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0:03:10

미리내(터닝메카드)/작중 행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리내(터닝메카드)


1. 1기

파일:터닝메카드 미리내 애니메이션 모습.jpg
“이소벨, 너한텐 내가 필요할 거야.”
“이소벨, 누가 뭐라고 하든 넌 네가 옳다고 믿는 일을 해. 난 언제나 네 편이야.”
상냥하고 배려심이 깊으며 다정한 성격이다. 평소에도 모든 메카니멀들에게 다정해서 일부 메카니멀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15화에서는 에반을 짝사랑하고 있었다고 스스로 밝혔다.[1] 초반부에는 메카니멀 봉인을 두려워하는 이소벨의 마음을 잘 알아주며 이소벨을 위로해 주기도 했다
“이소벨,용기를 내!”
는 단연 돋보인다.
"블랙미러에게 맞서는 자는 내가 용서하지 않겠어!"
모스톤 : "미리내가 블랙미러라고?"
센뿔 : "어떻게 된 거요, 미리내!"
"조그만녀석들이... 시끄러워!"
나찬 : "미리내!"
모스톤 : "미리내... 블랙미러 녀석들, 이렇게 나쁜 짓을 하다니!"
센뿔 : "찬, 내가 가겠소!"
모스톤 : "이것이 우리의!!"
센뿔 : "사랑의 힘이오!!"
모스톤, 센뿔 : "미리내!!!!"
하지만 네오가 이를 리플렉트로 방어하고 자신이 아쿠아 애로우로 쓰러뜨려 자신은 블랙미러에게서 빠져나오지 못했다.[12][13][14][15][16]

2. 2기(W) 시즌1

“여자라고 얕보지마!!”
성능이 개량되면서 분홍색으로 변했다.
사실 이때부턴 가끔씩 대사만 던지는 캐릭이 되었다.

3. 2기(W) 시즌2

"그까짓 거 날려버리겠어!"
미리내: “넌 예전의 이소벨과 닮은 것 같아...”[18]
데이지: “지금 뭐라고 했어?”
미리내: “아.. 아니야. 그런데, 넌 어딘지 모르게 무척 외로워 보여...”
데이지: “내가? 왜 그렇게 생각해?”
미리내: “그냥 왠지 모르게... 그래...”
데이지: “그냥이 아니겠지.”
미리내: “들켰나? 그래, 넌 마음에 단단한 벽을 두르고 있어. 그 안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데이지: “혹시, 이소벨이 그런 애였어?”
미리내: “글쎄...”
데이지: “말하기 곤란한가 보네, 내 감이지만.”
미리내 : "이소벨..배틀을 받아들여..부탁해!"
이소벨 : "알겠어!"
코카트 : "이소벨, 오랜만이야."
미리내 : "잘 지냈어."
이소벨 : " 코카트, 미리내."

그 이후 특별편에서는 다시 이소벨에게 넘어간다.설정 오류?[19]

4. 빠샤메카드

자세한 것은 미리내(빠샤메카드) 항목 참조.
파일:레전드 메카니멀 - 미리내.png
“나만 믿어!”
“미안하지만 내겐 아직 해야 할 일이 있어. 내가 필요할 때엔 바로 달려올게!”
서클: 블루랜드
위장: 백마+소녀 환영
주요 테이머: X(봉인) → 아라 → 고든 → 케인 → 어둠의 그림자 → 아라 → X(봉인)
No.015의 페가수스레전드 메카니멀로 고유 속성은 블루랜드. 어원은 은하수의 순한글말인 미리내.
No.015의 페가수스 형태의 레전드 메카니멀. 알 수 없는 비밀과 신한 힘을 지닌 메카니멀. 색상은 전작처럼 화이트. 그러나, 디자인이전작보다 훨씬 예뻐졌으며, 날개 부분이 노란색으로 바뀌고, 무늬가 보라색에서 분홍색으로 바뀌었다.[20] 나찬 일행이 올바른 길로 가도록 인도한다.

5. 헬로 카봇

유니티 시리즈 문서로


[1] 정작 에반 자신은 그걸 몰랐다고 한다.[2] 이때 이소벨은 미리내의 말을 듣고 당황했다.[3] 이소벨의 목적이 메카니멀을 봉인하는 것임을 알았음에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4] 이때 이소벨을 부르며 이소벨에게 도움을 요청한다.[5] 만약 무간이 파이널 어빌리티를 먼저 쓰지 않았다면 이길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6] 이때 슈마가 미리내를 공격하면서 왜 메카니멀을 봉인하려는자의 편을 드는거지?라고 말한다.미리내는 고통스러운지 비명을 지르며 빠져나가려 한다. 여담으로 미리내가 당하고 있는 중에도 이소벨은 딱히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장면에서 슈마가 방심하고 있는 미리내에게 돌진한 후 미리내의 주위를 돌며 불길을 만들어 미리내를 덮쳤고 미리내는 몸을 흔들고 비명을 지르며 고통스러워한다.[7] 전엔 무간에게 지옥불의 부름을 당했으니 벌써 불과 관련된 공격기술만 2번이나 당한 셈이다...[8] 사실 바위가 아니라 굳은 흙이었다.[9] 에반, 피닉스, 윙톡, 타돌[10] 옛날부터 일편단심 에반 뿐이었다고 하지만 정작 에반은 이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한다.[11] 22화에서 자신이 말했던 친해지기 싫은 메카니멀과 붙게된 셈이다.[12] 만약 찬이가 제대로 마음먹고 에반스핑크스로 맞섰다면 아마 네오와 함께 찬이의 메카니멀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즉 다시 말해 세뇌가 풀렸을 지도 모른다.[13] 이때 센뿔과 모스톤이 아닌 에반과 스핑크스로 더블 앤트리 배틀을 했다고 가정했을 때 이런 식으로 배틀했다면 승리했을지도 모른다. 에테르 어택을 미스릴아머로 막는다 → 기간틱 소드를 들고 돌격하는 네오를 미스터리 퀴즈로 혼란을 주어 움직임을 봉쇄시킨다 → 프로즌 폴을 머미 트루퍼로 무력화시킨다 → 광포한 해일을 슈퍼 대쉬로 피한 다음 어깨빵을 날려 미리내를 추락시킨다 → (파이널 어빌리티로 리플렉트를 쓰지 않고 레이저 빔을 사용할 경우) 레이저 빔을 마지막 머미트루퍼를 소환해서 막던지 에반의 블리자드 소드로 튕겨내든지 해서 공격을 막는다 → 스핑크스가 메가테릭스에게 힘을 받고 마그마 크래시로 네오를 먼저 쓰러뜨린다 → 에반이 블리자드 소드로 미리내를 베어 쓰러뜨린다, (파이널 어빌리티로 리플렉트를 쓸 경우) → 스핑크스가 브릭 브레이크로 위에서 공격해서 네오를 먼저 컷한다. → 에반이 블리자드 소드로 미리내를 베어 쓰러뜨린다 이런 식으로.[14] 미리내의 상대로 에반 대신 피닉스도 괜찮다. 같은 비행계 메카니멀인데다 부활 기술인 리바이벌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네오의 상대는 무조건 스핑크스여야 한다.[15] 센뿔과 모스톤의 호흡이 맞지 않았던 거와 그 당시 나찬이 이소벨 되돌리는 거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배틀에 집중하지 않았던 것도 패배의 원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분명 15화에서 센뿔이 찬에게 넘어가면서 서로 화해했는데 서로 미리내 구하겠다고 싸운 것, 스노우스톰을 날려 네오의 시야를 가리고 들이받기로 기간틱 소드를 방어한 다음 광포한 해일을 버티고 프로즌 폴을 파워 스텝으로 부수고 혼돈의 울림을 날려 네오를 혼란스럽게 한 거까지는 좋았으나 이소벨의 행동을 살피지 않고 먼저 파이널 어빌리티로 혼 어택과 아이보리 어택을 날린 점, 네오에게 방어 기술 리플렉트가 있다는 걸 생각하지 않은 점(만약 쎈뿔의 혼 어택을 먼저 기술로 파워 스텝을 파이널 어빌리티로 기술을 바꿔서 사용했다면 그나마 유리했을수도 있다. 왜냐하면 파워 스텝은 수많은 쎈뿔이 나타나기 때문에 리플렉트가 있어도 파워 스텝을 완전히 막지 못했을거다. 혼 어택도 뿔이 단단해져 돌격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즌 폴을 부수는데에 도움이 됐을 것이다.)이 있다. 미리내와 같은 비행계 메카니멀인 피닉스, 구형 메카니멀 중 최강인 에반, 그나마 신형 메카니멀인 스핑크스는 어디다 갖다버리고 구지 센뿔과 모스톤을 쓴 점이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도 할 수 있다. 거기다 이소벨이 세뇌당한 상태로 찬에게 다가왔을 때 에반이 찬의 어깨에 있었으니 더더욱.[16] 또는 찬이 꼭 2대만 보내는 게 아닌 에반, 스핑크스, 모스톤, 센뿔 이렇게 네 대를 동시에 보내는 방법도 있다. 이럴 경우 찬이 유리한 데 네오와 미리내는 각각 두 대의 메카니멀을 상대해야 하기 때문.[17] 버키에게 리브스 나이프 공격을 맞은게 타격이 컸었다.[18] W 17화에서 만타리데미안에게 비슷한 말을 한 부분이 있다.[19] 데이지와 배틀한후 이겨서 다시 테이밍 되었거나, 귀찮아서 이소벨에게 넘긴걸 수도 있다.[20] 다만 메카니멀 도감에는 전작처럼 여전히 보라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