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4:39:31
<colbgcolor=#8f7226><colcolor=#42393b> 베네라 13호 Venera 13
Венера 13
베네라 13호의 궤도선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발사 1981년 10월 30일 06:04:00 UTC ([age(1981-10-30)]주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발사체 프로톤 K 무게 4394.5kg
베네라 13호는 소련의 금성 탐사선이다. 최초로 금성의 사진을 전송한 탐사선이기도 하다.2. 금성 착륙 베네라 13호는 동체를 티타늄 으로 만들고, 카메라 렌즈는 수정 을 깎아서 만들고, 액체 질소 냉각 시스템까지 탑재하여 금성의 열기를 견딜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다. 예상 한계치는 30분 남짓이었으나 다행히 예상 한계치의 4배 이상인 127분간 동작할 수 있었고, 금성의 표면을 컬러 사진으로 촬영하여 전송하는 공적을 세웠다. 이때 찍히는 사진들도 베네라 13호의 잔해들이 실시간으로 떨어져 가는 것도 같이 촬영되었다. 상단에 첨부된 사진의 금성 바닥에 부품처럼 보이는 철 부품들이, 베네라 13호의 잔해들이다. 지금은 금성의 열기를 견디지 못하고 완전히 망가진 잔해 수준, 혹은 금성의 황산비로 잔해조차 남아있지 않을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