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1:39:23

박철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現 주일본국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에 대한 내용은 박철희(교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mookas.com/090202_parkchul_m1.jpg
이름 박철희(朴喆熙)
국적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생몰년도 1933년 ~ 2016년 4월 2일(향년 82세)

1. 개요2. 생애
2.1. 택견 관련

[clearfix]

1. 개요

한국무술인이다. 태권도택견을 배웠으며, 양쪽 모두에서 일정한 행보를 남긴 인물이다.

2. 생애

1946년에 문을 연 소위 '태권도 5대관' 중 하나인 윤병인 선생의 YMCA 권법부에서 권법을 배웠으며[1], 실력이 좋았는지 6.25 전쟁 직전까지 무술시범을 할 정도로 열정적이었다고 한다. 전쟁이 발발하자 포병장교로 복무했으며[2] 그의 무술 실력에 인상을 받은 군 관계자들이 후일 육사 태권도 교관으로 초빙하기도 했다. 태수도협회가[3] 설립된 후에는 전무이사를 역임하였다.

육사에 초빙되어 태권도 교관을 하던 시절에는 전두환을 지도한 적도 있으며, 이후 경무대(지금의 청와대) 무도 사범을 역임하고, 강덕원 초대관장을 지냈다. 강덕원은 광복 초기 태권도 주요 9무관 중 하나로, 특히 앞차기, 안다리걸어차기, 손기술 활용법을 연구해 성과를 거두었다고 한다. 타격 순간에 힘을 줄 것을 강조했으며, 실전에서 쓸 수 있도록 팔을 뒤로 빼는 예비동작 없이 바로 뻗는 주먹 또는 수도와, 역시 예비동작이 생략된 빠른 앞차기가 이 강덕원에서 연구한 결과물이다.[4]

전쟁 당시 윤병인 선생이 북한으로 넘어가 소식이 두절된 바람에[5] 다른 선배들에게도 무술을 배웠는데, 당시에 배웠던 권법들은 팔기권, 토조산, 단권, 장권, 태조권, 태극권[6] 등이며, ‘삼보대타(三步對打)’, ‘칠본대타(七本對打)’ 등도 수련하여 터득한 것들을 후학들에게 전하였다. 1956년에는 파사권법(破邪拳法)이라는 책을 집필하기도 했다.

1971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이후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태권도를 알리고 보급하였다.

2.1. 택견 관련

파일:external/www.mookas.com/090930-parkchulhee-m.jpg
도기현 회장과 대타 시범 中[7]
택견 역사에서도 제법 거론되는 인물인데 바로 송덕기 옹의 첫번째 제자였기 때문. 박철희는 1959년에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생일을 기념해 열리는 ‘전국무술개인선수권대회(全國武術個人選手權大會)’에 시연자로 오게 되면서 송덕기와 만나게 되었고[8] 송덕기를 자신이 당시 무술을 가르치던 경무대 상무관(경호실 무술도장격)에 시간날 때마다 초청하여 인연이 이어지게 되었다.

박철희 사범은 전통무술에 관심이 많아서 어디에 누가 무슨 무술을 한다 하면 득달같이 달려가곤 했으며, 이리[9]역 앞에 택견하는 사람의 이야기도 들었고 그 사람이 장심 단련을 하기 위해 나무에다 새끼를 감아놓고 그것을 밟고 지나가는 수련을 많이 했다는 증언도 했다. 또 서울 답십리에도 정노인이라는 80대 노인이 택견을 하는 것도 알고 있었기에 송덕기를 만나기 전에도 택견의 존재는 알고 있었다.

송덕기는 박철희를 아꼈고 박철희도 택견을 좋아해서 사단법인 택견무도회를 결성하려 했으나, 당시 수박도 협회의[10] 방해 등 이런저런 이유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미국행을 택한다.

이 때 박철희 사범이 송덕기 옹에게 들었던 증언들은 다음과 같다.

훗날 미국에서 돌아와 도기현 회장과 만남을 가졌고 도기현의 택견 몸동작을 보고 자신이 보았던 송덕기의 택견 모습과 같다는 말을 했다. 택견 협회가 분열되어 있는 모습을 안타까워 하며 이에 대해서도 노력하고 있어서 대외적으로 택견이 큰 분란은 없이 가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했다. 대사형격 되는 사람이 사이좋게 지내라고 하는 셈이니.. 근데 돌아가셨다
파일:external/www.mookas.com/090315_taekyen_m.jpg
택견 대표자들
무카스와의 영상 인터뷰에서도 송덕기와 가장 닮은 모습의 택견이 어느 쪽이냐는 질문에 '도기현 씨' 라고 하기도 했으니 결련택견협회의 기본 택견 동작이 송덕기와 닮긴 닮은 모양이다. 다만 그 발언을 한 장소가 결련택견협회 사무실이었기 때문에 립서비스 아닌가 하는 약간의 논란이 있다.


[1] YMCA권법부는 6.25 전쟁 이후 김순배, 이남석이 주축이 되어 창무관으로 명칭을 변경했다.[2] 1.4 후퇴 당시 무용담을 가끔 수련생들에게 들려주었다고 한다. 행군을 하는 데, 극심한 피로로 졸다 가고, 졸면서 걸어가고 하다 보니, 그만 낙오하고 말았는데 불행 중 다행으로 부하 1명과 함께 행동을 하며 다시 아군 진영에 합류하러 가던중에 소변을 보다가 우연히 인민군 기관총 2정이 배치된 진지와 조우했다고 한다. 다행히 아랫쪽에 있는 우리 군 일행을 적이 보지 못한다는 점을 이용해, 기관총 거치대를 딛고 뛰어오르는 순간 공격하며 제압을 완료하고 기관총의 방아쇠 뭉치를 빼낸다. 다시 도주하려고 보니까, 기관총 진지 뒷편에 있는 대대급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걸 발견, 무사히 도망치려면 이들 대대 병력과 관련해 어떻게든 조치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앞서 기관총 진지의 병사들이 소지한 수류탄과 단검을 들고, 먼저 통신대로 들어가 단검으로 제압한 후, 아군 본부에 통신을 보내 현 위치를 알린다. 다시 통신 장비를 파괴한 후, 대대 본부 건물로 들어가 수류탄을 꺼내 던지면서 큰 소란을 일으켰으며, 대대장(실제로는 대대 차선임장교)으로 보이는 인물을 생포한 후 도주하는 데 성공하였다고.[3] 태권도협회의 옛 이름 중 하나. 초기 태권도 시절엔 태수도(태권도+당수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4] 티우 월남 대통령의 경호실장을 맡았던 장교 안낙순 씨가 강덕원 출신이다. 안낙순 씨가, 친분 있는 청도관 고위급 수련생과 함께, 강덕원 후배들을 찾아온 자리에서 두 사람의(안 VS 청) 친선 대련이 이뤄졌는데, 대련을 지켜본 중학생 수련생 말이, 두 사람 다 한 번에 빠르게 싸움을 끝내려고 움직이는 모습이, 마치 호랑이 같았다고 한다. 예비동작없는 빠른 주먹을 수련한 분 중에는, 권투로 전향해 성과를 거두신 분도 나왔다는 후문.[5] 윤병인은 어린 시절 사고로 오른쪽 손가락 한 마디를 잃었기 때문에 흰 장갑을 오른손에 끼고 수련했는데, 제자들도 스승을 존중하는 의미로 수련시 흰장갑을 꼈다. 허나 박철희처럼 이런 특이한 모습을 보인 제자들은 스승과 암호로 연락하는 것 아니냐고(...) 의심한 당시 정보부의 감시를 받는 고초를 겪기도 한다.[6] 현재의 태극권과는 관련이 없다.[7] 잘 관리된 몸이라는 걸 짐작할 수 있는 사진인데, 이마저도 나이가 들어 몸이 다소 난 것이라고 한다. 박철희 사범이 젊었을 때는 군살 하나 없이 매우 민첩해보이는 몸이었다.[8] 당시 송덕기는 김성한과 짝을 이뤄 시범을 보였는데, 알코올 중독으로 거의 폐인이 되어 있던 김성한을 송덕기가 겨우 설득해서 함께 연습했다고 한다. 김성한이 무슨 연유로 알코올 중독에 빠지게 되었는지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시범이 끝난 후 김성한 씨는 정부에서 받은 격려금으로 또 술을 마셨고, 결국 숨진 채 발견되었다고 한다. 만약 김성한이 생존했다면 태껸에 대한 송덕기의 증언을 보증해줄 수도 있었을 텐데 아쉬운 부분이다.[9]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10] 현재의 수박도 협회와는 관련이 없다.[11] 이 외에도 잔디밭 등 빈 공터면 어느 곳에서든 했다고 한다.[12] 김홍식에 따르면, 진짜 싸울땐 '결연 태껸', 넘어지면 지는 놀이 경기는 '서기 태껸'이라고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