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39:21

발해해협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해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강화해협 · 견내량 · 노량해협 · 대한해협 · 명량수도 · 사량해협 · 제주해협 · 칠천량
아시아
간몬해협 · 구루시마 해협 · 나루토 해협 · 네벨스코이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대만해협 · 도후치 해협 · 드미트리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 해협 · 롬복 해협 · 루손 해협 · 마두라 해협 · 마카사르 해협 · 마토치킨 해협 · 말라카 해협 · 미야코 해협 · 민도로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발리 해협 · 베링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발해해협 ·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 산후아니코 해협 · 수리가오 해협 · 순다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쓰가루해협 · 아카시 해협 · 알라스 해협 · 조호르 해협 · 충저우 해협 · 카르스키예 해협 · 쿠나시르 해협 · 쿠릴 해협 · 타타르 해협 · 포크 해협 · 호르무즈 해협
유럽
노스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도버 해협 · 릴레벨투 해협 · 메시나 해협 · 모이얼 해협 ·보니파시오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브리스틀 해협 · 세인트조지 해협 · 스카게라크 해협 · 스토레벨트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영국 해협 · 오트란토 해협 · 외레순 해협 · 지브나 해협 · 지브롤터 해협 · 카테가트 해협 · 케르치 해협 · 코르시카 해협 · 페네슈트롬 해협 · 페마른벨트 해협
아프리카
모잠비크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지브롤터 해협
북아메리카
골든게이트 해협 · 네어스 해협 · 데이비스 해협 · 덴마크 해협 · 돌핀 유니언 해협 · 랭커스터 해협 · 롱아일랜드 해협 · 매키노 해협 · 베링 해협 · 비스카운트멜빌 해협 · 윈드워드 해협 · 유카탄 해협 · 카르퀴네즈 해협 · 퓨리 헤클라 해협 · 프린스오브웨일스 해협 · 플로리다 해협 · 후안 데 푸카 해협
남아메리카
드레이크 해협 · 마젤란 해협 · 비글 해협
오세아니아
뉴조지아 해협 · 배스 해협 · 아이언바텀 해협 · 아폴리마 해협 · 쿡 해협 · 토러스 해협 · 포보 해협
남극
드레이크 해협}}}}}}}}}

발해해협
Bohai Strait | [ruby(渤海, ruby=Bóhǎi)][ruby(海峡, ruby=hǎixiá)]
<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haiseamap2.png
위 지도에서 Bohai Strait라고 표기된 곳이 발해 해협이다. 이 해협을 지나가면 발해만으로 연결된다.
<colbgcolor=#333383>언어별 명칭
영어 Bohai Strait
표준중국어 [ruby(渤海, ruby=Bóhǎi)][ruby(海峡, ruby=hǎixiá)]
한국어 발해해협/보하이해협
1. 개요2. 명칭3. 지리
3.1. 자연보호구
4. 교통

[clearfix]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반도랴오둥반도 사이에 위치한, 길이 약 105km, 너비 약 90km의 해협. 발해해황해를 나누고 있고, 해당 해협 정 중앙에는 먀오다오군도(庙岛群岛)가 위치해 있다. 먀오다오군도는 자오랴오(胶辽) 융기대의 일부이다.

2. 명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발해해 문서
번 문단을
명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리

이 곳은 탄루-잉커우 지진대(郯庐—营口地震带)가 관통하는 지역으로, 중국의 지진 다발지 중 하나이다. 1668년 강희제 시기에 이 곳에서 리히터 규모 8.5의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기록되며, 현재도 규모 4~5의 지진이 수시로 일어나는 지역이다.

또한 이 발해 해협은 황허의 종착지로, 덕분에 수질이 매우 나쁘기로 유명하다. 위성지도를 보면 황허에서 나온 황토수질이 이 발해 해협의 먀오다오 군도까지 이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발해 문서에 적혀있듯 중국 특유의 심각한 자연문제로 인한 환경오염 역시 진행되고 있다.

3.1. 자연보호구

당연히 중국도 이 지역의 심각한 생태환경을 모를 리가 없으므로, 생태환경부가 직접 발 해협에 3개의 자연보호구를 지정하고 생태보호에 나선 상태이다.

4. 교통

북중국 해상교통의 요지이다. 실제로 여기가 봉쇄된다면 북중국은 큰 경제적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당장 수도인 베이징부터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이 자명하다.

다롄시옌타이는 이 해협과 직접 마주하고 있는 주요 도시이며, 이 해협을 지나가면 톈진시, 탕산, 친황다오 등, 중국의 주요 대도시들이 우수수 나온다. 이 외에도, 다롄, 톈진 등을 외항으로 사용중인 도시인 베이징시, 선양시, 창춘시, 하얼빈시 등의 규모를 생각 해 본다면, 중국이 이 해협으로부터 가지는 중요성은 가히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실제 이 곳의 수운은 이미 포화상태이며, 이는 이미 90년대부터 진행중이었기에 중국 정부는 이 해협을 직접 가로지르는 교통망인 발 해협 과해통도(渤海海峡跨海通道)를 구상중이나, 예산이 약 3,000억위안이나 드는데다가 앞서 설명한 대로 여긴 지진대이기에 위험요소까지 산재되어 있어 현재까지도 별다른 공사를 진행하지 못 하고, 그냥 연락선 정도로만 끝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