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19:57:22

미국 공군기동사령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미국 수송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미합중국 수송사령부 휘장.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미국 군사지상배치배분사령부 엠블럼.svg
SDDC
군사지상배치배분사령부
파일:usnmsc_emblem(new).jpg
MSC
해상수송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
AMC
공군기동사령부
U.S. Transportation Command Component Commands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41483><tablebgcolor=#041483> 파일:미합중국_공군_마크.svg미합중국 공군 주요 사령부
Major Command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파일:미국 치안총감 계급장.svg
파일:미합중국 공군전투사령부.svg
ACC
공군전투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svg
AFGSC
공군지구권타격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물자사령부.svg
AFMC
공군물자사령부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
AMC
공군기동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태평양공군.svg
PACAF
태평양공군
파일:미합중국 유럽 공군.svg 파일:미합중국 아프리카 공군.svg
USAFE-AFAFRICA
유럽-아프리카공군
파일:미국 치안정감 계급장.svg
파일:공군교육훈련사령부 휘장.svg
AETC
공군교육훈련사령부
파일:공군특수작전사령부 휘장.svg
AFSOC
공군특수작전사령부
파일:공군예비군사령부 휘장.svg
AFRC
공군예비군사령부
}}}}}}}}}}}}}}} ||
공군기동사령부
Air Mobility Command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
창설일 1941년 5월 29일
약칭 AMC
소속 미국 육군(1941~1942)/(1942~1947)
미국 공군(1947~현재)
상급부대 미국 수송사령부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아메리카 대륙 전역
테러와의 전쟁
슬로건 We answer the call of others...
so that they may prevail
우리는 다른 사람의 부름에 응한다...
그들이 이길 수 있도록
사령관 존 라몬테인(대장)
부사령관 레베카 손키스(중장)
본부 스콧 공군기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역대 사령관

1. 개요

Air Mobility Command, 공군기동사령부는 미국 공군주요 사령부(Major Command)로, 미군의 수송기, 급유기 전력을 총괄하며. 사령관은 공군 대장이 보임된다.

2. 역사

공군기동사령부는 1992년 군사공수사령부(Military Airlift Command)가 해체되고 재편성되면서 탄생했다. 창설 초기에는 통합전투사령부인 수송사령부의 사령관이 공군기동사령부의 사령관을 겸임하고 있었으나, 노턴 슈워츠 장군이 수송사령관에 취임하면서부터 사령관 직이 분리되었다.

본부는 일리노이 주 스콧 공군기지에 위치해 있다.

현 사령관은 존 라몬테인 공군 대장으로 유럽-아프리카공군 부사령관을 맡던 중 대장 진급과 함께 부임했다.

3. 역대 사령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9b6bb> 파일: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부.svg미합중국
공군기동사령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합중국 공군대장기.svg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Hansford T. Johnson 로널드 포글먼 Robert L. Rutherford Walter Kross
<rowcolor=#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Charles T. Robertson Jr. John W. Handy Duncan McNabb Arthur Lichte
<rowcolor=#0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Raymond E. Johns Jr. 폴 셀버 대런 맥듀 Carlton D. Everhart II
<rowcolor=#0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Maryanne Miller 재클린 오보스트 Michael A. Minihan 존 라몬테인 }}}}}}}}}

==# 예하 부대 #==
===# 제18공군 / Eighteenth Air Force #===
===# 공군원정센터 / Air Force Expeditionary Center #===
[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46A] KC-46A 운용 부대.[C-130J] C-130J 운용 부대.[C-130H] C-130H 운용 부대.[C-130J] C-130J 운용 부대.[C-130J] C-130J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5M] C-5M 운용 부대.[KC-10] KC-10 운용 부대.[KC-10] KC-10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32A] C-32A 운용 부대.[C-40B] C-40B 운용 부대.[C-37A/B] C-37A/B 운용 부대.[VC-25A] VC-25A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KC-46A] KC-46A 운용 부대.[KC-10] KC-10 운용 부대.[C-130J] C-130J 운용 부대.[C-130J] C-130J 운용 부대.[C-40C] C-40C 운용 부대.[C-21A] C-21A 운용 부대.[KC-135R] KC-135R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5M] C-5M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C-17A] C-17A 운용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