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박연백(朴淵伯) |
이명 | 박연백(朴淵白) |
자 / 호 | 응구(應九) / 암재(巖齋) |
본관 | 밀양 박씨 |
생몰 | 1869년 8월 1일 ~ 1909년 2월 20일 |
출생지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1]# |
사망지 | 경상북도 경주시 |
매장지 |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
추서 | 건국훈장 독립장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박연백은 1869년 8월 1일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에서 박광호(朴光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을 일으키기로 결심한 뒤 격문을 작성하고 사방으로 보내 사람들을 모아 공산에서 거병했다. 1906년 7월 죽창과 나무막대기 등 낙후한 무기로 무장하고 일본군과 접전하였으며, 의성·의흥·영천·청송 등지로 전전하면서 야간기습과 화공을 단행하여 일본군을 토벌하였다.1907년 10월 영천의병장 정관여(鄭寬汝)와 합세하여 경주 죽지면 입암리에서 일본군과 치열한 접전을 벌이다가 정관녀가 전사하고 포위망을 뚫고 탈출했지만 그 과정에서 손실이 컸다.그 해 11월 25일 부하 100여 명을 이끌고 의성군사무소, 일경 분견소를 습격하였고 12월 23일에는 청송군 소정리에서 적군과 교전하였으며 또한 25일에 의성군에서 일본 수비대와 접전하는 등 맹렬히 활동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의 대대적인 공세로 더이상 활동이 어려워지자 의병을 해산하고 경주로 가서 1909년 2월 20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박연백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68년 그의 유해를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