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2. 설명
2.1. 원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랑에 빠진 소녀,
일어판명칭=<ruby>恋<rp>(</rp><rt>こい</rt><rp>)</rp></ruby>する<ruby>乙女<rp>(</rp><rt>おとめ</rt><rp>)</rp></ruby>,
영어판명칭=Maiden in Love,
속성=빛,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3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는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한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를 공격한 몬스터에 소녀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20화에서 사오토메 레이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성우는
첫 턴 부터 소환하여 턴을 마치자 쥬다이는 바로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을 소환하여 이 카드를 공격해서 전투 데미지를 받지만, 자신의 효과로 파괴는 면할 수 있었다.
문제는 소녀 카운터가 놓이면서부터인데, 여기서부터 쥬다이와 시청자들의 손발을 오그라들게 하는 연출이 시작되었다. 정령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쥬다이의 눈에는 페더맨과 사랑에 빠진 소녀가 연애 플래그가 서게 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후 효과대로 페더맨에게 소녀 카운터가 놓이게 되고, 다음 턴에 레이가 큐피트의 키스를 장착한 뒤 다시 공격하여 페더맨의 컨트롤을 뺏어온다. 이후, 콩깍지가 씌인 페더맨은 쥬다이를 배신하고 다이렉트 어택을 날리고, 레이는 카드를 1장 세트하고 턴을 종료한다.
어이가 털려버린 쥬다이는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을 소환하여 페더맨을 파괴하려 하지만, 레이가 발동한 디펜스 메이든에 의해 또다시 사랑에 빠진 소녀를 공격하게 되고, 결국 스파크맨이 사랑에 빠진 소녀에게 반해버리게 된다. 이 때의 연출이 심히 골때리는데 고통스러워하는 소녀를 페더맨이 받아주고 스파크맨에게 "히어로가 연약한 소녀를 공격하다니 제정신이냐!"라고 일침을 날리고 스파크맨이 이에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다음 턴에 레이는 사랑에 빠진 소녀에게 행복한 결혼을 발동하여 스파크맨을 공격하는데 받는 데 드는 데미지를 줄이고, 결국 스파크맨마저 컨트롤을 빼앗기고 만다. 이윽고 스파크맨이 쥬다이를 공격하고, 여기에 페더맨의 공격까지 받아 쥬다이의 라이프는 간당간당한 상태가 되어버린다.
역으로 당해버린 쥬다이는 뭔가 깨달은 듯 여자애한테는 여자로 상대해야 해야겠다며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를 소환하고, 그 뒤에 버스트 리턴을 발동하여 컨트롤을 빼앗긴 히어로들을 다시 정신차리게 해 패로 되돌리게 된다. 여기에서 히어로의 본분을 잊고 사랑에 빠져 헬렐레하고 있던 히어로들에게 일침을 날린 버스트 레이디의 살벌한 카리스마가 잘 드러난다. 스파크맨과 페더맨이 일침을 들은 후 팍 쫄아서 버스트 레이디 쪽으로 돌아오는 것이 일품. 이후 정석대로 페더맨과 버스트 레이디를 융합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을 소환한 뒤 피니시를 날려 쥬다이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사실 이 카드의 효과인 소녀 카운터를 놓는 대상 자체는 정해져있지 않다. 애초에 성별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룰이 정립되지 않은 DM 초기나 코믹스판 한정 No.22 프랑켄만의 전유물이라... 즉, 버스트 레이디가 그대로 공격을 했더라면 마찬가지로 버스트 레이디마저도 레이에게 컨트롤을 빼앗겼을지도...
소녀 카운터 효과 이외의 스테이터스 자체는 불행한 걸과 거의 유사하다.
공격명은 '일편단심(一途な想い)'.
2.2. 유희왕 태그 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랑에 빠진 소녀,
일어판명칭=<ruby>恋<rp>(</rp><rt>こい</rt><rp>)</rp></ruby>する<ruby>乙女<rp>(</rp><rt>おとめ</rt><rp>)</rp></ruby>,
영어판명칭=Maiden in Love,
속성=빛,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3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는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한\, 전투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를 공격한 몬스터에게 소녀 카운터를 1개 얹는다.)]
TAG FORCE 1에서부터 등장.
원작 성능을 그대로 들고 나왔으나, 문제는 이 콤보를 이용하는 데 들 전투 데미지가 만만치 않다. 원작에서는 공격했던 몬스터들이 하나같이 공격력이 낮아서 망정이지, 평소 잘 쓰이는 하급 어태커들의 공격력이 최소 1900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맨몸으로 효과를 이용할 때마다 최소 1500포인트 데미지를 깎고 시작해야 한다. 다른 카드로 전투 데미지를 완화하지 않는 한 답이 안 나올 상황. 만약에 선턴부터 거대화나 리미터 해제등으로 공격력을 잔뜩 불려 공격을 해온다면 효과를 써보기도 전에 발리는 상황이 생겨버린다. 콤보를 써보고 싶을 경우 홀리 라이프 베리어등과 병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전투로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몬스터가 있으면 전투 대미지를 0으로 하는 스피릿 베리어와도 호궁합이라고 할 수 있다.
공격을 받았을 시에만 효과가 발동하기 때문에 상대가 공격을 안한다거나 툰 카드군 같은 직공 전문 덱에게는 취약해지는데 직접 공격은 몬스터 간의 전투에만 발동하는 디펜스 메이든으로도 못막기 때문에 전투 데미지만 받다가 끝나는 경우도 생긴다. 공작열차 시그널 레드 같은 카드들을 넣으면 어떻게는 쓸 수 있을지도...
즉, 효과를 잘만 이용하면 살을 주고 뼈를 뽑아갈 수 있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덱.
2019년 12월 중순에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관련 카드들과 함께 사오토메 레이 출현 이벤트로 해금되었다. 물론 레이의 에이스 몬스터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용시 전용 컷인이 마련되어 있다.
2.3.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랑에 빠진 소녀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恋<rp>(</rp><rt>こい</rt><rp>)</rp></ruby>する<ruby>乙女<rp>(</rp><rt>おとめ</rt><rp>)</rp></ruby>,
영어판 명칭=Maiden in Lov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2,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400, 수비력=3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이하의 효과 중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4=●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에게 소녀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5=●소녀 카운터가 놓여 있는 상대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리미티드 팩 GX -오시리스 레드-에서 OCG화 되었다. 원작에서 사용했던 행복한 결혼을 제외한 서포트 카드[2]의 효과가 모두 1장으로 통합되었다. 원작과 달리 이 카드로 공격해도 카운터를 놓을 수 있으며, 전투 데미지를 받지 않아도 컨트롤을 탈취할 수 있는 등 나름대로 상향을 받았다.
잘만 하면 ①의 효과로 전투를 강제해서 ②의 효과로 전투 파괴를 막고 ③의 효과를 발동해서 몬스터를 하나씩 뺏어올 수 있다. ③의 효과를 2회 이상 발동할 수만 있다면 영구적인 컨트롤 탈취가 가능하므로 성공값은 나름 큰 편. 그러나 전투 말고 다른 내성은 없으므로 이 카드 하나 필드에 달랑 남겨놓는다고 상대가 뜻대로 넘어가줄 것이란 생각은 버리는 것이 좋다.
따라서 웬만하면 자신이 공격해서 ③의 효과를 격발시킬 필요가 있다. 최소 2번은 발동하지 않으면 어드밴티지로 이어지지 않으니 다른 카드와 콤보해서 공격 횟수를 늘릴 필요도 있다. 물론 공격력 낮은 이 카드를 그냥 들이받았다간 크나큰 전투 데미지를 감수해야 되기 마련이므로 스피릿 베리어 처럼 이를 막을 카드도 챙겨야 될 것이다. 아니면 상대 배틀 페이즈 중에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방법도 있는데, 전선복귀 등으로 수비 표시로 살리면 전투 데미지 걱정도 어느 정도 줄어들 것이다.
이처럼 실전성은 버리고 원작 재현을 위한 콤보에 치중한 카드이므로 어디까지나 팬 덱에서나 쓰일 카드가 되겠다. 전투 내성, 강제 전투, 전투한 상대 몬스터에 카운터를 쌓고 그에 따라 이득을 보는 컨셉은 No.2 문학첩자 섀도우 모스키토과 비슷하며 이 카드의 레벨이 2라 섀도우 모스키토의 엑시즈 소재로도 사용 가능하기에 아예 작정하고 2축 비전투덱을 짜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수록 시리즈 |
2025-05-?? |
LPG1-JP001 | LIMITED PACK GX -オシリスレッド- |
3. 관련 카드
현 시점에서 전부 OCG화되지 않았으나, 대신 유희왕 태그 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 등의 게임 매체에 원작 성능 거의 그대로 수록되었기에 이를 사용해볼 수는 있다.3.1. 큐피트의 키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큐피트의 키스,
일어판 명칭=キューピッド・キス,
영어판 명칭=Cupid Kiss,
효과1=소녀 카운터가 얹혀 있는 몬스터를 장착 몬스터가 공격하여\,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가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전투 데미지를 준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장착 대상이 따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소녀 카운터를 언급하는 시점에서 사랑에 빠진 소녀와 연계할 것을 전제로 삼는다. 장착 몬스터가 공격한 전투에만 효과를 발동하기에, 컨트롤 효과를 쓰려면 마찬가지로 전투 데미지를 줄이는 카드가 필요하다. 효과 발동 자체는 비대상 지정이기 때문에 대상 내성이 있는 몬스터들도 낼름 뺏어올 수 있다.
2019년 12월 중순에,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사오토메 레이 출현 이벤트로 풀렸다. 다만 기존 일러스트의 노출도가 문제가 되었는지 상체를 붕대로 가리도록 수정되었다.
3.2. 행복한 결혼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행복한 결혼,
일어판 명칭=ハッピー・マリッジ,
영어판 명칭=Happy Marriage,
효과1=상대의 몬스터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장착하면 말 그대로 아군이 된 적 몬스터의 공격력을 가질 수 있다.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뺏어온 상태라면 원턴킬도 노려볼 수 있다. 덕분에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제한 카드로 나온다.
여담으로, 유희왕 5D's의 주인공 후도 유세이 담당 성우 미야시타 유우야의 누나가 결혼할 당시, 유희왕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이 카드를 제작해 선물로 줬다고 한다.
3.3. 디펜스 메이든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디펜스 메이든,
일어판 명칭=ディフェンス・メイデン,
영어판 명칭=Defense Maiden,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사랑에 빠진 소녀"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때\, 상대 몬스터 1장이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에게 공격 선언을 했을 경우\, 그 공격 대상을 자신 필드 위의 "사랑에 빠진 소녀" 1장에게 옮길 수 있다.)]
디펜드 슬라임이나 마슈마론 안경 같이 특정 몬스터에게만 공격을 유도하는 카드. 범용성 면에서는 가로막는 강적이나 시프트 체인지 등이 더 뛰어나지만, 그 카드들과는 달리 이 카드는 지속 함정이라서 한번 발동해두면 계속 사용해둘 수 있다는 차별점은 존재한다. 소녀의 효과와 큐피트 키스와의 연계로 사용된다. 위에서 서술했지만 공작열차 시그널 레드와 병용하면 의외의 시너지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