재활용하면서 새롭게 엑시즈 소환하는 방법도 있다.
특수 소환 이외의 활용법으로는 묘지로 보내는 처리를 착안하는 것도 있다. 덱에서 통상 소환할 수 없는 몬스터나 마법 / 함정 카드를 다수 투입해서 대량의 묘지 덤핑이 가능해지며, 이를 어드밴티지 삼은 전술이 더 수월해진다. 대표적으로 카오스 게이트, 도그마 블레이드, 매지컬 익스플로전 원턴킬 덱 등이 있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덱을 넘기는 것은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나올 때까지'이므로 특수 소환 몬스터나 의식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무시하고 계속 넘기게 된다. 한편 앤틱 기어 골렘처럼 통상 소환 가능하지만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가 나왔을 경우 마찬가지로 그냥 넘겨야 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덱에서 특수 소환한 것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시계신 메타이온 등이 나왔을 경우에는 특수 소환할 수 없고 넘긴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내게 된다. 넘겨서 묘지로 간 카드도 마찬가지로 덱에서 묘지로 보낸 것으로 취급되는데,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같은 카드도 넘겨서 묘지로 보내는 처리가 끝나면 효과를 발동해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된다.
투입하는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를 줄이면 원하는 몬스터를 더 확실하게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되지만, 명추리와는 달리 덱에 통상 소환 가능한 몬스터가 줄면 이 카드의 발동이 어려워진다는 딜레마가 생긴다. 따라서 과거 원턴킬 덱에서는 다른 특수 소환 수단도 다수 채용하기도 했다.
TCG권에서는 추리게이트 덱을 견제하기 위해 2022년 2월부터 다시 제한카드가 됐다.
유희왕 GX에서는 53화에서 에드 피닉스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첫 듀얼 중 사용. 드로우하자마자 빛의 소집을 발동하기 위한 코스트로 버리고 신성한 구체를 패에 추가했다.
일러스트에서 빠져나오는 몬스터는 기가 가가기고.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천공의 성역 | AST-KR03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절판 |
하이 그레이드 팩 Vol.2 | HGP2-KR151 | 노멀 | 한국 | |
익스팬션 팩 Vol.3 | ESP3-KR041 | 노멀 | 한국 | |
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 | SD22-KR031 | 노멀 | 한국 | |
크로니클 팩 1st WAVE | 20AP-KR030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스트럭처 덱 -언데드 월드- | SR07-KR030 | 노멀 | 한국 | |
天空の聖域 | 308-03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절판 |
EXPERT EDITION Volume 2 | EE2-JP151 | 노멀 | 일본 | |
STRUCTURE DECK -ドラゴニック・レギオン- | SD22-JP031 | 노멀 | 일본 | |
20th ANNIVERSARY PACK 1st WAVE | 20AP-JP030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STRUCTURE DECK R -アンデットワールド- | SR07-JP030 | 노멀 | 일본 | |
Ancient Sanctuary | AST-039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Dark Revelation Volume 2 | DR2-EN151 | 노멀 | 미국 | |
Structure Deck: Dragons Collide | SDDC-EN032 | 노멀 | 미국 | |
Battle Pack: Epic Dawn | BP01-EN079 | 노멀 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OTS Tournament Pack 1 | OP01-EN024 | 노멀 | 미국 | |
Duelist Saga | DUSA-EN05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Structure Deck: Zombie Horde | SR07-EN030 | 노멀 | 미국 | |
Mystic Fighters | MYFI-EN053 | 슈퍼 레어 |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