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0:25:11

프로톤 로켓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 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 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 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 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 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 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파일:소련 국기.svg Universal Rocket 파일:러시아 국기.svg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UR-100
(SS-11 Sego)
UR-100N
(SS-19 Stiletto)
UR-200
(SS-10 Scrag)
UR-500 UR-700/900 스트렐라(로켓)
}}}}}} ||
1. 개요2. 설명3. 종류
3.1. Proton3.2. Proton-K3.3. Proton-M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arly_Proton-K_rocket_versions.jpg
제일 왼쪽부터 프로톤, 나머지는 각각 프로톤-K에 LK-1 우주선, 존드 우주선, 살류트가 실린 모습.

1. 개요

Proton / Протон

프로톤 로켓블라디미르 첼로메이가 개발한 소련의 로켓/미사일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ladimir_Chelomei.jpg
블라디미르 첼로메이(1914~1984). 세르게이 코롤료프와 쌍벽을 이루는 러시아 발사체 개발자이다.

소련의 OKB-23[1]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의 흐루니체프 연구소에서 관리해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 최초 발사는 1965년에 이루어졌으며, 몇 차례 개량을 거쳐 현재까지도 여전히 쓰이고 있다.

2. 설명

외형 때문에 착각하기 쉽지만, 최하단에 둘러진 6개의 엔진(RD-275)은 부스터가 아니라 코어 스테이지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소유즈 로켓의 최하단 4개 로켓 부스터들 같은 별개의 스테이지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스테이지 분리시 엔진시 코어 스테이지 째로 떨어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는 R-36를 능가하는 매우 거대한 ICBM으로 설계가 되었으나[2] ICBM으로써 액체연료는 한계점이 많았고, 결정적으로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우주 발사체로 개발 방향이 전환되었다. 당시 소련의 우주개발은 달 착륙에서 우주 정거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었으며, 낮은 페이로드를 가진 소유즈로는 거주 블럭 같은 고중량 화물을 쏘아 올리지 못하였으나 프로톤은 차르 봄바같은 무식한 위력의 핵탄두를 쏘아 올릴 것을 전제로 설계된 로켓이라 고중량 화물을 거뜬히 궤도 상에 올릴 수 있었다.

프로톤 로켓이 탑재했던 주요 페이로드로는 루나 16호, 살류트 6호와 7호, 미르 우주정거장 그리고 국제우주정거장의 모듈들이[3] 있다.

안가라 로켓이나 이르티시 로켓 등의 개발로 2020년대 안에 퇴역할 것으로 보인다.

3. 종류

파일:external/www.ilslaunch.com/Proton%20Evolution.jpg
프로톤-K와 프로톤-M의 개량으로 증가한 발사 능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3.1. Proton

Proton / Протон
파일:external/space.skyrocket.de/proton__1.jpg
GRAU 인식부호 8K82
제식 명칭 UR-500 / УР-500
운용 여부 퇴역
최초 비행 1965년 7월 16일
마지막 비행 1966년 7월 6일
높이 53m
직경 7.4m
총 스테이지 수 3단
탑재 능력 20,700kg (LEO)
6,000kg (GTO)

3.2. Proton-K

Proton-K / Протон-K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roton_Zvezda_crop.jpg
GRAU 인식부호 8K82K
제식 명칭 UR-500K / УР-500K
운용 여부 퇴역
최초 비행 1967년 5월 10일
마지막 비행 2012년 3월 30일
높이 50m
직경 7.4m
총 스테이지 수 3~4단
탑재 능력 22,776 kg(LEO)
운용 횟수 (성공) 310회(275회)

프로톤-K는 초기 프로톤 로켓에서 파생된 로켓으로, 발렌틴 글루시코가 설계한 RD-253 엔진 6개를 1단에 사용했다. 초기에는 성공률이 많이 낮아 수많은 실패가 있었지만, 이후 안정성이 높아져 2000년대까지는 가장 널리 사용된 대형 발사체였다. 많은 코스모스 위성들이 이 발사체로 발사되었다. 태양계 탐사선으로는 초창기에 십여 차례의 무인 달 착륙선을[4] 발사하였고, 마스 2~7호와 포보스 1, 2호에 해당하는 화성 탐사선, 베네라 9~16호와 베가 1~2호에 해당하는 금성 탐사선 등 1960년대 말 이후 소련의 거의 모든 탐사선은 프로톤-K로 발사하였다.[5] 또한 살류트 1호살류트 7호를 포함한 살류트 우주정거장 임무, 미르 우주정거장의 모듈들, 국제우주정거장의 자랴, 즈베즈다 모듈, 몇몇 초기 우주망원경 임무 등 수십 년에 걸친 소련-러시아의 다양한 발사 임무를 수행했다. 2012년 퇴역했다.

3.3. Proton-M

Proton-M / Протон-М
파일:external/www.ruaviation.com/177.jpg
GRAU 인식부호 8K82M, 8K82KM,
제식 명칭 UR-500M / УР-500M
운용 여부 운용중
최초 비행 2001년 4월 7일
마지막 비행 -
높이 58m
직경 7.4m
총 스테이지 수 4단
탑재 능력 22,000 kg (LEO)
6,700 kg (GTO)
3,500 kg (GSO)
발사 횟수[6] (실패 횟수) 115회(11회)

2001년부터 발사되기 시작한 개선된 프로톤 로켓이다. 1단에 RD-275M 엔진 6개가 쓰인다. 주로 정지궤도 통신 위성과 코스모스 정찰 위성을 발사하는 데 사용했지만, 화성 탐사선인 엑소마스 가스추적궤도선 발사에 한 번 사용되기도 하였다. 국제우주정거장 미션에서도 2021년 나우카(Nauka)모듈 발사에 쓰였다.


[1] 제23 설계국.[2] R-36 전체무게는 209,600 kg이지만, UR-500은 693,810 kg 이었다.[3] 주요 모듈 중에서 자랴(Zarya), 즈베즈다(Zvezda), 나우카(Nauka) 가 프로톤으로 발사되었다.[4] 루나 계획에 속하는 탐사선들 중 15~24호를 프로톤-K로 발사했으며, 실패한 것들도 많다.[5] 그래도 1970년대 초반까지는 이전에 쓰인 몰니야 발사체가 베네라 7호를 비롯한 탐사선 발사에 쓰이기는 했다.[6] 2023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