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에는 등장하지 않는 유희왕/OCG의 오리지널 카드군이며 중세 판타지를 연상시키는 일러스트가 특징이다. 게임 유희왕 태그 포스 등에서는 사오토메 레이가 들고 나오기도 했다.
정의를 위해 싸우는 빛의 사도들이라는 설정으로 이들은 평소에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저스티스 월드에 살고 있으나 소녀가 눈물을 흘린다거나 하는 등 뭔가 도움을 요청하는 낌새가 느껴지면 이들을 구원하기 위해 현세로 달려온다. 최전선에서 싸우는 선발부대, 후방에서 마법으로 지원하는 부대, 공중전을 맡는 부대, 첩보전을 맡는 부대 등 역할 체계도 확실히 잡혀 있으며 저지먼트 드래곤은 이들의 최종병기이다. 한편 현세에서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마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10기에 등장한 트와일라이트로드의 경우 이름의 유래는 트와일라잇(Twilight)+라이트로드. 황혼이라는 뜻답게, 이들은 기존의 밝던 라이트로드와는 달리 어두운 느낌을 준다. 의외로 외양은 기존 디자인에 검은 망토만 두르고 있는 모습이다. 다만 아예 검은 망토만 두르고 있는 것은 아니며, 소서러 라일라는 검은색의 마법사 모자를 쓰고 있고 제너럴 제인이 들고 있는 검의 색상이 검은색과 붉은색으로 바뀌는 등 소소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몬스터 뒤 배경도 어두운 계통의 색에 문양이 살짝 다른 것도 특징.
라이트로드 카드군은 파괴의 빛, 엑스트라 팩 2, 듀얼리스트 세트에 모두 수록되어 있다. 그 외 스트럭처 덱이나 골드 시리즈 등에서 재록이 되어 덱 구축 난이도는 낮은 편이다.
라이트로드 카드군의 키워드는 바로 ‘엔드 페이즈에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n장 묘지로 보낸다.’는 효과이다. 이 효과들은 묘지에 라이트로드가 4종류 이상 있을 경우 소환 가능한 저지먼트 드래곤을 소환하도록 설계한 카드군임을 알 수 있다.
엔드 페이즈시에 덤핑하는 효과는 체인 블록을 만드는 유발 효과이다. 예전에는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이라는 식으로 마치 지속 효과처럼 쓰여있었으나 '듀얼리스트 세트 Ver.라이트로드 저지먼트' 에서 유발 효과라는 점을 확실하게 하기위해 많은 카드에 ‘엔드 페이즈 시마다, 발동한다.’라는 대대적인 텍스트 에라타가 이루어졌다.
"트와일라이트로드" 몬스터의 공통 효과
ⓝ: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n장 묘지로 보낸다.
트와일라이트로드의 경우 공통된 효과로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X장 묘지로 보낸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즉, 기존 라이트로드의 효과를 트리거로 메인 페이즈에 묘지 덤핑이 가능한 효과로 기존 라이트로드 카드군의 묘지 덤핑 효과가 대부분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는 단점을 보완한 듯한 효과. 물론 트와일라이트로드도 라이트로드이기 때문에 다른 트와일라이트로드의 효과 발동 역시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고유 효과들은 전부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를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어느 정도 묘지에 자원이 쌓여 있는 상태가 아니면 패를 코스트로 소모해야 하기 때문에 초동에 발동하기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트와일라이트로드만으로는 능동적으로 묘지 자원을 쌓기가 어려워 필연적으로 라이트로드와 섞어 사용하게 된다. 카드군 내에서도 2가지 속성 사용을 요구하는 등 둘을 명확히 분리하지 않고 함께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카드가 많다.
현재는 어둠 속성을 혼용하는 라이트로드 덱에서 샤먼 루미나스만 채용해 전개를 보조하는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현존하는 유희왕 최고의 덱 덤핑 능력 라이트로드의 강점은 덱에서 묘지로 카드를 보내는 덤핑 능력이 높다는 것이다. 유희왕에서 묘지는 이제 하나의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자원을 다른 덱들보다 훨씬 빨리 쌓아 어드밴티지로 직결된다는 상당히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장점 덕분에 묘지를 사용하는 다른 덱과의 시너지도 훌륭하다. 라이트로드가 2008년에 발매된 5기 부스터 끝에 나온 카드군이지만 오랜 시간 활약한 데에는 묘지 자원을 빠르고 안전하게 쌓을 수 있는 특유의 라이트로드 덤핑 능력이 한몫 했다.
이 덤핑 능력으로 인한 역설적인 강점도 카드군의 생명력을 연장했다. 현재 시점에서는 파워 인플레가 심해져서 옛날 이야기가 되었지만, 주력 몬스터 카드의 개별 스펙이나 효과 성능이 싱크로 소환 시대 직전에 출시된 카드군치고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어서 매우 오랫동안 티어덱들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출시 당시에는 당시에는 묘지 활용 카드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덱 덤핑이 디메리트로 인식되었었고, 이런 디메리트를 부여한 대신에 개별 카드들의 성능을 당시 기준으로 매우 높게 설정한 카드군이었다. 공격할 때 2100/평상시 1800의 타점이 높았던 제인을[1] 필두로 범용 제거계 용병으로 불려다니던 라이코와 라일라, 무한루프 양산에 써먹히던 루미나스, 검투수 가이재러스와 함께 상대 카드 2장 파괴의 장벽을 크게 낮춰버린 케루빔과 종언, 데미스 이후로 기껏 높여둔 필드클린의 장벽을 다시 크게 낮춰버린 저지먼트 드래곤까지 '이 카드들이 다 한 카드군이라고?' 싶을 만큼 스펙이 높았다. 이는 검투수, 담드와 함께 파워 인플레와 듀얼 스피드를 강하게 가속시켰고 싱크로 소환의 시대로 이어지게 된다.
이후로도 막장급 파워 인플레를 자랑하는 유희왕의 역사에서도 '이제는 메리트가 되어버린 덤핑' + '생각만큼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은 스펙'을 앞세워 용병이 되거나 혹은 용병을 고용해가며 질기게 살아남았었다. 차후 오랜 시간이 지나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지원 이후에는 아예 선턴에 자신의 덱을 전부 갈아버릴 수 있을 정도로 덤핑력이 대폭 강화되었다.
직관적인 플레이 라이트로드 덱은 굉장히 직관적이다. 기본적으로 덱을 싹 덤핑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을 하며, 묘지에 쌓인 자원만 조금 관리할 줄 안다면 어려운 컨트롤 없이 묘지에서 뿜어져 나오는 어드밴티지로 전개를 하여 밀어붙이는 간단한 형식이다. 이를 이용하여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를 사용한 선턴킬을 하거나,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필드를 클린하여 역전을 노리거나 피니시를 내는 것이 주된 목표 전략이다.
그 외 특징들 1) 많은 재록으로 인해 덱을 만드는데 필요한 가격이 비싸지 않은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 상술했듯이 묘지를 사용하는 카드면 모두 시너지가 좋기 때문에 덱의 자유도가 상당히 높다.
2) 개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이트로드의 손맛 또한 좋다. 매번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무엇이 덤핑될까 아슬아슬한 묘미가 있다. 당연히 자신이 원하는대로 덤핑이 되면 좋겠지만 안좋은 방향으로 덤핑이 되더라도 그 묘지 자원을 바탕으로 조금씩 풀어가는 것이 이 덱의 재미다. 저지먼트 드래곤의 걸출한 필드 클린 효과도 한번 맛보면 계속 잡고 싶어지는 이유이다.
3) 중세 판타지를 옮겨놓은 듯한 미형의 일러스트 또한 인기의 이유 중 하나이며, 마스터즈 가이드 3에서 라이트로드 스토리를 넣어줄 만큼 코나미에서도 꽤 신경써준 카드군이다.
제외에 취약함 라이트로드의 덱 덤핑 효과는 다른 카드에 의해 견제당하기 쉬우며, 특히 차원의 틈, 매크로 코스모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디멘션 어트랙터와 같은 제외 계열의 카드에 약하다. 덱을 구축할 때 "묘지에서 제 값을 하는" 카드를 다수 투입하게 되는데, 묘지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면 묘지 자원 활용이라는 큰 장점을 잃게 되고 어드밴티지를 잃기만 하여 패배하게 된다.
덱이 몬스터의 비중이 크다는 점 덱 덤핑에 유리한 카드가 마법 함정보다 몬스터가 많다. 일반적으로 라이트로드는 대량의 몬스터와 소량의 마함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문에 상대의 마법 함정을 돌파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함을 파괴하는 라일라 역시 소환과 동시에 패 트랩이나 함정 카드에 잘릴 확률이 높으며, 트와일라이트로드 라일라는 추가조건이 더 필요한데다가 앞면 표시의 마함만 파괴가 가능하다.
패 트랩 및 사이드 채용이 어려운 문제 최신 환경권에서 굉장히 치명적인 단점. 최소한의 손패로 전개를 하여 빌드를 세우고 메인 덱과 사이드 덱을 포함하여 수많은 패 트랩과 메타 카드를 채용하여 게임을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은 현 환경에서 이런 카드들이 덱에서 갈려버리면 무쓸모가 되어버리며, 설령 패에 잡혔다고 해도 라이트로드가 행해야 할 덱 덤핑용 카드가 적게 잡히고 쉽게 막혀버리면 그것대로 게임을 풀어갈 수가 없기 때문에 사이드전에서 약한 모습을 보인다.
라이트로드 카드군의 가장 큰 특징은 ‘대량 묘지 덤핑’이다. 이 덕분에 묘지로 가야 제 값을 발휘하는 카드들과 시너지가 좋으며, 때문에 여러 덱에서 사용되며 존재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아래는 라이트로드와 다른 카드(군)의 조합 예시이다.
순수 라이트로드 라이트로드만을 넣은 순수 라이트로드 덱. 5기 부스터 당시에는 묘지에서 활용 가능한 카드가 많지 않았기에 라이트로드만을 넣은 덱으로도 충분히 강력한 파워를 냈었다. 현재는 환경을 따라가지 못하는 카드 성능으로 인해 활약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카오스 라이트로드 (빛속성 + 어둠속성, 카오스) 라이트로드의 덤핑 능력과 모든 카드군이 빛 속성임을 이용하여 구축한 덱. 카오스 몬스터의 소환에 필요한 묘지 자원을 쉽게 쌓아주는 라이트로드와 카오스 몬스터는 상성이 좋다. 여러 종류의 어둠 속성 용병 몬스터가 사용되었으나 트와일라이트로드 발매 이후로는 라이트로드 몬스터만으로도 구축이 가능하다. 이 카드군은 후에 언데드 라이트로드/카오스 드래곤 라이트로드/소환수 라이트로드 계열로 이어진다.
BF 라이트로드 (BF-대패의 바유, BF 카드군) 바유로드라고도 불린다. 묘지에서 유사 싱크로가 가능한 BF-대패의 바유를 투입하고 묘지에서 싱크로 소환을 하는 계열의 덱이다. BF 자체도 어둠 속성이기에 카오스 라이트로드 계열처럼 운영할 수 있다. 바유의 위상이 높았던 시절에는 꽤나 강력한 조합이었으나, 지금은 환경을 쫓아가지 못하는 실상이다.
언데드 라이트로드→시라누이 라이트로드 (언데드, 시라누이) 좀비 마스터와 마두귀, 좀비 캐리어를 투입한 라이트로드. 묘지에서 부활하는 언데드족의 특성과 궁합이 좋으며 좀비 캐리어를 이용하여 싱크로 소환을 이어갈 수 있다. 언데드족 몬스터들이 어둠 속성임을 이용해 카오스 라이트로드처럼 운영할 수 있다. 이후에 등장한 시라누이 카드군은 묘지 자원을 활용하는 언데드 싱크로라는 특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역시 라이트로드와는 궁합이 좋다.
세피론 크리스티아 라이트로드 (대천사 크리스티아, 궁극시계신 세피론)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과 라이트로드 스피릿 샤이어가 천사족임을 이용하여 구축한 덱. 데클레어러 카드군과 천사족을 이용하여 대천사 크리스티아의 소환 조건을 충족시키며 특수소환을 봉쇄하고 세피론의 높은 공격력으로 상대를 압박한다.
카오스 드래곤 라이트로드 (이클립스 와이반,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카오스 라이트로드를 잇는 카오스 계열 라이트로드. 묘지 자원을 이용하여 라이트펄서 드래곤과 다크 플레어 드래곤, 그 외 소환 시 묘지에서 카드를 제외하는 몬스터들을 이용하여 이클립스 와이반의 서치 효과로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하는 덱이다.
크블 라이트로드 (Em 데미지 저글러, Em 트릭 크라운, H·C 사우전드 블레이드) 크라운 블레이드의 파생 덱. 크블덱의 핵심 몬스터들이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한다는 점을 이용해 시너지를 노리는 구성이다.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하기 마땅치 않아 저지먼트는 빠지고 굿스터프 형식으로 많이 구축했다. 랭크 4축 덱 자체가 강력함을 발휘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면서 위력은 많이 떨어졌다.
정룡 라이트로드 (정룡, 이클립스 와이반) 이클립스 와이반의 제외 시 서치 트리거를 정룡의 소생효과를 이용하여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 그 후에 7축 엑시즈나 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과 정룡을 싱크로 하여 성태룡을 소환하는 등 강력한 카드군이었다. 물론 현재는 정룡 3장이 금지가 되었기에 구축할 수 없는 덱.
백설 라이트로드 (페어리테일 – 백설, 이클립스 와이반) 묘지에서 7장을 제외할 경우 특수소환이 가능한 백설을 이용하여 이클립스 와이반의 서치 트리거를 만족하고 백설의 레벨이 4임을 이용하여 4축 엑시즈로 잇는 덱. 페어리테일 – 백설만 투입되면 가능한 덱이기에 굿스터프, 카드군 조합 모두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간드라이트로드 (페어리테일 – 백설, 이클립스 와이반, 간드라) 백설 라이트로드에서 추가로 피니셔로 간드라 시리즈를 채용하는 덱. 미친듯이 묘지를 쌓는 덱이기 때문에 이클립스 와이반을 묘지에 넣기 편함을 활용해서 와이반으로 간드라를 서치한 후 백설로 제외 자원을 쌓고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를 뽑아 피니시를 날리는 식이다. 묘지쌓이는 속도가 장난아니기 때문에 묘지에 간드라 시리즈를 묻어서 기가 레이즈의 2,3효과를 활용하기도 편하다. 아예 제외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저지먼트 드래곤 대신 카오스 솔저 -개벽-을 위시한 카오스를 투입하고,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쓸 수도 있다.
잔디깎기 라이트로드 (이웃집 잔디깎기) 덱 갈이의 정점인 잔깎을 동원한 라로. 잔깎 특성상 60장을 넣는 것이 안정적이므로 브릴퓨/백설/트릭 크라운 등등 굿스터프 카드들이 총동원된다.
섀도르 라이트로드 (섀도르) 섀도르 몬스터들은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에 시너지가 있다.
소환수 라이트로드 (소환수, 페어리테일 - 백설) 소환수 카드군을 이용하여 운영하는 라이트로드 계열이다. 묘지에 소환마술이나 소환사 – 알레이스터가 가더라도 백설을 이용하여 묘지를 제외존으로 능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카오스 계통과 일부 굿스터프를 혼용한다.
공룡 라이트로드 (환창의 미세라사우르스, 오버텍스 고아틀루스) 환창의 미세라사우르스는 묘지에서 자신을 포함한 묘지의 공룡족 몬스터를 제외하고 효과를 발동하고, 오버텍스 고아틀루스는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면 진화약을 집어오기에 시너지가 있다. 또한 묘지에 쌓이는 몬스터들로 궁극의 전도 티라노의 자체 효과, 궁극진화약의 효과로 티라노를 뽑을 수 있다는 점도 특징. 더 나아가서 공룡족 몬스터를 대량으로 제외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오버텍스 고아틀루스를 소환하거나, 디노 인피니티를 소환해 엄청난 공격력을 노릴 수도 있다. 공룡과 섀도르와의 호궁합 덕에 여기에 섀도르까지 들어가는 경우가 대다수.
식물 라이트로드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달링 코브라, 론 파이어 블로섬) 브릴리언트 퓨전의 빠른 서치 겸 링크전개 소재로 사용 가능한 프플을 이용한 라로. 그러나 식물 링크에서 FTK 콤보 파츠로 악용되어 제한을 먹고 사용하기 어려워졌다.
티아라멘츠 라이트로드 모든 파츠가 제한을 먹었고 이시즈 파츠도 제한이라 대량 덤핑이 힘들기 때문에 써먹을 만한 조합.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후 확정 덤핑력이 늘어난 덕분에 실전성이 크게 늘었다.
블매 라이트로드 블랙 매지션 서포트 카드들 상당수가 묘지를 활용하기에 나름 써먹을 만한 조합.
이렇게 여러 덱과의 조합이 가능한점은 라이트로드만의 독보적인 장점. 위의 예시 말고도 다른 타입의 혼합덱도 여러 개 존재하며 각각마다 입상전적을 남겼다. 덱을 구축할 때에 라이트로드 / 용병 테마의 비중을 어느 쪽에 높게 두냐에 따라 덱 구성이 크게 달라지는 점도 특징. 이렇게 여러 테마와 혼합해 라이트로드 + 혼합 테마의 덱 파워를 동시에 낼 수 있는 묘지, 필드 구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실 위에 쓰여진 덱 구성 예시는 오래된 예시이기도 하고 현시점에서 위의 예시 테마나 최근 나온 테마들 대부분은 라이트로드 말고 다른 테마랑 섞거나 자체적으로 쓰일 때 화력이 좀 더 높은 것이 현실이다. 라이트로드는 낡고 오래된 테마고 약점도 뚜렷하기 때문에 카운터를 맞기가 쉽고 늦은 타이밍의 무작위 덤핑 특성상 언제나 말림의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 때문에 덱구축에 있어서 신경써야 할 것이 많고 용병 테마와의 시너지를 계산해서 본인에게 맞는 효율적인 덱구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꾸준히 입상전적을 올린 전통의 우승덱. 첫등장부터 순수 라이트로드의 화력은 당시의 검투수와 같이 테마 자체의 파워로서는 탑급 레벨이었고 어니스트를 비롯한 빛속성 지원카드에 힘입어 오랫동안 우승덱으로 많은 입상기록을 남겼다. 저지먼트 드래곤도 그 위용이 너무 강했던지라 2008년 준제를 먹었다.
이후 빛속성 메타카드나 해당 테마의 약점이 두드러져 쉐어가 낮아졌을 때도 메타에 따라 다른 종족 카드를 투입하였는데 언데드, 공룡, 드래곤, 천사, 야수전사 등 다른덱으로서는 시도하기도 힘든 파격적인 용병 채용으로 덱의 형식을 바꾸어 살아남았다. 잊을만 하면 나오는 빛의 원군을 비롯한 지원카드와 어둠 속성과의 혼합덱도 덱의 쉐어를 높여주었고 대량묘지 덤핑이 기본인 라이트로드는 카드군 자체가 높은 쉐어와 가능성을 지녔다고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엑시즈 소환 이후 점점 듀얼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면서 엔드 페이즈라는 늦은 타이밍의 묘지덤핑은 점점 가치가 낮아졌고 입상기록도 점점 줄어들어 비티어 덱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게다가 파괴 내성 가진 몬스터들이 우후죽순 튀어나오면서 라이트로드로서는 대응이 까다로워진것은 덤. 물론 테마 자체의 잠재력과 다른 테마, 속성과의 혼합덱의 폭발력은 뛰어나 가끔 입상기록을 남겼지만 펜듈럼 소환때 쯔음엔 테마 자체의 쉐어가 내려가 테마자체의 입상은 극단적으로 줄었고 빛의 원군과 몇몇 라이트 로드만이 용병으로 쓰였다.[2] 링크 소환때에 하위 카드군 지원으로 트와일라이트로드가 나왔지만 되려 연계면에서 아쉬운 성능을 보여 과거 시절처럼 날아오르진 못했다.
이후 대부분의 라이트 로드 덱은 현환경을 따라잡기 위해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비중을 줄이고 고성능 용병의 비중이 높이는 방식의 덱구축이 정석으로 자리잡았다. 현재 쓰이는 덱은 60장 형식의 잔디깎이 채용덱이나 고성능 용병을 채용한 혼합덱 위주로 구성되고 있다.[3] 라이트로드 특유의 장점인 묘지덤핑은 이젠 다른 테마는 기본적으로 할 수 있다보니[4] 라이트로드 특유의 대량덤핑에 초점을 두고 덱을 운영하는 방식이 많아졌다.
묘지 덤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첫테마이고 많은 유저들이 우승을 자주했던 덱으로 기억하고 있지만 현 시점에서 입상 전적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현 티어권 덱의 특징들인 운영, 전개, 키카드 서치, 퍼미션 같은 효과들을 라이트로드 자체카드로는 흉내내기도 힘들고 용병, 엑스트라 몬스터로 따라하는 것이 고작. 장점으로 내세우는 전개와 묘지 아드벌이는 우수하지만 덤핑운이나 상황을 많이타는 것도 치명적이다. 라이트로드는 분명 코나미가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해주는 테마고 자체 화력이나 잠재력도 높은수준은 맞지만 여러 약점과 낡은 테마 자체의 한계에 부딪쳐 현재는 입상권과는 멀어진 것이 현실이다.
그래도 꾸준한 지원과 유저들의 지속적인 연구로 다른 테마덱들에 비하면 사정이 많이 나은편. 나온지 10년이 훨씬지난 테마가 우승권에 오래 머물렀고 현시점에서도 계속 쓰이며 재록되는 것 자체가 테마의 인기를 나타내는 방증이다. 추후 강력한 지원이 나온다면 다시금 날아오를지도 모를 일이다.
데뷔 : 라이트로드 카드군 개개의 강한 효과와 저지먼트 드래곤의 필드클린, 그리고 라이트로드의 특징인 묘지와의 연계 시너지를 이용하여 강덱이 되었다.
2009년 9월 : 라이트로드라면 소환도 간편하고 코스트에 비해 필드클린이라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 피니셔 저지먼트 드래곤이 준제한 리스트에 올랐다. 그러나 라이트로드에 위협이 되는 카드들이 (신의 심판, 다크 다이브 봄버, BF) 모두 제재당해 우승덱 반열에 올랐다.
2010년 3월 : 라이트로드의 키 카드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와 빛의 원군이 제한 리스트에 올랐다. 또한 저지먼트 드래곤과 케루빔의 파괴효과를 완벽하게 카운터 하는 스타라이트 로드가 나오면서 라이트로드는 침체기를 맞는다.
2011년 3월 : 기동효과를 발동할 때 턴 진행자의 우선권이 없어지면서 저지먼트 드래곤이 엄청난 하향을 당했다. 일단 소환이 무효화되지 않으면 필드를 클린하는 효과를 더 이상 먼저 발동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또한 라이트로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니스트가 제한 리스트에 올랐다. 저지먼트 드래곤을 안전하게 소환하기 위해 발동하던 대 한파마저 금지가 되면서 라이트로드는 엄청난 하향을 당했다.
2011년 9월 : 기동효과 우선권이 없어지면서 힘을 잃은 저지먼트 드래곤이 무제한으로 내려왔다. 또한 카오스 솔저 -개벽-이 제한으로 내려왔다. 이에 개벽을 이용하는 카오스 라이트로드가 강세였다.
2012년 3월 :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가 준제한으로 내려오며 점점 라이트로드에 걸린 제재를 풀어주었다. 그러나 이 분기 인잭터가 강세여서 큰 힘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드래고닉 레기온의 발매로 인해 이클립스 와이반으로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할 수 있었으며 드래고닉 레기온에 등장한 카드들이 꽤 강력했기 때문에 강덱의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2012년 3월 : 1달 전에 발매된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에서 수록된 정룡을 이용하여 라이트로드가 우승덱에 오른다. 라이트로드 전개의 핵심이었던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가 드디어 무제한이 되었다.
2012년 11월 : 듀얼리스트 세트 ver.라이트로드 저지먼트의 발매로 라이트로드의 키 카드 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과 라이트로드 아크 미카엘이 등장했다. 메인페이즈에 덤핑가능한 라이덴의 등장으로 좀 더 능동적으로 메인페이즈에 전개가 가능해졌으며 그토록 원하던 라이트로드 전용 튜너가 나오면서 싱크로에 힘을 더 실을 수 있었다.
2014년 : 정룡들이 전부 제한을 먹고 2군 정도로 어느 정도 파워가 약해졌지만 아직 파괴력은 건재했으므로 여전히 굴려볼 만한 덱이었다.
2015년 4월 : 정룡 카드군이 모두 금지 리스트에 올라 정룡 라이트로드는 끝을 맞이한다.
2015년 8월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에서 드디어 라이트로드의 첫 엑시즈 몬스터 라이트로드 세인트 미네르바가 등장한다. 4축으로 간편하게 소환할 수 있으며 덱 덤핑과 덤핑 시 라이트로드만큼 드로우 하는 효과와 파괴 시 유언효과로 상대 필드를 견제하는 유능한 효과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여서 라이트로드 유저들은 환호했다. 또한 Em 트릭 크라운과 사우전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4축 엑시즈를 특화하는 것으로 환경에 최적화시켰다. 그러나 저지먼트 드래곤의 서치가 힘들었기에 저지먼트 드래곤 투입을 줄이거나 아예 투입하지 않아서 기존 라이트로드와 플레이하는 방식이 사뭇 달랐다.
2015년 10월 : 라이트로드의 고성능 서치카드 빛의 원군이 준제한으로 내려왔다. 하지만 같은 환경의 다른 덱들의 파워가 강력하여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다.
2016년 10월 : 빛의 원군의 무제한으로 내려오며 모든 제한 카드가 금지/제한에서 해제되었다. 또한 레이징 템피스트에서 수록된 십이수를 덱에 투입하며 간간히 우승덱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트와일라이트로드가 추가되었지만, 샤먼 루미나스를 제외하면 외면받았다.
2017년 11월 :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라이트로드 링크 몬스터의 발매가 확정되었다.
18년 1월에는 식물 링크에서 쓰는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달링 코브라, 론 파이어 블로섬을 이용해 브릴리언트 퓨전을 서치하거나 링크 소재로 사용하는 식물라로가 잠깐 연구되었다가 4월 오프리스와 론파가 제한이 되며 사라져버렸다.
2022년 시점에는 모든 덤핑 덱의 상위 호환이라 불리는 이시즈 티아라멘츠가 등장했다. 당연히 라이트로드도 예외일 순 없으며, 빛 속성이라는 부분을 제외한다면 완벽한 하위 호환으로 전락했다. 이시즈 티아라멘츠와의 차별화를 위해 추가 지원이 간절해진 상태다. 그나마 티아라멘츠를 주축으로 한 덱과 달리, 선공에 5소재 이상인 론고미언트를 뽑는 극단적인 전개 덱으로 구축한 라이트로드 주축 굿 스터프로 명맥을 이어갔다.
2023년부터 티아라멘츠 카드들이 서서히 제재를 먹기 시작한 뒤로는 펑크 카드를 투입하는 시도를 보이기도 했으나, 티아라멘츠 덱의 대한 간접 제재는 라이트로드에게도 영향을 입혔으며, 티아라멘츠를 완전히 티어권에서 몰아낸 2023년 10월 금제에 카오스 룰러, 고위병 아기도, 고첨병 켈벡 금지에 큰 타격을 입고 론고미언트까지 금지당해 승리 플랜이 하나 증발했다.
10기 초기에 트와일라이트로드와 큐리오스를 받은 뒤 오랫동안 신규지원에 대한 기약이 없어 왔으나,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지원을 받았다. 지원받은 것들은 기존 랜덤 덤핑도 어느 정도 존중하되 메인 페이즈에 확정 덤핑을 중심으로 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지원 결과 메인 페이즈에 확정 덤핑 등을 이용한 덤핑력이 크게 강화되었다. 데몬 바이스로 패에 잡히면 말림패 취급받는 페리스나 비스트 울프를 덱으로 되돌려서 덤핑시킬 수도 있고, 아테나 미네르바와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라는 확정 덤핑으로 원하는 라이트로드 카드를 덤핑시킬 수 있으며, 거기에 대한 효과도 볼 수 있다.
하루 우라라 같은 패트랩은 이전부터도 그랬지만, 지원 이후로는 그런 방해 한 두개 정도는 깔끔하게 밟고 덤핑이 가능하고, 극단적으로 선턴에 덱을 거의 대부분 털어내버릴 듯한 미친 덤핑도 어렵지 않게 가능해졌다. 선공 빌드도 아이기스를 통해서 상당히 강해졌고, 아예 선턴에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를 여러번 발사하여 선턴킬을 하는 전략도 등장했다. 후공 역시 상황에 따라서 온갖 견제를 모조리 밟고 전개해서 킬을 낼 수도 있게 되었으며, 증식의 G를 맞는다면 아예 상대를 덱사시킬 정도로 덤핑과 극전개를 해볼 수도 있다. 다만 디멘션 어트랙터를 필두로 한 제외 계열 카드에는 여전히 답이 없다.
무지막지한 덤핑이 강화되었다는 것에서 착안해서 아예 티아라멘츠 소스를 사용한 라이트로드도 존재한다. 사실 존재 자체야 이전부터도 존재했지만, 덤핑력 강화로 인해 티아라멘츠의 새로운 용병 후보군으로 올라온 상태. TCG에서는 레오디 환경에서 이 구축이 3티어에서 잠깐 반짝하기도 했다.
시크릿팩 빛으로부터 오는 정의에서 얻을 수 있다. UR 배정 카드는 빛의 원군과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 저지먼트 드래곤, 퍼니시먼트 드래곤, 엔라이트멘트 드래곤. 이 중 3장 넣어야 할 카드는 빛의 원군과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뿐이라서 값은 그렇게까지 나가지 않는 편. 다만 티아라멘츠 파츠나 호루스 파츠, 엑덱 등을 포함하면 값이 꽤나 나가며, 무사신제-카구츠치처럼 범용성 낮은 울레를 요구하기도 한다.
출시 당시부터 딱히 환경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덱은 아니었으나 2024년 9월 12일에 셀렉션 팩 '그레이트포스 어드밴스'에서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지원이 등장했다. 마스터 듀얼의 고유 금제상 파트너인 티아라멘츠가 상태가 양호해서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마듀 티아라 금제의 저격 대상은 메인 기믹인데 라로에서 쓸 용병에서는 메이루 금지는 별 상관 없고 오히려 셰이렌이 준제한인 것이 훨씬 큰 이점이며, 무엇보다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가 살아있다. 빛 속성 싱크로 덱이라 비서스=암리타라를 소환할 수도 있어서 본격적으로 티아라를 섞은 티아라로 구축도 존재한다. 단판전이다보니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 선턴킬 전략 또한 빛을 발한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도 등장하였는데, JUDGEMENT FORCE에서 저지먼트 드래곤을 포함한 다양한 라이트로드 지원 카드를 받아 등장시점에 1티어로 군림하였다. 사용법은 오프라인과 비슷한데, 최대한 덱을 넘긴 후, 루미나스의 효과로 라이덴을 끌어올려서 싱크로 소환으로 잇는 방식.
하지만 2020년 중반을 넘으면서 가속화된 게임 속도에 따라, 저지먼트 드래곤의 소환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연출되었고 싱크로를 하기 위한 루미나스의 효과 자체가 기동효과라서 느리다는 점 때문에[5] 약화되었으며, 특히 덱 파워는 존재하나 안정성이 떨어진다[6]는 평가로 티어권으로 평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덤핑능력에 기반하여, 여러 티어덱에 용병으로 사용되며 지금도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2020년대 대표적인 신조합은 타락천사과 썬더 드래곤이었는데 두 카드군 모두 절실한 묘지자원을 라로의 덤핑력에 의존하는 방식이었다. 이 점때문에 되살아난 두 덱은 결국 자체 금제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이 시점에서 빛의 원군이 억울하게(?) 3제한을 받게 되었다.
2020년 9월 환경에선 위치크래프트와의 신조합이 조명되면서 다시금 사용률이 올랐다. 위크덱의 부족한 덤핑력을 빛의 원군에 의존하는 방식인데, 주로 원군 3장, 루미나스와 레이덴을 3장씩만 넣고 덱을 넘기는 식이었다. 이렇게 악용되자 결국 빛의 원군이 2제한을 받아서 애꿎은 라로유저들만 피해를 보게 되었다.
하여튼 묘지자원이 중요한 덱과는 어떤 방식으로든 합쳐질 수 있는 만능테마라서 이후에도 덤핑이 중요한 덱들과는 계속 섞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의를 위해 싸우는 빛의 사도들이라는 설정으로 이들은 평소에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저스티스 월드에 살고 있으나 소녀가 눈물을 흘린다거나 하는 등 뭔가 도움을 요청하는 낌새가 느껴지면 이들을 구원하기 위해 현세로 달려온다. 최전선에서 싸우는 선발부대, 후방에서 마법으로 지원하는 부대, 공중전을 맡는 부대, 첩보전을 맡는 부대 등 역할 체계도 확실히 잡혀 있으며 저지먼트 드래곤은 이들의 최종병기이다. 한편 현세에서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마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트와일라이트로드는 라이트로드의 일원이 '트와일라이트 크로스'라고 하는 검은 의복[8]을 착용한 모습으로, 기존 라이트로드의 힘만으로는 고전할 정도의 악이 나타났을 때 사용하는 일종의 비밀 병기 같은 개념이라고 한다. 이 의복에는 어둠의 힘이 품어져 있어 라이트로드가 착용하면 빛과 어둠의 힘을 겸비하여 강력한 힘을 다루는 진정한 정의의 전사가 완성된다고. 라이트로드들과 비슷한 칭호-같은 이름을 가진 것도 그렇고, '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에서 볼 수 있듯 어둠의 힘을 비장의 수로서 사용하며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취하는 것이다.
위의 설정이 밝혀지기 전에는 암흑계의 세뇌의 일러스트를 보아 트와일라이트로드는 암흑계가 라이트로드를 흑화시킨 존재들이라고 추정하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는 단순 '암흑의 장기'처럼 암흑계와 트와일라이트로드의 대립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며,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가 단순히 세뇌 기술을 거는 모습이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메이덴 미네르바,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メイデン ミネルバ, 영어판 명칭=Minerva\, Lightsworn Maiden, 레벨=3,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2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종류의 수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드래곤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시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종류의 수 이하의 레벨을 가진 드래곤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발매 당시에는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하라고 넣은 효과였겠지만 이제는 저지먼트 드래곤뿐만 아니라 퍼니시먼트 드래곤까지도 서치 범위에 포함시키는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때문에 완전히 빛이 바랬다. 그렇다고 초동으로 쓰기도 애매한 것이, 이 카드의 효과는 묘지에 많은 라이트로드가 묻혀있어야 진가를 발휘하기 때문이다. 결국, 일소권 초동 밸류가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나 어쌔신 라이덴에 비해 크게 밀린다.
②의 효과는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는 유발 강제 효과. 코스트로 보내지든 효과로 보내지든 상관 없이 무조건 확정 덤핑을 시행하며 턴제가 없기 때문에 연속 덤핑을 노릴 수 있다.
라이트로드 공통의 덱 덤핑 효과의 매수는 2장.
채용 가치가 없다. 상술했듯이 일소권을 먹을 초동으로서 밸류가 높은 몬스터는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나 어쌔신 라이덴이 차지하고 있고, 확정 덤핑을 하는 ②의 효과 또한 상위 호환이 더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특히 덱에서 원하는 라이트로드를 덤핑하는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나 아테나 미네르바가 이 카드의 입지를 완전히 없앴다.
한글판 이름의 "메이덴"이라는 것은 아가씨라는 뜻으로 써 놓은 Maiden을 일본어 표기 그대로 써 놓은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공식 게임인 듀얼 링크스에서 디펜스 메이든은 올바르게 메이든이라 번역되었다. 또한, '미네르바'는 올림푸스의 12신 중 하나인 아테나의 라틴어 표기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アーチャー フェリス, 영어판 명칭=Felis\, Lightsworn Archer, 레벨=4, 속성=빛,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1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비스트 울프와 마찬가지로 통상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
①의 효과는 몬스터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강제 효과. 비스트 울프와는 달리 이 효과는 몬스터 효과에 의한 덤핑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적용 범위가 좁다. 즉, 이웃집 잔디깎기 같은 마법 / 함정 카드는 물론이고 나츄르 비스트나 엔젤 케루빔 같이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 처리로 덱에서 갈려도 효과가 특수 소환이 안 된다. 서포트 카드인 솔라 익스체인지나 빛의 원군을 사용할 때 덱 갈이 코스트로 이 카드가 왕창 갈려나간다면 큰 손해다.
②의 효과는 자신을 릴리스하고 상대 몬스터를 1장 파괴하면서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내는 기동 효과. 메인 페이즈에도 발동 가능한 몇 안되는 덤핑 효과다.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전개를 시작하는 메인 페이즈에 덤핑이 가능하므로 묘지 자원을 더 활용하기 편하다.
라이트로드보다는 초창기의 섀도르에서 자주 채용했다. 매스매티션으로 덤핑하면 7레벨 싱크로로 이어 갈 수 있었고, 패에 잡혀도 섀도르 퓨전으로 엘섀도르 네피림 소환하는 데 사용하면 그만이었기 때문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アサシン ライデン, 영어판 명칭=Raiden\, Hand of the Lightsworn,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있을 경우\, 추가로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2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내고 그 중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을 200 올리는 기동 효과. 라이트로드 내에서 몇 안 되는 능동적인 덤핑이 가능한 카드다. 대신 능동적인 덤핑이 가능하다는 걸 경계해 명칭 제약이 붙어 있다.
라이트로드 공통의 덱 덤핑 효과 매수는 2장.
초동의 가치는 이 카드의 상위 호환으로 훨씬 밸류가 높은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가 있지만 이 카드는 그럼에도 여전히 투입된다. 능동적으로 2장 이상을 덤핑할 수 있는 카드는 라이트로드 내에서 많지 않기 때문. 레벨 4이기 때문에 랭크 4 엑시즈 소환에 쓰거나 레벨 5 이상 싱크로 소환에 써도 된다.
발매 이후 재록되지 않아 가격대가 꽤 있는 카드였으나 거신룡의 부활에 재록되어 가격이 내려갔다. 이후 리볼버 스트럭처에도 재록됐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デーモン ヴァイス, 영어판 명칭=Weiss\, Lightsworn Archfiend, 레벨=4, 속성=빛,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1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다른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덱 맨 위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이외의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라이트로드 최초의 악마족 몬스터. 공식 방송에서 암흑계의 술사 스노우일 가능성을 제기했는데, 스노우의 공수를 뒤집은 스테이터스나 지팡이의 보석 색깔 등으로 보아 스노우가 라이트로드로 이적한 모습으로 보인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다른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덱 맨 위로 되돌린 다음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덤핑하는 기동 효과. 패에 잡혔을 경우 패 사고의 요인이 되는 아처 페리스 / 비스트 울프 / 심판을 덱 맨 위로 되돌리고 바로 덤핑함으로써 어드밴티지로 이을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효과다. 이 카드 자체도 튜너이기에 비스트 울프를 덤핑했을 경우 아테나 미네르바나 범용 레벨 8 싱크로로 이을 수 있고, 필드에 개체수를 늘려 링크 소재나 엑시즈 소재, 또는 도미니온 큐리오스를 소환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데몬 바이스 이외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소생하는 유발 효과. 자기 자신과 동명 카드를 소환할 수 없다는 걸 제외하면 소생 범위가 매우 폭넓고 설령 2장째 데몬 바이스가 잡혔더라도 ①의 효과로 2장째 데몬 바이스를 덱 맨 위로 되돌린 다음 덤핑해 ②의 효과를 노리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호감패를 되려 전개 파츠로 바꿔버릴 수 있을 정도의 파격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아쉽게도 이 카드 자체는 초동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패 상태에 따라 전개가 성립될 수도, 안 될 수도 있기 때문. 그래도 성능 자체는 라이트로드 내에서도 강력하기에 라이트로드 덱을 짠다면 필수로 투입된다.
자주 채용되는 전략은 아니지만 일단은 데몬 카드군에도 속하기에 트릭 데몬등, 데몬 관련 서포트를 받을 수도 있다.
이름의 유래는 독일어로 흰색을 뜻하는 바이스(Weiß)로, 원래 암흑계 소속이던 스노우의 이름이 설백색(snow white)을 모티브로 한 것에서 따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로드 파이터 라이코, 일어판 명칭=トワイライトロード・ファイター ライコウ, 영어판 명칭=Ryko\, Twilightsworn Fighter,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야수족, 공격력=200, 수비력=1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카드 1장을 고르고 제외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가 어둠의 힘으로 '파이터'가 된 모습.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 리버스 시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비대상 제외하는 유발 효과. 원본인 헌터 라이코와는 달리 일반 소환에도 대응하는데다 제외이기 때문에 파괴 내성도 씹어버린다. 대신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코스트가 필요하기에 마음 놓고 쓰기는 힘들다.
②의 효과는 트와일라이트로드 공통 효과.
효과 자체는 괜찮지만 라이트로드 자체가 후공 돌파보다는 선턴 전개 양상을 띄기 때문에 아쉽게도 이 카드는 라이트로드의 덱 방향성과 맞지 않아 채용되지 않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サモナー ルミナス, 영어판 명칭=Lumina\, Lightsworn Summoner, 레벨=3,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소생하는 기동 효과. 간단하게 필드 개체 수를 늘릴 수 있으며 코스트로 버린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기에 패에 잡힌 비스트 울프나 아처 페리스를 소환하는 데 편리하다. 다만 좀비 마스터와 재정이 같기 때문에 패를 버리기 전부터 묘지에 레벨 4 이하의 라이트로드가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효과를 발동하지 못한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3장.
레벨 3이기에 4축 중심의 라이트로드와는 조금 레벨 궁합이 맞지 않는 아쉬움이 있으나 효과 자체가 고성능이라 12기 지원 이후에도 채용되는 초기 라이트로드 중 하나다. 특히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를 활용한 FTK축이라면 이 카드의 역할이 아래의 샤먼 루미나스와 함께 더욱 중요해진다.
2010년 3월에 제한에 올랐으나 2012년 3월에 준제한으로, 2013년 3월에는 무제한으로 내려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드루이드 오르크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ドルイド オルクス, 영어판 명칭=Aurkus\, Lightsworn Druid, 속성=빛, 레벨=3,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 / 묘지 / 제외 상태인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필드 / 묘지 / 제외 존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효과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는 지속 효과. 광범위 대상 지정 자체는 상당히 좋은 효과지만 대상이 되지 않는 것은 상대의 것만이 아닌 자신의 것도 포함된다. 필드뿐만 아니라 묘지와 제외에서도 대상 지정이 막혀버려 여러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오히려 자신의 플레이에 제약을 거는 꼴이 될 수도 있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2장.
상술했듯이 자기 카드에 대해서도 내성을 걸어버리기에 플레잉에 상당한 제약을 주는지라 채용 가치가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스피릿 샤이어,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スピリット シャイア, 영어판 명칭=Shire\, Lightsworn Spirit, 속성=빛, 레벨=3, 종족=천사족, 공격력=400, 수비력=1400,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종류 × 3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의 공격력을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종류 x 300 올리는 지속 효과. 이론상 최대 상승치는 26×300=7800으로 최대 공격력 8200. 상승치 자체는 그라고니스와 동일하나 기본 공격력이 낮아 그라고니스와 같은 화력은 기대하기 힘들다. 서머너 루미나스의 효과로 소환할 수 있지만 앞서 말했듯이 상승치와 기본 공격력이 낮아 작정하고 전용덱을 구축하지 않는 한 울프보다 낮은 타점으로 부활한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2장.
애초에 하급 몬스터로 비트를 실행하는 플레잉 자체가 12기 환경에서 완전히 사장된지라 채용 가치가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로드 샤먼 루미나스, 일어판 명칭=トワイライトロード・シャーマン ルミナス, 영어판 명칭=Lumina\, Twilightsworn Shaman, 레벨=3,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트와일라이트로드 샤먼 루미나스" 이외의 자신의 제외 상태인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다른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가 어둠의 힘으로 '샤먼'이 된 모습.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샤먼 루미나스 이외의 자신의 제외 존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원본인 서머너 루미나스와 달리 제외 존에서 특수 소환을 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패뿐만 아니라 묘지에서 코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서머너 루미나스와 마찬가지로 코스트로써 제외한 카드를 부활시킬 수 있지만 역시 제외 존에 다른 라이트로드가 있어야 이런 플레잉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트와일라이트로드 공통 효과.
아테나 미네르바가 출시되면서 더욱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레벨 3이라 원본과 같이 에어로 샤크 FTK축의 필수 파츠이기도 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マジシャン ライラ, 영어판 명칭=Lyla\, Lightsworn Sorceress,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200,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의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하고\, 대상 상대의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다음 자신 턴의 종료시까지 이 카드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공격 표시의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돌리고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기동 효과. 효과 발동 후 다음 자신 턴 종료시까지 플레이어에 의한 표시 형식 변경이 봉쇄된다. 과거에는 간단한 후열 제거 성능을 가진데다 수비 표시가 되어도 소재로 치워버리면 그만이었기에 하급 라이트로드 중에서도 고성능 효과에 속했으나 환경의 가속화 이후로 이 카드의 소환 자체가 귀중한 일소권이 낭비되는 꼴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특히 10기 이후로 후열 카드는 함떡 덱이나 루닉 같은 특수한 덱이 아니면 함정 카드 세트보다 자기 턴에 바로 발동할 수 있는 돌파계 카드를 주력으로 사용하며 여러 전략이 몬스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대착오적인 효과로 전락하여 채용 가치가 상실되었다.
참고로 이 효과는 턴제가 없기 때문에 강제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카드가 존재한다면 한 번 더 발동할 수 있으며, 최후 돌격명령과 같이 몬스터를 강제로 공격 표시로 고정시키는 효과와 조합하면 무한대로 상대 마법 / 함정 카드 파괴가 가능하다.[9]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3장.
여담이지만 헤어스타일과 악세사리가 유희왕 DM의 등장인물 이시즈 이슈타르와 매우 흡사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ビースト ウォルフ, 영어판 명칭=Wulf\, Lightsworn Beast, 속성=빛, 레벨=4,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아처 페리스와 함께 통상 소환이 불가능하며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강제 효과를 가진 하급 몬스터.
어떤 식으로든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바로 필드에 튀어나온다. 아처 페리스와 달리 코스트로써 묘지로 보내져도 대응하기 때문에 솔라 익스체인지 / 빛의 원군의 코스트에 의해 덤핑되어도 특수 소환이 실행된다. 라이트로드 전개의 핵심이지만 대신 패에 잡히면 그대로 말림패로 전락하므로 서머너 루미나스 / 샤먼 루미나스의 코스트로 쓰던가 데몬 바이스의 효과로 덱으로 되돌린 다음 덤핑해 특수 소환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펜듈럼 소환의 경우 효과에 의한 특수 소환이 아니기 때문에 펜듈럼 소환으로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モンク エイリン, 영어판 명칭=Ehren\, Lightsworn Monk,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한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자신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맨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원래 TCG판 파괴의 빛 추가 카드였으나, 엑스트라 팩 Volume 2에서 OCG로 건너왔다.
①의 효과는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그 몬스터를 덱 바운스하는 유발 강제 효과.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기 전에 바운스를 실행하는지라 전투 데미지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3장.
스피릿 샤이어와 마찬가지로 하급 몬스터로 비트한다는 것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효과가 되었기에 채용 가치가 없다.유희왕 5D's 리버스 오브 아르카디아에서는 전작의 라이트로드 프리스트 제니스 대신 마두귀와 태그를 짜고 듀얼리스트로 등장. 보쿠 소녀형 대사가 나온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ウォリアー ガロス, 영어판 명칭=Garoth\, Lightsworn Warrior, 속성=빛, 레벨=4, 종족=전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300, 효과1=①: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이외의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자신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만큼 자신은 드로우한다.)] 워리어 가로스 이외의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중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수만큼 드로우를 하는 유발 강제 효과를 가진 하급 몬스터.
과거에는 덤핑 타이밍의 문제로 채용 가치가 없었으나. 어쌔신 라이덴 /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 아테나 미네르바 등 능동적인 덤핑이 가능한 몬스터들이 추가되면서 채용 가치가 상승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パラディン ジェイン, 영어판 명칭=Jain\, Lightsworn Paladin, 레벨=4,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을 300 올리는 지속 효과. 혼자서 공격력 2000까지의 몬스터를 처리할 수 있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2장.
스피릿 샤이어, 몽크 에이린과 마찬가지로 하급 몬스터에 의한 비트 자체가 시대착오적인 전술이 됨에 따라 채용 가치가 없다.
'제인'이라는 이름이 여자 이름으로 많이 쓰이고 얼굴이 좀 곱상하게 생겨서 그런지 의외로 성별에 대한 논란도 있다. 또 미국 스탭이 비공식 포럼에서 남긴 코멘트에 의하면 라이트로드 카드의 이름을 번역할 때 이 카드의 이름을 남자 이름으로도 여자 이름으로도 보이게 하려고 고민했다고 한다. 일단 유희왕 태그 포스 5에서 극도의 남성 혐오증 때문에 남성형 카드를 하나도 쓰지 않는 라이트로드 유저 캐릭터 '오오바 나오미'가 당시 라이트로드 덱에선 투입되는 게 기본이였던 이 카드도 쓰지 않는 걸 보면 남자인 듯하다. 트와일라이트로드 버전은 좀더 남성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로드 제너럴 제인, 일어판 명칭=トワイライトロード・ジェネラル ジェイン, 영어판 명칭=Jain\, Twilightsworn General, 레벨=4,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200,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의 레벨 × 300 내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이 어둠의 힘으로 '제너럴'이 된 모습.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제외한 몬스터의 레벨 x 300 내리는 기동 효과. 원본과는 달리 기동 효과가 되었으며 300 이상으로 더 공격력을 낮출 수 있다. 최대 하락 수치는 아테나 미네르바를 제외했을 때의 2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로드 소서러 라일라, 일어판 명칭=トワイライトロード・ソーサラー ライラ, 영어판 명칭=Lyla\, Twilightsworn Enchantress,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200, 효과1=①: 1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가 어둠의 힘으로 '소서러'가 된 모습. 마녀 같은 모습이 되었다.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필드의 앞면 표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유발 효과. 원본과 비교하면 수비 표시로 만드는 디메리트가 발생하지 않기에 공격에 가담할 수 있지만 그 대신 코스트가 생긴데다 앞면 표시밖에 파괴할 수 없는 제약이 생겨 견제력이 떨어졌다. 그래도 효과 특성상 지속 마법 / 지속 함정에 대한 견제 정도는 가능.
②의 효과는 트와일라이트로드 공통 효과.
원본도 메타의 변화로 채용하지 않는 마당에 쓰기가 더 까다로운 이 카드의 채용 가치는 말할 것도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일어판 명칭=<ruby>光道の龍<rp>(</rp><rt>ドラグーン・オブ・ライトロード</rt><rp>)</rp></ruby>, 영어판 명칭=Lightsworn Dragonling, 레벨=4,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500, 수비력=1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이외의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공격력 3000 / 수비력 2600 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지원받은 라이트로드 몬스터. 광도의 용이라 쓰고 드래곤(드라군) 오브 라이트로드라고 읽는다.[10] 저지먼트 드래곤의 해츨링 형태를 그린 카드로, 스테이터스는 모두 저지먼트 드래곤의 절반. 저지먼트 드래곤과는 달리 라이트로드 카드군에 속하기에 라이트로드 지원을 온전히 받을 수 있다.
①의 효과는 자신 묘지에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라이트로드는 자체 효과나 빛의 원군, 솔라 익스체인지 등으로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질 가능성이 높으니 충분히 패 특소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특수 소환 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이외의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덤핑하는 유발 효과. 메인 페이즈에 능동적인 라이트로드 카드 덤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덱에서 공격력 3000 / 수비력 2600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대놓고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서치하라고 있는 효과다.[11] 아무 곳에서나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솔라 익스체인지의 패 코스트나 엑시즈 소재에서 묘지로 가도 효과가 발동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エンジェル ケルビム, 영어판 명칭=Celestia\, Lightsworn Angel, 속성=빛, 레벨=5, 종족=천사족, 공격력=2300, 수비력=200, 효과1=①:이 카드를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카드를 파괴한다.)]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 다음 상대 필드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 파괴하는 유발 효과를 지닌 상급 몬스터.
안 그래도 초동이 중요한 라이트로드에서 일소권 소모는 부담이 큰 데다 듀얼 환경이 가속화된 탓에 어드밴스 소환 자체가 특정 테마를 제외하면 사장된 상황이라 채용하지 않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드래곤 그라고니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ドラゴン グラゴニス, 영어판 명칭=Gragonith\, Lightsworn Dragon, 속성=빛, 레벨=6,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0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종류 × 3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을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종류 x 300 올리는 지속 효과.
②의 효과는 수비 표시 몬스터 공격 시 관통하는 지속 효과.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3장.
타점 자체는 훌륭하지만 라이트로드는 타점으로 돌파하는 비트 덱이 아니라 선턴에 필드를 세우는 전개 덱이기에 라이트로드의 방향성과 전혀 맞지 않고 무엇보다도 소환에 부담되는 상급 몬스터라 채용되지 않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아크 미카엘,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アーク ミカエル, 영어판 명칭=Michael\, the Arch-Lightsworn, 레벨=7,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600, 수비력=20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빛 속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1000 LP를 지불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이 카드 이외의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자신은 되돌린 수 × 300 LP 회복한다., 효과3=③: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듀얼리스트 세트 Ver. 라이트로드 저지먼트의 신규 카드이자 커버 카드. 이 세트 상품의 캐치 카피는 전신(戰神) 아크 미카엘의 일섬이 정의의 심판을 내린다!인데, 여기서 말하는 전신 아크 미카엘이 바로 이것. 라이트로드라는 이름이 붙지 않은 저지먼트 드래곤을 제외하면 라이트로드 최고의 레벨과 최고의 기본 능력치를 자랑한다. 그러나 이후 아테나 미네르바가 출시되면서 최고 레벨 수치는 2위로 내려왔다.[12]
대천사를 연상시키는 '아크 미카엘'이라는 이름과 일러스트 때문에 천사족으로 나올 것 같았지만, 아래쪽에 얼굴만 빼꼼히 내밀고 있는 저지먼트 드래곤 때문에 이름과는 딴판으로 드래곤족이 되었다. 용기사들이 흔히 그렇듯 보통 이렇게 용 위에 뭔가가 타고 있는 몬스터는 그냥 드래곤족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카드 역시 그 경우.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 1000 LP를 지불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 제외하는 기동 효과. 10기 환경 이후로 자주 남발하는 파괴 내성을 상대로 좋은 돌파력을 보여준다. 다만 대상 지정이기에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진 카드 상대로는 안 통하는 것에 주의.
②의 효과는 파괴되었을 때 이 카드를 제외한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원하는 만큼 덱으로 되돌리고 그 수 x 300 LP를 회복하는 유발 효과. 덱사 방지 및 저지먼트 드래곤의 효과 발동에 쓰인 LP 충당을 위해 넣은 효과지만 정작 이 효과 자체가 12기 시점의 라이트로드에게는 궁합이 맞지 않는 효과가 되었다는 게 문제다.
라이트로드 공통 덱 덤핑 효과 매수는 3장.
과거에는 라이트로드 정룡, 섀도르, 푸른 눈 등 다수의 덱이 투입하는 카드였고, 간단한 제거 효과를 지녔지만 현재는 이 카드보다 더 좋은 싱크로 몬스터가 많아서 채용하지 않는다.
설정상으로는 라이트로드를 수호하는 최상위급 천사로, 그 정체는 라이트로드의 창시자. 영웅들의 영혼을 불러모아 세운 조직이 라이트로드라고 한다. 실제로 라이트로드는 다른 세계에 살다가 악한 일을 감지하면 마력을 사용해서 현실세계에 실체화되어 나타난다는 설정이다.
여담으로 라이트로드의 신역의 일러스트를 보면 기도하고 있는 듯한 미네르바를 케루빔과 미카엘이 뒤에서 바라보고 있는데 둘의 크기를 보면 미카엘이 보통 큰 수준을 넘어 케루빔보다 대략 2배의 키+덩치를 가진 거구의 천사임을 알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아테나 미네르바,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アテナ ミネルバ, 영어판 명칭=Minerva\, the Athenian Lightsworn, 레벨=8, 속성=빛, 종족=천사족, 공격력=2800, 수비력=18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싱크로 소재로 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덱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같은 종족은 1장까지).,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는 효과로는 제외할 수 없다., 효과3=③: 자신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4장까지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제외한 수만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더 성장을 이룬 여신이 그려진 아이콘. 순백의 날개를 지니고, 하얀 올빼미를 거느리며, 강력한 방패를 다룬다.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설명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공개된, 라이트로드의 2번째 싱크로 몬스터. 메이덴 미네르바가 세인트 미네르바를 거쳐 완전히 성장한 모습이다. 기존에 아크 미카엘이 가지고 있던 라이트로드 최고 레벨 자리를 빼앗았지만 공수합은 4600으로 동일하다. 아크 미카엘과 같은 싱크로 몬스터가 된 것으로 보아 동격의 존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재 자체는 범용이지만 효과부터 대놓고 라이트로드와 연계하라는 의도가 보이는 만큼 라이트로드 전용 싱크로 몬스터다.
①의 효과는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소재로 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덱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덤핑하는 유발 효과로, 같은 종족은 1장까지만 덤핑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다. 이론상 최대로 덤핑할 수 있는 카드의 수는 메이덴 미네르바 + 레벨 2 / 3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씩 또는 데몬 바이스 / 아처 페리스 / 어쌔신 라이덴 + 레벨 2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으로 총 3장이지만 라이트로드는 4 + 4 싱크로의 난이도가 매우 쉽기 때문에 보통은 2장 덤핑을 하는 게 주가 될 것이다.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를 덤핑해 저지먼트 드래곤 또는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서치하거나 아처 페리스 / 비스트 울프[14] 또는 데몬 바이스를 덤핑해 추가 전개로 이어갈 수 있다. 특히 아처 페리스를 덤핑했을 경우 이 카드와 아처 페리스를 소재로 데스피아안 루루와릴리스, 붉은 용, 센츄리온 레가티아, 염참기 파이널시그마 등의 범용 레벨 12 싱크로로 이을 수 있다.
가장 좋은 활용법은 데몬 바이스와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를 덤핑해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의 효과로 저지먼트나 퍼니시먼트를 서치하고 데몬 바이스의 효과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를 소생시킨 뒤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의 효과로 비스트 울프나 아처 페리스, 혹은 아이기스를 덤핑하는 것. 추가 전개를 노리든, 퍼미션을 확보하든, 확실한 어드밴티지를 보장한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에 의한 제외를 막는 지속 효과. 대놓고 엔라이트멘트 드래곤과 연계하라고 존재하는 효과이며, 크샤트리라 같이 효과 제외가 메인인 덱이나 프리 체인 제외 효과를 가진 빙검룡 미라제이드 혹은 에스:피 리틀나이트를 바보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다.
③의 효과는 자신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4장까지 제외하고 그 수만큼 자신의 덱 위 카드를 덤핑하는 기동 효과. 능동적인 덱 덤핑이 가능한 것은 물론 제외된 라이트로드는 샤먼 루미나스로 불러들일 수 있으니 ①의 효과와 더불어 능동적인 어드밴티지 창출이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2023년 10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금지 카드가 된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의 역할을 대체한다고 볼 수 있다. 카오스 룰러와의 차별점이라면 이 카드는 소재에 따라 라이트로드 몬스터 확정 덤핑이 가능하다는 것.
최대 덤핑 능력만 놓고 보면 카오스 룰러보다도 뛰어난데, 덤핑하는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으로 메이든 미네르바를 엑시즈 소환하거나 비서스=암리타라와 일세괴를 경유해 티아라멘츠 몬스터를 서치할 경우 각각 추가 3장 덤핑이 가능하기에, 추가 전개를 이어가면 최대 7장을 덱에서 덤핑할 수 있다.
효과 자체도 출중한데다 저지먼트 드래곤의 특수 소환 조건인 묘지에 라이트로드 몬스터 4종류 이상 쌓아두기를 이 카드 하나로 바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 또한 메리트다. 이 카드의 소재로 사용된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 이상 + ①의 효과로 덤핑하는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 이상이면 묘지에 4종류 이상의 라이트로드는 금방 모인다. ③의 효과를 사용하면 퍼니시먼트 드래곤의 소환 조건까지도 충족시킬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세인트 미네르바,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セイント ミネルバ, 영어판 명칭=Minerva\, the Exalted Lightsworn, 레벨=4, 속성=빛, 종족=천사족, 공격력=2000, 수비력=800, 소재=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라이트로드" 카드가 있었을 경우\, 추가로 그 수만큼 자신은 드로우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그 중에 "라이트로드" 카드가 있었을 경우\, 추가로 그 수까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의 일본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최초의 라이트로드 엑시즈 몬스터. 한국어판은 엑스트라 팩 16에서 등장. TCG권에서는 YCS 우승상품으로 등장했다. 메이덴 미네르바가 의식(라이트로드의 신역)으로 성녀가 된 모습이다.
①의 효과는 메인 페이즈에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덤핑하는 기동 효과. 라이트로드의 대부분은 엔드 페이즈에 덤핑하여 묘지 어드밴티지를 모두 사용하기 곤란할 때가 많은데, 이 카드의 등장으로 메인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면 이득을 얻는 카드들을 메인 페이즈에도 잘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 카드로 라이트로드가 갈 경우 드로우까지 겸해주는 효과도 있다. 무작위성이 좀 강하지만 라이트로드를 주축으로 덱을 구축했다면 1장 정도는 꼭 드로우할 수 있을 것이다.
②의 효과는 전투 /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덱 위에서 3장 묘지로 보낸 후에 묘지로 보내진 라이트로드 카드만큼 필드의 카드를 비대상 파괴하는 유발 효과. 이 효과는 신의 경고나 신의 통고 등 소환이 무효화되어 파괴되어도 효과 발동이 되기 때문에 굉장히 안정적이고 때문에 이는 카드를 소환하는 것 자체에서 이미 이득을 챙길 수 있다는 말이다. 상대도 최악의 경우엔 내 필드는 3장까지 쓸려나가고 상대는 묘지에서 몬스터가 전개되는 기가 막힌 상황이 연출되기 때문에 쉽게 파괴하기 힘들어 낮은 타점에도 생존력은 높은 편이다.
효과 하나하나 라이트로드를 위한 덤핑 효과에, 라이트로드만 사용 가능한 전용 효과, 또 보편적인 랭크 4 엑시즈 몬스터인 점 등등 라이트로드의 덱 회전율에 큰 공헌을 한 카드다. 유일하게 아쉬운 점이라면 원본인 메이덴 미네르바는 레벨이 "3"이기 때문에 별도의 방법 없이는 엑시즈 소환을 못 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ドミニオン キュリオス, 영어판 명칭=Curious\, the Lightsworn Dominion, 레벨=3,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2400, link1=, link3=, link8=, 소재=같은 속성으로 종족이 다른 몬스터 3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카드 1장을 고르고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자신의 덱의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또는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출시된 라이트로드 링크 몬스터. 그러나 링크 소재가 꼭 3장의, 같은 속성으로 다른 종족을 필요로 하기에 소환이 굉장히 까탈스러운 링크 3 몬스터다. 여느 링크 3 몬스터처럼 링크 2 + 몬스터 1장으론 부를 수 없으니 주의. 다만 그런만큼 효과가 꽤 강력하다.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 시 덱에서 카드 1장을 골라 덤핑하는 유발 효과. 어리석은 매장의 상위 호환으로, 어석매는 몬스터에 한정되지만 이 카드는 마법 / 함정도 덤핑할 수 있기에 덤핑 범위가 매우 넓다. 라바르바르 체인과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가 금지먹은 지금 유일하게 남은 어석매 상위호환 덤핑 카드이기도 하다.
②의 효과는 자신 덱의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의 덱 위의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내는 유발 효과. ①의 효과와 연동이 되기에 이 카드 혼자서 4장이나 덱 덤핑을 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거나 전투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카드 1장을 샐비지하는 유발 효과. 상대 의존형이지만 대신 필드에서 벗어나기만 하면 되며 아무거나 샐비지한다는 막강한 효과 덕에 이 카드의 파괴를 망설이게 할 수 있다. 물론 바운스당하면 효과 발동이 안 되므로 바운스에는 주의.
묘지의 마법 / 함정을 세트해주는, 링크 4의 트로이메어 그리폰과 병행하여 원하는 모든 마법 / 함정 카드를 회수하는 콤보(일명 큐리폰)도 가능하기에 큐리폰 콤보의 중요한 파트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리폰이 링크 소재 제약이 널널해[15], 효과를 다 사용한 큐리오스에 아무 몬스터 하나만 있으면 바로 뽑아서, 큐리오스의 효과로 덤핑한 마법 / 함정 카드를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
전체적으로 라이트로드 덱에선 당연히 유용한 카드이고 묘지 자원을 중시하는 덱에서도 메인 덱 종족이 다르다면 채용이 가능하며 종족 통일군이라 해도 서로 종족이 다른 링크 몬스터들을 용병으로 채용하면 부를 수 있다. TCG에서 2022년 12월 1일,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를 이어 금지 카드가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레이피어,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レイピア, 영어판 명칭=Lightsworn Sabre, 효과외1="라이트로드"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7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그 자신의 몬스터에 장착한다.)] 라이트로드의 유일한 장착 마법 카드.
안 쓴다. 타점 보조로도 애매하고, ②의 효과는 "때"이기 때문에 체인 2 이상의 효과로 덤핑되었을 땐 타이밍까지 놓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의 신역,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の<ruby>神域<rp>(</rp><rt>しんいき</rt><rp>)</rp></ruby>, 영어판 명칭=Lightsworn Sanctuary, 효과1=①: 1턴에 1번\, 패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이 카드에 샤인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카드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자신 필드의 샤인 카운터를\, 파괴되는 "라이트로드" 카드 1장당 2개 제거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라이트로드 버전 죽은 자의 환생. 묘지의 라이트로드의 종류를 조정할 수 있고 패에 썩고 있는 비스트 울프, 아처 페리스 등을 처리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이 카드에 샤인 카운터를 1개 놓는 효과. 라이트로드 이외에도 덱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카드이기 때문에 솔라 익스체인지, 빛의 원군, 섬광의 일루전 등의 마법 / 함정 카드 효과는 물론이고 다른 덤핑 카드들과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카드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 자신 필드의 샤인 카운터를 파괴되는 라이트로드 카드 1장당 2개 제거하는 효과. 라이트로드에게 파괴 내성을 부여해준다.
효과 전체가 12기 시점의 라이트로드와 전혀 궁합이 맞지 않아 채용하지 않는다.
일러스트는 메이덴 미네르바가 세인트 미네르바로 각성하려는 장면으로 보인다. 아크 미카엘의 거대한 덩치가 특징.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의 심판,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の<ruby>裁<rp>(</rp><rt>さば</rt><rp>)</rp></ruby>き, 영어판 명칭=Lightsworn Judgment, 효과1=①: 이 카드를 덱 맨 위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저지먼트 드래곤" 1장을 패에 넣는다.)] 클래시 오브 리벨리온에서 발매된 라이트로드 지원용 일본 월드 프리미엄 카드. 라이트로드가 현역이던 시절부터 그렇게 원하던 저지먼트 드래곤 서치 카드다.
①의 효과는 자신을 덱 맨 위로 되돌리는 효과. ②의 효과 때문에 이 카드는 덱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에 의해 묘지로 보내져야 하기에 이런 효과가 있다.
②의 효과는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덱에서 저지먼트 드래곤 1장을 패에 넣는 효과. 무조건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야 하기에 솔라 익스체인지 / 빛의 원군 혹은 다른 덤핑 카드로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 것을 주의하자.
과거에는 저지먼트 드래곤의 서치를 용이하게 해주었으나 이 카드보다 쓰기 편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때문에 채용 가치를 상실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아이기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アイギス, 영어판 명칭=Lightsworn Aegi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하는 효과.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와 동일한데 거기에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원하는 대상을 다중으로 지정할 수 있는 강력한 퍼미션 효과다.
②의 효과는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스스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하는 효과. 이 효과 덕에 라이트로드 덱은 덤핑만 해도 퍼미션 카드를 가져올 수 있다는 높은 메리트를 지니게 되었다. 참고로 덱에서 덤핑만 되면 되기에 어리석은 부장 등의 범용 카드나 솔라 익스체인지의 효과 또는 빛의 원군 등의 카드의 코스트로 덤핑되어도 된다.
일러스트는 아테나 미네르바가 왼손의 방패로 광선을 방어하는 모습. 카드명의 아이기스는 아테나의 방패 이지스를 의미하며 일러스트에도 아테나 미네르바의 방패가 나와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라이트로드 베리어, 일어판 명칭=ライトロード・バリア, 영어판 명칭=Lightsworn Barrier, 효과1=①: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내고\, 공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덱 위에서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공격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는 지속 함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저지먼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ruby>裁きの龍<rp>(</rp><rt>ジャッジメント・ドラグー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Judgment Dragon, 레벨=8,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26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일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다른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빛이 가득한 세계로부터 온 하얀 용의 모습이 그려진 아이콘. 그 포효는 사악한 자들을 심판하여, 봉인한다.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라이트로드의 에이스. 일본에서는 '심판의 용'이라 쓰고 '저지먼트 드라군'이라 읽었으나, 사실 드라군(Dragoon)은 용이 아니라 용기병을 뜻하는지라 그냥 용밖에 안 나와있는 이 카드는 드라군보다는 드래곤이 더 맞았고, 그래서인지 TCG에서는 이름이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바뀌었으며 한국에서도 그렇게 나왔다.
통상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로, 소환 조건은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 존재할 것. 과거의 라이트로드는 능동적인 덱 덤핑 수단이 한정되어 있어 은근히 이 카드의 소환이 까다로웠으며 서치 자체도 범용 카드에 의존해야 했으나 궁합이 맞는 카드들과 라이트로드 지원이 추가된 이후로는 서치가 쉬워졌고 소환 또한 매우 간편해졌다.
①의 효과는 1000 LP를 지불하고 필드의 다른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기동 효과. 자신을 제외한 모든 카드를 날려버리는데 이 효과에는 턴 제약이 없어 필드 클린 후 상대가 파괴된 카드들의 효과로 후속을 마련한다면 다시 LP를 지불해서 또 날려버리면 그만이다.
②의 효과는 자신 엔드 페이즈에 덱 위에서 카드 4장을 묘지로 보내는 유발 강제 효과. 이 카드 자체가 라이트로드 카드군에 속하는 건 아니지만 설정상 라이트로드의 최종병기이기에 라이트로드 공통 효과를 가지고 있다. 덤핑 매수는 다른 라이트로드보다 훨씬 많다만 이 효과는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덤핑한 게 아니기에 워리어 가로스는 물론 트와일라이트로드들의 공통 효과도 적용되지 않는다.
효과도 효과지만 이 카드는 조건만 충족하면 소환이 매우 쉬운 레벨 8 몬스터이기에 레벨 9 이상 싱크로 혹은 랭크 8 엑시즈에 쓰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특히 저지먼트 드래곤 서치 수단이 늘어난 12기 시점에서는 서치ㆍ소환 난이도가 대폭 하락해서 정말 잘 튀어나온다.
정발 이전에는 루비를 읽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시기였던지라 큰 글자 부분만 그대로 읽었으며, 이때 '裁き' 부분을 '중재(仲裁)'라고 해석하여 중재의 용 혹은 중재룡이라고 줄여 부르는 경우도 있었고 아직까지도 가끔 보인다. 정발명이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결정된 후에도 당시 이 카드가 준제한 카드였다는 점 때문에 중재의 용을 비튼 준제의 용이라고 일부러 불리기도 했었다.
등장 당시부터 위력을 입증하듯 발매 이후 라이트로드 덱의 전성기를 일으켰으며, 결국 2008년 9월 1일에 준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오랫동안 이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2011년 3월 19일에 마스터 룰로 룰이 변경됨에 따라 소환 시에 제거당하면 효과를 못 쓰게 되어 확인 사살되었다. 이런 하향 여부가 반영되었는지 2011년 9월 1일자 이후로 무제한이 되었다. 동시에 제한으로 풀려난 카오스 솔저 -개벽-과 함께 라이트로드 덱 유저들에게는 꽤 반가운 소식이었다.
정룡 라이트로드가 몰락한 2015년에 새로 유행했던 크라운 블레이드 라이트로드에서는 투입률이 적었는데 랭크 4 엑시즈 몬스터가 주력인 크라운 블레이드에서는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같은 다른 피니셔도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굳이 이 카드로 원턴킬에 목숨을 걸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래도 아예 빼버리지는 않고 1~2장 쯤 넣고 운좋게 패에 잡히면 비장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
다만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 Em 데미지 저글러가 모두 금지되자 크라운 블레이드 라이트로드의 파워는 많이 약해졌으며 이클립스 와이반과 페어리테일-백설의 효과가 서로 시너지가 좋아 다시 3장 투입하게 되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퍼니시먼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ruby>戒めの龍<rp>(</rp><rt>パニッシュメント・ドラグー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Punishment Dragon,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26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제외 상태인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일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라이트로드" 몬스터 이외의\, 서로의 묘지 / 제외 상태(앞면)인 카드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빛이 가득한 세계로부터 온 검은 용의 모습이 그려진 아이콘. 그 손톱과 어금니는 사악한 자들을 징벌하여, 멸한다.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저지먼트 드래곤의 트와일라이트로드 버전. 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의 일러로 보아 둘이 같은 개체는 아니며 따로따로 존재하는 용들이다. '응징의 용'이라 쓰고 '퍼니시먼트 드라군'이라 읽는다. 해외판 및 정발판에서는 저지먼트 드래곤과 같은 이유로 퍼니시먼트 드래곤으로 개명.
저지먼트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통상 소환이 불가능하며 특정 장소에 라이트로드 몬스터 4종류 이상이 있어야만 한다는 건 같지만, 묘지를 카운트하는 저지먼트 드래곤과 달리 이 카드는 제외 존을 카운트한다. 이 때문에 저지먼트 드래곤에 비해 소환이 훨씬 까다로워 페어리테일-백설 같은 자원을 제외하는 카드의 도움을 받아야 했지만 12기 지원 이후로는 아테나 미네르바 덕에 라이트로드 자체에서도 퍼니시먼트 드래곤의 소환 조건 충족이 쉬워졌다.
①의 효과는 자신 / 상대 턴에 1번 1000 LP를 지불하고 라이트로드 몬스터 이외의 서로의 묘지 / 제외 존의 카드를 전부 덱으로 바운스하는 유발 즉시 효과. 자신은 묘지와 제외 존의 자원 회수가 가능하고, 상대는 묘지나 제외 존을 주로 활용하는 덱에 대한 카운터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인페르노이드 / 령수 / 호루스 / 스네이크아이 / 메멘토 같이 묘지 / 제외 존 의존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덱들에 대해 치명타를 안겨줄 수 있다.
하지만 역시 묘지 / 제외 존에서 덱으로 되돌린다는 것은 몇몇 덱에겐 카드를 우려먹을 수 있으니 주의. 또한 필드 / 패는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마돌체같이 묘지가 어느 정도 비어야 유리한 덱을 상대로는 단번에 끝내지 않으면 역전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다. 거기다가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나 백만먹기의 그랏톤 같은 효과로 뒷면 표시로 제외한 카드는 이 카드의 효과로 덱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에 주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자신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내는 유발 강제 효과. 저지먼트 드래곤과 달리 엔드 페이즈에 발동하는 효과가 아니게 되어 덤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저지먼트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덤핑되는 건 아니므로 주의.
매우 범용성 높은 저지먼트 드래곤과는 달리 훨씬 까다로운 소환 조건과 특정 덱에서만 메타로 작용하는 효과 덕에 채용 가치는 낮은 편에 속한다. 그래도 엔라이트멘트 드래곤의 필수 융합 소재라 만약 엔라이트멘트 드래곤을 사용할 생각이 있다면 1장 정도는 투입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엔라이트멘트 드래곤, 일어판 명칭=<ruby>神光の龍<rp>(</rp><rt>エンライトメントメント・ドラグー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Enlightenment Dragon, 레벨=10,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소재="저지먼트 드래곤" + "퍼니시먼트 드래곤", 효과외1=자신의 필드 및 묘지에서 각각 1장씩\, 상기의 카드를 제외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2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서로의 필드 / 묘지의 카드를 전부 제외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제외 상태인 "저지먼트 드래곤"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1장씩 패에 넣는다. 그 후\, 그 2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저지먼트 드래곤과 퍼니시먼트 드래곤의 융합체. 라이트로드 카드군은 아니지만 라이트로드 관련 카드들 중 처음으로 등장한 융합 몬스터이다. 빛 속성이라는 점과 ②의 효과를 고려하면 저지먼트 쪽이 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름은 신광의 용이라 쓰고 엔라이트멘트 드래곤(드라군)이라고 읽는다.
소재가 되는 저지먼트 드래곤과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필드나 묘지에서 1장씩 제외해야 하는 소환 조건으로만 불러낼 수 있다. 융합 카드를 따로 넣을 필요가 없고 이들을 에이스 카드로 둔 라이트로드 덱에서는 그 특성상 이들을 묘지로 두기가 쉬우며, 둘 다 자체 특수 소환 효과도 있어서 필드와 묘지에 모으는 것 자체는 그리 어렵지 않다. 다만 자기 자신이나 소재 모두 라이트로드 카드가 아니라서 서치도 힘들다 보니, 특수 소환을 노린다면 신경은 써둘 필요가 있다.
①의 효과는 저지먼트와 퍼니시먼트의 효과를 합친 듯한 효과로 그 둘의 LP 코스트를 합친 수치인 2000의 LP 코스트를 지불하고 자신 이외의 필드 / 묘지의 카드를 전부 제외하는 유발 즉시 효과. 전체 제외 효과를 프리 체인으로 날릴 수 있다는 호쾌한 효과로, 자신 턴에는 공격 전에 장애물을 싹 치우는 데에 쓰고, 상대 턴에는 견제용으로 쓸 수 있으니 매우 강력하다. 묘지도 동시에 제외시키므로, 상대 묘지 자원을 크게 깎아먹어서 설령 자신의 공격을 버텼다고 해도 후속을 통한 역전을 버겁게 만들어버린다. 자신의 몬스터도 말려들긴 하지만 라이트로드 아테나 미네르바가 있다면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들은 제외를 피해가므로 실컷 전개한 후 킬을 내버리기 좋다. 물론 자신의 묘지 자원도 다 날려 먹어야 하는데다 LP 코스트가 저지먼트와 퍼니시먼트의 2배라 남용하긴 힘들다.
②의 효과는 라이트로드와 저지먼트 드래곤이 가진 자신 엔드 페이즈에 덱을 덤핑하는 강제 발동 유발 효과.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하는 라이트로드 카드의 효과를 도와줄 뿐 아니라 ①의 효과로 손실된 자신의 묘지 자원도 채워준다.
③의 효과는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 제외된 저지먼트 드래곤,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패에 회수한 다음, 이들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한 번 패로 되돌리므로 소생 제한도 걸리지 않는 덕분에 소환 조건을 무시한 특수 소환이 가능해진다. 다만 파괴 한정인데다 발동 조건이 수동적이라서 상대 턴에 발동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이렇게 특수 소환된 몬스터들은 벽 역할로 쓰이고 끝나기 쉽다. 그나마 퍼니시먼트의 효과는 상대 턴에도 쓸 수 있으니 ①의 효과로 제외시킨 카드들을 덱으로 복귀시키는 데 쓸 수 있다. 자신 턴에 발동했을 경우나 상대 턴을 버텼을 경우에는 저지먼트의 효과를 써서 퍼니시먼트를 파괴시키거나 저지먼트나 퍼니시먼트 둘 중 1장을 링크 소재로 써서 묘지로 보내고 다시 같은 이름의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빛의 원군, 일어판 명칭=<ruby>光<rp>(</rp><rt>ひかり</rt><rp>)</rp></ruby>の<ruby>援軍<rp>(</rp><rt>えんぐ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Charge of the Light Brigade, 효과1=①: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덱 덤핑을 코스트로 덱에서 하급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라이트로드 버전 증원. 하급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서치하는 것에도 모자라 3장을 묘지로 보내는 강력한 효과가 무려 코스트로 달려 있다. 그 강력함에 한때 제한까지도 갔었던 카드.
당시 TCG 코나미 사원의 증언에 따르면 서치하는 마법 카드에 덤핑을 페널티로 추가했다고 한다. 링크에 달린 다른 게임의 덱처럼 어드밴티지와 디스어드밴티지 개념을 잘못 이해해서 탄생한, 라이트로드의 걸출한 서치 카드.
덱 매수가 최소 4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내는 것은 코스트라 발동이나 효과가 무효화되어도 덤핑이 가능하지만 제외 계열 카드(차원의 틈 / 매크로 코스모스 등)가 있으면 발동할 수 없다.
또한 서치보다 덤핑이 먼저 처리되므로 덤핑으로 인해 덱에 있던 모든 하급 라로가 묘지로 보내진 경우, 서치를 하지 못하고 불발된다. 이 경우, 덱을 상대에게 보여줄 의무는 없으며 대회라면 저지의 판단에 따라야 한다. (천성의 복종 문서 참고.)
엑스트라 팩 Volume 2에서 OCG판으로 등장. 레어로 등급이 내려간 덕분에 1박스 구입하면 손쉽게 3장을 구할 수 있다. 이 엑스트라 팩을 통해 한글판으로 정발되면서 한국에도 많이 풀렸고, 스트럭처 덱 드래고닉 군단에서도 복각돼 구하기 편해졌다.
일러스트에선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가 결계를 깨고 달려오고 있다. 실제로 라이트로드 덱은 아니지만 덤핑 및 용병으로 쓰이는 라이트로드(라이덴이나 라일라)를 투입하는 덱에서도 쓰인다.
영문판 이름의 유래가 재밌는데, 'Charge of the Light Brigade'란 영문명은 발라클라바 전투를 모티브로 한 알프레드 로드 테니슨의 시 제목이다. 경기병대(Light Brigade)에서 Light를 빛이라는 의미로 사용한 언어유희인 것.
듀얼링크스에서 라이트로드라는 카드군이 빛 속성 주축 테마에서 용병으로 자주 채용되어서 빛속성 범용 덤핑&서치 카드로 쓰이자 제한 3이라는 제재를 받았고 그럼에도 계속해서 쓰이자 제한 2로 상향 조치됐다. 덕분에 애꿎은 라이트로드는 서치 카드가 제한 2를 받았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솔라 익스체인지, 일어판 명칭=ソーラー・エクスチェンジ, 영어판 명칭=Solar Recharge, 효과1=①: 패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의 패 교환 카드이자 덤핑 카드. 패 교환으로 얻는 이득과 덤핑으로 얻는 이득 등 패 교환 카드 중에서는 강력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메인 페이즈에 덤핑을 할 수 있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패에 잡혀서 쓸모없는 비스트 울프나 페리스를 처리하는 데 유용하다.
이 카드의 수록 팩인 파괴의 빛이 절판된 후 이 카드 또한 구하기가 어려워져 값이 상당히 올라갔었으나, 2020년 파괴의 빛이 재판되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 일어판 명칭=<ruby>黄昏の双龍<rp>(</rp><rt>トワイライト・ツイン・ドラグー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Twilight Twin Dragons, 효과1=①: 자신 필드에 "퍼니시먼트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저지먼트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퍼니시먼트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제외한다.)] 황혼의 쌍룡이라고 쓰고, 트와일라이트 트윈 드래곤이라고 읽는다.[16]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어둠의 진군, 일어판 명칭=<ruby>闇<rp>(</rp><rt>やみ</rt><rp>)</rp></ruby>の<ruby>進軍<rp>(</rp><rt>しんぐん</rt><rp>)</rp></ruby>, 영어판 명칭=March of Darknes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그 후\, 패에 넣은 그 몬스터의 원래 레벨의 수만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제외한다.)] 빛의 원군의 트와일라이트로드 버전이다. 서치 효과인 빛의 원군과 다르게 샐비지 효과이고, 덱에서 묘지로 카드를 보내지 않고 덱에서 카드를 제외한다.
덱에서 카드를 제외한다는 큰 디메리트 때문에 라이트로드와 충돌하는 면이 있어 채용하지 않는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저스티스 월드, 일어판 명칭=ジャスティス・ワールド, 영어판 명칭=Realm of Light, 효과1=①: 자신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이 카드에 샤인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샤인 카운터의 수 × 100 올린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이 카드의 샤인 카운터를 2개 제거한다.)] 타점을 올려주는 라이트로드 전용 필드. 라이트로드들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카운터가 올라가는 개수가 덤핑하는 매수가 아닌 덤핑하는 효과마다 1개씩이라 기대하는 타점 상승은 낮다. 설상가상으로 다른 라이트로드는 지키지도 못한다. 넣는 것 자체가 패배로 가는 지름길인 카드. 이런 낮은 성능을 반영한 건지 라이트 오브 디스트럭션에서는 처참하게 박살나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 이레이저, 일어판 명칭=トワイライト・イレイザー, 영어판 명칭=Twilight Eraser, 효과1=①: 자신 필드에 같은 종족이고 카드명이 다른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같은 종족이면서 카드명이 다른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2장을 제외하는 것으로 필드의 카드 2장을 대상 지정 제외하는 효과. 발동 조건도 까다로운데다 반드시 2장을 제외해야 하기에 상대 필드의 카드 수가 1장밖에 없으면 자신 카드까지 제외해야 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패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발동이 느린 함정 카드, 라이트로드 자체에서 서치 수단 없음, ①의 효과의 단점 때문에 채용하지 않는다.
일러스트는 트와일라이트로드 샤먼 루미나스와 트와일라이트 소서러 라일라가 빛과 어둠의 광선을 발사하는 모습. 실제로 둘다 마법사족이라서 라이트로드와 트와일라이트로드 버전 모두로 재현할 수 있다. 금발의 숏컷의 마법사랑 흑발의 장발의 마법사가 나선형으로 발사되는 충격파를 쏘는 모습을 보아 프리큐어 마블 스크류의 오마주인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트와일라이트 크로스, 일어판 명칭=<ruby>黄昏の交衣<rp>(</rp><rt>トワイライト・クロ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Twilight Cloth,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골라 제외하고\,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의 수 × 2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황혼의 교의라 쓰고 트와일라이트 크로스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의 공격력 /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수 x 200 올리는 효과.
②의 효과는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묘지로 보내진 턴 한정으로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에게 전투 /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발동이 느린 함정 카드인 것은 물론 능동적인 묘지의 라이트로드 제외는 아테나 미네르바나 백설이 충분히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채용 가치가 없다.
일러스트는 트와일라이트로드의 무구들과 로브가 진열된 무기고. 카드로 나온 트와일라이트로드 4인의 무구 외에도 신원 미상의 트와일라이트로드의 로브가 6벌이 더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라이트 리사일렌스, 일어판 명칭=ライト・リサイレンス, 영어판 명칭=Light Spiral,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효과로 자신의 덱에서 카드가 묘지로 보내질 때마다 발동한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 제외한다.)] "때마다"이기 때문에 라이트로드 몬스터 장수 비례로 제외를 한다. 매수 비례가 아니라 아쉬운 카드. 이 카드로 상대의 덱을 깎는 속도보다 자신의 덱이 깎이는 속도가 더 빠르다. 이런 어중간한 덱 파괴 카드를 넣는 것보다 다른 카드를 넣는 게 더 실용적이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섬광의 일루전, 일어판 명칭=<ruby>閃光<rp>(</rp><rt>せんこう</rt><rp>)</rp></ruby>のイリュージョン, 영어판 명칭=Glorious Illusion,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라이트로드 버전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루미나스가 제한이고 리빙 데드도 제한일 적에는 그라고니스를 살려 공격해 들어가는 등 그럭저럭 써볼만했지만, 이제 저 두 카드는 모두 무제한 카드인지라 이 카드도 수많은 리빙 데드 하위호환들처럼 거의 쓸 일이 없어지고 말았다. 리빙 데드와는 달리 덱을 갈아내는 부가효과가 있다곤 하나 이 점은 살려낸 몬스를 자신의 엔드 페이즈 때까지 유지했을 때의 얘기이기 때문에 소생 이후 바로 링크 / 엑시즈 / 싱크로 소환으로 잇는 요즘 듀얼 환경에서는 대단치 않은 효과.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카운터=, 한글판 명칭=라이트 배니시, 일어판 명칭=ライト・バニッシュ, 영어판 명칭=Vanquishing Light, 효과1=①: 자신이나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시기에\,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것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TCG판 파괴의 빛 추가 카드였지만, 이게 정말 슈퍼 레어로 나온 TCG 추가 카드가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낮은 성능을 자랑한다. 얼핏 보면 별 문제가 없어보일지 모르지만 이 카드는 승천의 뿔피리의 완전한 하위 호환이기 때문이다. "라이트로드"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것도 아니고, 뭔가 특별한 서포트를 받는 것도 아닌 주제에 효과는 승천의 뿔피리와 완전히 똑같고 릴리스하는 몬스터만 제한되어 있다.
승천의 뿔피리보다 우선해서 넣는 건 의미 없으며 라이트로드에서는 4장째 승천의 뿔피리로 사용가능하겠지만 보통 몬스터를 희생하지 않아도 되는 신의 심판, 신의 경고 등을 병용하기 때문에 굳이 이 카드를 채용할 이유는 없다.
한 가지 의의를 찾자면 일러스트에서 케루빔의 무기가 어떻게 생겼는지 볼 수 있다는 것 정도.
라이트로드는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을 기점으로 플레이 스타일이 크게 바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전에는 메인 페이즈 덤핑이 가능한 카드의 수가 너무 적어 다른 능동적인 덤핑이 가능한 카드들을 투입하고 라이트로드는 극소수만 투입되었다면,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후로는 라이트로드 카드로도 자체적인 메인 페이즈 덤핑이 가능해졌다 보니 순수 40축 라이트로드를 구축해도 될 만큼 덤핑 안정성과 전개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해당 목차는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후의 라이트로드와 궁합이 맞는 카드들을 소개하며, 이전의 궁합이 맞는 카드들은 별도로 분리하여 표기한다.
페어리테일-백설 과거든 현재든 라이트로드와 매우 궁합이 잘 맞는 카드.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후의 라이트로드의 특성상 덱에서 카드를 덤핑할 일이 많아졌기 때문에 묘지 자원이 매우 풍부하여 백설의 특수 소환 효과 발동 조건은 금방 충족된다. 서치를 하지 않더라도 백설은 패 / 묘지에서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라이트로드의 효과로 덤핑된다면 오히려 어드밴티지를 벌어들이는 격이 된다. 레벨 4 몬스터라 레벨 8 싱크로 및 랭크 4 엑시즈에 용이하다는 점, 달의 서 효과를 내장한 덕에 상대 턴에 견제가 가능하다는 점 등, 라이트로드와 궁합이 맞는 요소는 차고 넘친다.
한편,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소환해 신규 에이스 몬스터인 엔라인트먼트 드래곤을 소환해기 위해선 라이트로드 카드 4종류가 제외되어 있어야 하는데, 아테나 미네르바의 효과로 제외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나, 아테나 미네르바를 소환하지 못하거나 4종류를 제외하지 못하는 경우 백설로 라이트로드 카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퍼니시먼트 드래곤의 소환 조건을 충족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와의 콤보를 이용한 원턴킬 루트도 발견되었다. 백설로 카드를 잔뜩 제외해놓고 2종류의 루미나스로 서로를 소생시켜서 에어로 샤크를 필드 위에 여러 번 띄워서 원턴킬을 내는 방식.
호루스 왕의 관의 효과로 패에 잡힌 말림패들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라이트로드의 덤핑 덕에 묘지에 호루스 몬스터를 쌓아두기 쉬운 덕에 전개가 매우 수월하다. 특히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출신 호루스 몬스터들은 전원 레벨 8이기 때문에 랭크 8 엑시즈 몬스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레벨 12 싱크로가 한층 수월해지는 장점도 존재한다. 다만, 호루스 몬스터의 룰 특소 효과를 발동하려면 왕의 관이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만약 덤핑 중 왕의 관이나 임세티가 전부 묘지로 보내진다면 상당히 곤란해진다.
비스테드 썬더 드래곤과 마찬가지로 테마 자체에서도 비스테드의 특수 소환 효과를 활용할 방법은 많기 때문에 상대 견제뿐만 아니라 전개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알베르 / 루벨리온 / 알버 로스를 제외한 메인 덱 비스테드 몬스터들은 전원 레벨 6이기 때문에 레벨 4 튜너와 조합해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 플뢰르 드 바로네스, 상검대공-승영,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과 같은 레벨 10 싱크로 몬스터를 활용할 수 있고, 여차하면 상급 비스테드 혹은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루벨리온의 소환 코스트로 삼아 낙인의 야수, 낙인의 에튀드 등 상대 견제에 용이한 카드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좀비 캐리어, 그로우업 벌브, 제트 싱크론, 레볼루션 싱크론,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 상기된 카드들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체 효과로 부활이 가능한 튜너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좀비 캐리어의 경우 패에 잡힌 비스트 울프나 아처 페리스를 덱 맨 위로 되돌려 덤핑을 통해 추가 어드밴티지를 노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외에도 그로우업 벌브와 레볼루션 싱크론은 라이트로드 특유의 기믹을 돌리기 위한 덱 덤핑을 도와주며, 제트 싱크론은 말림패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데스트루도는 레벨 조정 효과 덕에 레벨 7 싱크로가 가능해진다.
휘광룡 세이퍼트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가 덱에서의 저지먼트 드래곤 / 퍼니시먼트 드래곤 서치를 담당한다면 이 카드는 묘지에서의 회수를 담당한다. 여차하면 레벨 4이기 때문에 레벨 8 싱크로에 활용할 수도 있다. 만약 묘지에 라이트로드가 있다면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를 서치해서 전개를 시작할 수도 있다.
숙신상 켈도, 검신관 무도라 비스트 울프와 아처 페리스를 덱으로 되돌려 다시금 덤핑시킴으로써 추가 전개를 노리거나 상대 묘지를 견제할 수 있으며 쌍으로 패에 잡혔을 경우에는 효과로 한 쪽을 버리고 특수 소환을 함으로써 전개에 기여할 수도 있다. 마침 켈도와 무도라 둘 다 레벨 4다.
Em 트릭 크라운 4축의 친구이자 백설과 마찬가지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라이트로드와 궁합이 잘 맞는 카드. 어찌됐든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후 능동적인 덤핑 수단이 크게 늘어난 라이트로드는 트릭 크라운 운용이 한층 수월해졌다.
무사신제-카구츠치 야수전사족 2장이라는 엑시즈 조합 조건이 있긴하지만, 비스트 울프와 아처 페리스로 조합하면 그만이고, 소환 성공시 5장 덤핑이 약한 효과가 아니라서 초동 전개시에 사용된다. 빛 속성이기에 이후 전개에서 큐리오스로 바꿔먹는 등의 전개로 이으면 된다.
액셀 싱크론 그로우업 벌브 / 제트 싱크론 / 레볼루션 싱크론을 채용할 경우 고려할 수 있는 카드. 그로우업 벌브 or 제트 싱크론 + 레벨 4 라이트로드로 액셀 싱크론을 소환한 뒤 제트 싱크론 or 레볼루션 싱크론을 덤핑하는 것으로 개체 수 늘리기 및 고레벨 싱크로가 수월해진다. 대신 엑스트라 덱이 비좁아지고 말림패가 늘어나므로 취향의 영역이다.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레벨 8 싱크로의 꽃. 전개력이 향상된 라이트로드는 레벨 8 싱크로가 쉬워진 것은 물론 이전보다 도미니온 큐리오스를 잘 활용할 수 있어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공격력 4200 + 최대 3회 퍼미션을 가진 새비지는 상대에게 상당한 압박이다.
티아라멘츠 + 비서스=암리타라 2023년 10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이후 티아라멘츠와의 조합이 연구되긴 했었지만 한계점이 명확해서 금방 사장되었다가 신지원이 나오면서 평가가 상승한 케이스. 라이트로드 자체가 트와일라이트로드를 제외하면 전원 빛 속성이기 때문에 암리타라의 소환 조건을 가볍게 충족한다. 신지원 덕에 레벨 8 싱크로 난이도가 크게 낮아졌다 보니 암리타라를 쉽게 소환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암리타라로 일세괴를 가져와 티아라멘츠와 연결할 수 있다. 특히 레벨 4 + 말림패 처리 + 덤핑이라는, 라이트로드와 환상의 짝궁이라 할 수 있는 셰이렌의 존재 덕에 서로 간 기믹 돌리기가 수월한 것도 장점.
대신 라이트로드의 주요 서치 카드 중 하나인 빛의 원군의 덤핑은 코스트이기 때문에 빛의 원군으로 티아라멘츠가 갈려나간다면 골치 아파진다. 이 외에도 메인 덱 티아라멘츠 몬스터가 전원 제한이라 융합 소재 관리 문제로 난이도가 높다는 점, 메이루와 허프니스가 패에 잡히면 패말림 요소가 된다는 점 등 안정성을 해치는 요소도 존재한다.
고대 요정 드래곤 + 마나둠 암리타라는 몬스터 존에 존재할 경우 카드명을 비서스=스타프로스트로 취급하는 지속 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리움하트를 제외한 메인 덱 마나둠 몬스터와 연계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고대 요정 드래곤[17]으로 일세괴를 파괴한 후 오세괴를 서치, 서치한 오세괴를 발동해 미크나 토리드를 서치한 다음 룰 효과로 특수 소환해 전개를 보조할 수 있다.
암리타라의 ③의 효과로 파괴한 미크나 토리드의 효과를 발동해 다른 마나둠을 꺼내옴과 동시에 파괴된 마나둠은 칼라리움의 효과로 건져올리는 식. 특히 미크는 물 속성 튜너이기 때문에 히스이테이 에지르 규미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도 존재한다. 물론 이럴 경우 메인 덱이 더욱 무거워지고 엑스트라 덱도 상당히 비좁아지며 말림패 또한 늘어나는 디메리트를 안기 때문에 고점과 안정성 중 어느 쪽을 중시하는지에 따라 채용 여부가 갈린다.
레벨 12 싱크로 몬스터
붉은 용 +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or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or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아테나 미네르바 + 아처 페리스 or 어쌔신 라이덴 or 데몬 바이스를 소재로 붉은 용을 바로 뽑을 수 있으며, 저지먼트 드래곤과 퍼니시먼트 드래곤의 서치 및 소환 조건 충족이 매우 쉬워졌기 때문에 붉은 용 소환 후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퍼니시먼트 드래곤을 소환하고 레벨 4 튜너로 아무 레벨 12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한 다음 쉬프르 or 코즈믹 or 슈퍼노바를 바로 불러내는 전술이 가능해졌다. 여차하면 저지먼트 드래곤이나 퍼니시먼트 드래곤 대신 호루스를 써도 된다.
셋 다 용도가 다른데, 쉬프르는 미네르바로는 보호 못 하는 파괴 효과에 대한 내성과 몬스터 효과 퍼미션, 코즈믹은 1턴 1회 마법 / 함정 / 몬스터 효과 / 소환 퍼미션, 슈퍼노바는 상대 필드 견제 및 깡타점을 통한 비트 역할이다. 상황에 따라 셋 중 하나를 골라서 쓰면 된다.
이전에는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를 상대 턴에 소환하는 것이 가장 최상의 플랜이었으나 2024년 1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으로 캘러미티가 금지되어 불가능해졌다.
데스피아안 루루와릴리스 루루와릴리스는 소재로 쓸 튜너가 레벨 4로 제한되어 있는데, 라이트로드에서 주력으로 활용하는 아처 페리스 / 어쌔신 라이덴 / 데몬 바이스의 레벨이 4이고 아테나 미네르바를 소환했거나 호루스를 채용할 경우 4 + 8 싱크로를 금방 충족할 수 있다. 유언 효과로 서머너 루미나스를 불러올 수 있는 것 또한 이점.
데먼스미스 데몬 바이스가 악마족 / 빛 속성이기 때문에 데먼스미스 트락투스로 서치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원 핸드 + 바이스 효과 코스트로 덱 위에 올라갈 라이트로드 1장이면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손쉽게 뽑을 수 있다.[18] 굳이 바로네스뿐만 아니더라도 레벨 4 튜너가 필드에 나올 일이 많은 라이트로드 특성상 특소가 쉬운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를 사용하면 고성능 레벨 10싱크로 몬스터를 쉽게 뽑아낼 수 있으며, 데먼스미스가 원 핸드로 레벨 6 몬스터 2장을 전개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해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나 필그림리퍼를 엑시즈 소환하여 추가 덤핑을 하는 식으로 라이트로드의 기믹을 돌리는 활용도 가능하다.
===#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이전 #===
모든 라이트로드 계열
The blazing MARS : 백설과 비슷한 효과를 가진 자체 특소 효과를 가진 몹. 묘지 뿐 아니라 패에서도 묘지 자원을 3장만 제외하지만 몬스터 한정인데다가 특소 불가 디메리트, 달의 서 효과도 없어서 백설보다 좋은점은 타점과 패에서도 특소 가능한점 밖에 없어 거의 투입 하지 않는다.
라도리트랩 : 2번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갈 경우 묘지의 카드 1장을 서치한다. 묘지의 카드라면 몬스터, 마법, 함정 구분없이 아무거나 1장 서치하기 때문에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이클립스 와이반의 금제로 패에 잡기 어려워진 저지먼트 드래곤도 간단히 서치할 수 있다. 만일 패에 잡히더라도 지속함정으로서 몬스터를 일반, 특수소환할 때마다 카드를 1장씩 묘지로 보내버릴 수 있다. 1턴에 1번 제약이 없다.
포톤 스래셔 : 빛속성, 레벨4에 일반소환권을 쓰지 않고 4축 엑시즈 소재를 조달할 수 있다. 또한 전사족으로 쉽게 서치가 가능하다.
빛의 정령 디아나 : 빛 속성 몬스터를 묘지로 쌓을 일이 많을 라이트로드가 선택 가능한 선택지 중 하나. 백설보다는 파워가 떨어지지만, 그래도 특수 소환이 간편하기에 공격력이 약간 모자란 포톤 스래셔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환수 : 묘지로 간 소환사 알레이스터와 소환마술을 백설을 투입하는 것으로 다시 회수 가능하다. 자주 사용하는 소환수 몬스터가 빛속성 메르카바임을 생각하면 라이트로드와도 호궁합.
어니스트 : 가끔 타점으로만 상황을 돌파할 수 있을 때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준다. 또한 레벨 4임을 이용하여 정말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엑시즈 소재로 사용가능하다.
초전자 터틀 : 듀얼 중 1번이지만 배틀페이즈를 스킵하여 내 필드를 지킬 수 있는 강력한 카드. 몬스터가 1장이라도 살아남아 다음 턴에 엑시즈나 싱크로로 잇는 것이 중요해졌기에 1장 정도 투입하면 좋다.
어리석은 매장 : 덱 덤핑의 정석. 이 카드를 이용해서 백설, Em 트릭 크라운, 비스트 울프를 덤핑하여 바로 어드밴티지를 챙길 수 있다.
스킬 석세서, 스킬 프리즈너, 브레이크스루 스킬, 갤럭시 싸이크론 : 묘지에서 발동이 가능한 마법, 함정류는 묘지에 가더라도 활용 불가능한 여타 마법, 함정과 다르다. 패에 잡히면 패에 잡히는대로 발동 가능하며 묘지에서 발동하여 상대의 여러 빌드를 돌파할 수도 있다.
증원 : 뭔가 애매하게 덱 스페이스가 1자리 남는다면 넣어서 손해볼 카드는 아니다. 1장 정도 투입하는 가로스를 한번에 서치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덱갈이나 싱크로가 필요할 경우에 라이덴을 서치할 수 있다. 서치할 카드와 그 선택지가 많아진다는 것은 절대 손해가 아니다.
메탈포제 퓨전 : 덱에서 갈리면 덱으로 넣고 1장 드로우 시켜주는 카드이다. 1장 정도는 투입해줘도 무난하니, 아드나 패소모 카드 코스트로 써보도록 하자.
페로페로케로페로스 : 전투나 효과대미지를 트리거로 상대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묘지에 있다면 상대의 공격을 조금 늦출 수 있다.
허공해룡 리바이엘 : 제외된 몬스터 1장을 특수소환하는 심플한 효과. 효과를 모두 사용한 루미나스 2장으로 간편하게 소환이 가능하다. 백설의 효과로 제외된 몬스터를 회수하여 엑시즈나 싱크로 소재로 충당할 수 있다.
이웃집 잔디깎기 : 60장 헤비덱의 필수 카드. 잔디깎기. 메인페이즈에 20장. 후공을 잡고 상대가 욕탐이라도 발동했다면 30장 넘게 덤핑할 수 있는 파워카드이다. 물론 60장 중에서 이 카드 2장중 하나라도 잡는 건 힘들기에 왼팔의 대가 또한 투입하는 일이 잦다.
동포의 연 : 라이트로드의 모든 속성이 빛속성이며 의외로 공유하는 종족들이 많아서 못 쓸 정도는 아니다. 특히 전사족을 지정한다면 가로스와 라이덴을 꼭 소환하여 메인페이즈에 덤핑 및 드로우를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선턴에 잡히지 못하면 점점 위력이 내려가니 3장을 투입한다면 3장, 아니면 비투입을 추천한다.
궁극 시계신 세피론 : 라이트로드덱 속에선 진짜 원작재현 재대로 해줄수있는 몬스터이다. 일단 소환조건인 묘지의 몬스터수 10장이상이 라이트로드 덱에서는 매우 쉽게 충족되므로 한 턴 안에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세피론은 묘지에서의 특소가 불가능하므로 죽은 자의 환생이 필수이다.
십이수 라이트로드 계열
무사신제-카구츠키, 무사신희-아마테라스 : 야수전사족 2장으로 5장을 덤핑할 수 있는 카구츠키와 십이수-불혼의 연계로 소환가능한 아마테라스도 넣으면 괜찮다. 아마테라스는 자신의 턴에는 제외된 몬스터를 특수소환하며, 상대 턴에는 제외된 몬스터를 패로 가져올 수 있다. 백설로 인해 제외존으로 아쉽게 보내진 몬스터들을 재활용 할 수 있고 이 효과로 인해 제외된 패트랩(어니스트, 증식의 G)등을 상대 턴에 패로 회수해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EM 킹 베어 : 패나 묘지에 무사신 히루코가 있어서 불혼으로 서치할 카드가 마땅하지 않을 경우 묘지의 저지먼트를 회수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카오스 라이트로드 계열
카오스 솔저 -개벽-,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카오스 소서러 : 어둠속성을 투입한 라이트로드 계열에 투입가능 지원 카드군으로 어둠속성의 트와일라이트로드가 생겨 이제 라이트로드만으로 광암을 짤수 있다. 카오스 몬스터들과 라이트로드의 시너지는 라이트로드가 데뷔하면서부터 이미 입증되었다. 언데드, 소환수 등 다양한 기믹에서 활약할 수 있다. 현재는 개벽만 자주 사용.
휘백룡 와이버스터, 암흑룡 코라프서펜트 : 서로서로 서치가 가능하며 4축 엑시즈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암흑룡 코라프서펜트는 이클립스 와이반을 제외할 수 있다.
어둠의 정령 루나 : 휘백룡과 암흑룡처럼 서로를 불러들이는 능력은 없지만, 디아나처럼 간단하게 소환 가능한 레벨 4 몬스터라는 부분은 큰 장점이다. 휘백룡, 암흑룡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부분이라면 저 둘은 자신과 반대되는 속성의 몬스터를 제외해야 하고 1턴에 1번씩만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지만, 디아나와 루나는 자신과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소환한다는 것과 1턴에 1번 제약이 없다는 것이다. 위의 두 드래곤들을 3장씩 채우고도 모자라다고 생각된다면 4장째로 채용한다는 기분으로 사용하자.
혼원룡 레비오니아 : 소환시 묘지 소생/핸드 데스 1장/필드 2장 파괴를 선택할 수 있는 카드로 라이트로드가 저지먼트 드래곤 이외에 선택 가능한 승리 플랜 중 하나.
브릴리언트 퓨전 라이트로드 계열
브릴리언트 퓨전 : 빛속성 한정 어리석은 매장같이 사용할 수 있다. 라이트로드에 필요한 몬스터 카드들 중 빛속성이 많기에 빛속성 한정이지만 충분히 제 값을 하는 카드. 또한 세라피가 나온 후 메이덴으로 8레벨 싱크로도 가능하며 일반소환권 1개가 추가된다는 점은 충분히 매력적.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달링 코브라, 론 파이어 블로섬 : 악명높은 식물 링크의 소스들로, 브릴퓨 서치 및 겸사겸사 링크 전개도 할 겸 해서 채용하는 구성도 있었다. 18년 4월 금제로 오프리스와 론파가 제한이 되고부터 애매해졌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트와일라이트로드|트와일라이트로드]]}}}{{{#!if external != "o"
[[트와일라이트로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트와일라이트로드?uuid=4da9293c-d14c-4cd2-9fb7-0974fd6c2ec2|r10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트와일라이트로드?uuid=4da9293c-d14c-4cd2-9fb7-0974fd6c2ec2#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트와일라이트로드?from=104|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당시는 데스칼리버 나이트, 번개왕 등의 1900 공격 라인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던 카드들이었다.[2] 당장 선공에서 덤핑이 제대로 안되면 서렌이었고 후공에서도 일반 소환한 몬스터가 제거되면 서렌이었다. 그리고 이 모든것을 모두 불확실한 덤핑에 걸어야했다.[3] 둘 다 섞은 구성 또한 보이며 유저들마다 덱의 장수도 다르게 구축하고 있다. 개인마다 덱의 구성이나 운영이 다르니 취향에 따라 달리지는 부분.[4] 요즘 나온 테마의 묘지덤핑은 원하는 카드를 골라서 덤핑하니 이점에서 라이트로드는 오히려 하위호환이다.[5] 절망이나 카나디아 맞고 누워있는 경우가 제일 많다.[6] 첫패에 루미나스나 원군이 안들어오면 초동이 망한다.[7] 점프 페스타 2025에서 공개된 성우 우치다 유우마의 낭독 버전.[8] 이 옷들은 평소에는 저스티스 월드의 심층부에 있는 보물고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9] 필드의 몬스터 1장이 이 턴에 공격 표시에서 수비 표시로 변경될 때마다 1장 드로우를 할 수 있는 가드 페널티를 쓰면 상대 마함의 수만큼 드로우까지 가능할 것처럼 보이지만, 안타깝게도 코나미가 이런 연계를 우려했는지 OCG에서는 따로 재정으로 이 효과로 2장 이상 드로우할 수 없게 막아놓았다.[10] 광도(光道)는 라이트(光) 로드(道)로 읽을 수 있다.[11] 실제로 12기 기준 서치 가능한 카드도 저 2장밖에 없다.[12] 공수합은 4600으로 서로 동일하다.[13] 출시 당시에도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로 소개 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와 처리 방식이 달랐고 이후 추가된 프리즈마 시크릿 레어와 동일한 처리 방식과 똑같다.[14] 아쉽게도 이 둘은 야수전사족이라 동시에 덤핑할 수 없다. 물론 같은 종족을 동시에 덤핑하는 게 가능했다면 아처 페리스와 비스트 울프 둘을 덤핑해 랭크 4 엑시즈 몬스터 / 레벨 8 싱크로 몬스터 / 링크 2 이상 몬스터가 매우 쉽게 튀어나왔을 테니 이를 막기 위해 제한을 건 것으로 보인다.[15]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이다. 물론 소재 제약이 무겁고 효과에 명칭 제약이 달린 큐리오스를 2장이나 뽑을 덱은 없기 때문에 별로 상관없는 제약이다.[16] 원문은 '드라군'이지만, 저지먼트 드래곤도 원래는 '저지먼트 드라군'인데 드라군이 드래곤으로 번역되었다.[17] 고대 요정 드래곤은 서머너 루미나스 or 샤먼 루미나스 + 레벨 4 튜너나 데스트루도 + 아무 레벨 6 이하 비튜너 몬스터로 불러낼 수 있다.[18] 루트는 다음과 같다.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효과로 트락투스를 서치한 후 발동하여 바이스 서치 → 바이스 효과를 사용하여 특수 소환 → 바이스를 소재로 레퀴엠을 링크 소환 → 레퀴엠의 효과로 덱에서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특수 소환 → 묘지의 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 효과로 레퀴엠을 되돌리고 소생 → 데먼스미스 둘 소재로 세퀜티아 링크 소환 → 세퀜티아의 효과로 라크리모사를 융합 소환 → 라크리모사의 효과로 묘지의 바이스를 소생 → 바이스 + 라크리모사(4 + 6)로 바로네스 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