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7:56:24

베를린 공과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에서 넘어옴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IMG_0518.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TU_Muenchen_Logo.svg.png 파일:2000px-RWTH_Logo_3.svg.png 파일:Logo_der_Technischen_Universität_Berlin.svg.png 파일:1280px-Siegel_TU_Braunschweig_transparent.svg.png 파일:2000px-TU_Darmstadt_Logo.svg.png
뮌헨 공과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교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파일:2000px-Logo_TU_Dresden.svg.png 파일:2000px-Leibniz-Universität_Hannover.svg.png 파일:2000px-Logo_KIT.svg.png 파일:unistuttgart_logo_de.jp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라이프니츠 대학교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

파일:Exzellenzinitiative.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TUDresden.pn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파일:TUMuenchen.png 뮌헨 공과대학교 파일:LMUMuenchen.png 뮌헨대학교 파일:SealofFreeUniversityofBerlin.png 베를린 자유대학교
파일: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엠블럼.svg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파일:Logo_der_Technischen_Universität_Berlin.svg.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파일:RWTH.png 아헨 공과대학교 파일:csm_logo_aktuell.png 콘스탄츠 대학교
파일:UniversityofTubingen.png 튀빙겐 대학교 파일: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아이콘.png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파일:함부르크 대학교 문장.png 함부르크 대학교 파일:2000px-Logo_KIT.svg.png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6px-Uni_gottingen_siegel.svg.png 괴팅겐 대학교 파일:Seal_of_the_University_of_Bonn.png 본 대학교 파일:브레멘 대학교 로고 .jpg 브레멘 대학교 파일:쾰른 대학교 문장.png 쾰른 대학교
파일:Siegel_der_Albert-Ludwigs-Universität_Freiburg.png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fff>
파일:logo_pegasus_square.jpg
The Pegasus
Aerospace Engineering Network

유럽 항공 우주 대학 파트너십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16080><colcolor=#fff> 국가 소속 대학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델프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델프트 공과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_Logo.pn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파일:브라운슈바이크 대학교_로고.png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파일:슈투트가르트 대학교_로고.png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파일:rwth-logo-png-transparent.png 아헨 공과대학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Vilnius-Gediminas-Technical-University-VGTU-logo.png 빌뉴스 게디미나스 공과대학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KTH logo.png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마드리드 공과대학교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세비야 대학교
테라사 산업 및 항공 학교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uniza_bw.png 질리나 대학교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글래스고 대학교 아이콘_01.png 글래스고 대학교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브리스톨 대학교 파일:크랜필드 대학교 로고.png 크랜필드 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 파일: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아이콘.png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파일:polimi 원형 아이콘 color.png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파일:external/www.cs.unibo.it/logo.gif 볼로냐 대학교 파일:polito-logo.png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파일:University_of_Pisa.svg.png 피사 대학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바르샤바 공과대학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리스본 공과대학교 (IST Lisboa)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국립고등기계항공학교 (E.N.S.M.A.) 국립고등항공우주학교 (ISAE) 국립민간항공학교 (ENAC)
항공 기술 및 차량 제작 학교 (ESTACA)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파일:CESAER Logo.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28bd6><colcolor=#fff> 국가 소속 대학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_로고.png
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델프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델프트
공과대학교
파일:트벤테 대학교_로고.png
트벤테 대학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_Small logo.png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파일:아그데르 대학교 로고.png
아그데르 대학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올보르 대학교_로고.png
올보르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_Logo.pn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파일: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_로고.png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
파일:TUM 아이콘.png
뮌헨
공과대학교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_Logo.jpg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파일:슈투트가르트 대학교_로고.png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파일:rwth-logo-png-transparent.png
아헨
공과대학교
파일:2000px-Logo_KIT.svg.png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Universitatea_Politehnica_Bucuresti_logo.png
부쿠레슈티
폴리테크닉 대학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겐트 대학교 로고.png
겐트 대학교
파일:1200px-KU_Leuven_logo.svg.png
뢰번
가톨릭 대학교
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베오그라드 대학교 문장.png
베오그라드
대학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룬드 대학교 로고.webp
룬드 대학교
파일:KTH logo.png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파일:ChalmerstekniskahögskolaGöteborgVästraGötalandslänSverige.png
찰머스
공과대학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로고.svg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파일: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Simplified 로고.png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_Small logo.png
마드리드
공과대학교
파일:Universidad Politécnica de Valencia_Logo.png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파일:UPC_Logo.png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Logo_Slovenskej_technickej_univerzity_v_Bratislave.jpg
STU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사우스햄튼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사우스햄튼
대학교
파일:서리 대학교_Logo.png
서리 대학교
파일:셰필드 대학교 아이콘.jpg
셰필드 대학교
파일:University_of_Strathclyde_Coat_of_Arms.svg.png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TU_Signet_CMYK.svg.png

공과대학교
파일:TU Graz_Logo.png
그라츠
공과대학교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NTUU_KPI_logo.png
키이우
공과대학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테크니온 이스라엘 공과대학교 로고.png
테크니온-이스라엘
공과대학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아이콘.png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파일:polimi 원형 아이콘 color.png
밀라노
공과대학교
파일:POLITECNICO DI TORINO_Logo.png
토리노
공과대학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브르노 공과대학교 로고.jpg
브르노
공과대학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Istanbul_Technical_University_emblem.svg.png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1024px-Universidade_NOVA_de_Lisboa_logo_logotipo_2021.png
리스본 노바
대학교
파일:포르투 대학교_로고.png
포르투
대학교
파일:Instituto Superior Técnico_Logo.png
IST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Logo_Gdańsk_University_of_Technology.svg.png
그단스크
공과대학교
파일:바르샤바 공과대학교_Small Logo.png
바르샤바
공과대학교
파일:포즈난 공과대학교 문장.png
포즈난
공과대학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Grenoble Alpes University logo.png
그르노블 알프
대학교
파일:리옹 국립응용과학원_로고.png
리옹 국립
응용과학원
파일:Paris Tech_Small logo.png
파리
공과대학교
파일:파리 사클레 대학교 아이콘.png
파리 사클레
대학교
파일:Polytechnique Institute of Paris_Logo.png
파리 폴리테크니크
인스티튜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알토대학교 로고.png
알토 대학교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_로고.png
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파일:SEFI 로고.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19bd3><colcolor=#fff> 국가 소속 대학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이오안니나대 아테네 국립 공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 바헤닝언대 삭시온
응용과학대
IHE 델프트 에인트호번 공대
위트레흐트
응용과학대
폰티스
응용과학대
트벤테 대학교 헤이그
응용과학대학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노르웨이
과학기술대
아그데르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남덴마크대 덴마크 공대 오르후스대 올보르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만하임
응용과학대
뮌헨 공대 베를린 공대 브라운슈바이크
공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가 기술대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러시아
민족우호대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빌뉴스
게디미나스 공대
카우나스 공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뢰번 가톨릭대 루뱅 가톨릭대 리에주 시립대 몽스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룬드대 스웨덴 왕립 공대 우메오대 웁살라대 찰머스 공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로잔 연방 공대 스위스 북서부
응용과학예술대
이탈리아 스위스
응용과학대
취리히 연방 공대 취리히
응용과학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마드리드
카를로스 3세대
발렌시아 공대 카디즈대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STU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더블린 공대 더블린 시티대 애슬론 공대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탈린 공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미들섹스대 버밍엄대 셰필드대 UCL 코번트리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밀라노 공대 토리노 공대 카를로
카테네오대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프라하 체코 공대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대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키프로스
유러피언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이스탄불 공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CESI CY 세르지 파리대 ENSTA 브르타뉴 EPF INSA
국립고등기술
공예학교
클레르몽 오베르뉴
INP
툴루즈 공대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알토대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Top International Managers in Engineering logo.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회원 대학
<colbgcolor=#000000,#191919><colcolor=#fff,#ddd>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0px-UQlogo.svg.png 퀸즐랜드 대학교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Wien logo.png 빈 공과대학교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Mons University logo.png 몽스 대학교 파일:VUB(브뤼셀 자유대학교-네덜란드어권) 아이콘.png 브뤼셀 자유대학교 (네덜란드어권) 파일:ULB(브뤼셀 자유대학교-프랑스어권) 아이콘.png 브뤼셀 자유대학교 (프랑스어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University of Liège logo.png 리에주 대학교 파일:루뱅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루뱅 가톨릭 대학교 (프랑스어권)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상파울루 대학교 로고.png 상파울루 대학교 파일:State University of Campinas logo.png 캄피나스 주립대학교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Xi'anJiaotongDaXueXiaoHui.png 시안교통대학 파일:Beihang University logo.png 베이징항공항천대학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Czech Technical University logo.jpg 체코 공과대학교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덴마크 공과대학교 로고.png 덴마크 공과대학교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logo.jpg 마드리드 공과대학교 파일:Valencia Polytechnic University logo.png 발렌시아 공과대학교 파일:Comillas Pontifical University logo.png 교황청립 코미야스 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University of Seville logo.png 세비야 대학교 파일: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logo.png 카탈루냐 공과대학교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CentraleSupélec logo.png 에콜 상트랄 파리 파일:École Centrale de Lille logo.png 에콜 상트랄 릴 파일:École Centrale de Lyon logo.png 에콜 상트랄 리옹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École Centrale de Marseille logo.png 에콜 상트랄 마르세유 파일:École Centrale de Nantes logo.png 에콜 상트랄 낭트 파일:E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 logo.png 파리 기술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브르타뉴 국립고등기술학교 로고.png 브르타뉴 국립고등기술학교 파일:국립고등항공우주학교 로고.png 국립고등항공우주학교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RWTH_Logo_3.svg 아헨 공과대학교 파일:Logo_der_Technischen_Universität_Berlin.svg.png 베를린 공과대학교 파일:2000px-TU_Darmstadt_Logo.svg.png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2000px-Logo_TU_Dresden.svg.png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파일:2000px-Leibniz-Universität_Hannover.svg.png 라이프니츠 대학교 파일: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logo.png 뮌헨 공과대학교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logo.png 테살로니키 아리스토텔레스 대학교 파일:Athens Polytechnic univ logo.png 아테네 공과대학교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Budapest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conomics logo.png 부다페스트 기술경제대학교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Politecnico di Milano logo.png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파일:Politecnico di Torino logo.png 토리노 폴리테크니코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logo.png 파도바 대학교 파일:Università degli Studi di Trento logo.png 트렌토 대학교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147bfb9fca4714fd9cc1a6e57539b2ad.jpg 도시샤대학 파일:게이오기주쿠대학 심볼.svg 게이오기주쿠대학 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로고.png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Wroclaw University of Technology logo.jpg 브로츠와프 과학기술대학교 파일:AG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logo.png AGH 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리스본 대학교 로고.png 리스본 대학교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bmstu_logo.png 바우만 모스크바 국립공과대학교 파일:Moscow Technological University logo.png 모스크바 공과대학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Tomsk Polytechnic University logo.png 톰스크 공과대학교 파일:Saint Petersburg Polytechnical University logo.gif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교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KTH logo.png 스웨덴 왕립 공과대학교 파일:룬드 대학교 로고.webp 룬드 대학교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Istanbul Technical University logo.png 이스탄불 공과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black>
파일:사이언스 갤러리 로고_배경 반전.png
사이언스 갤러리 네트워크
The Dynamic Intersection
Where Science and Art Collide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black,#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사이언스 갤러리 개요 

* Science Gallery Network (이하 사이언스 갤러리)는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의 주도로 지난 2008년 결성된 국제 공공과학–예술 박물관 연합체다.
* 협력 교육기관 소속의 과학자들과 유명 예술가들 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이를 통한 과학 및 예술의 대중화를 이끄는 것이 주요 목표다.
과학 박물관 소재지 및 협력 교육기관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투명 배경 로고.png 파일:KCL 투명로고.png 파일:멜버른 대학교 투명 배경 로고.png 파일:에모리 대학교 쉴드 로고_Transparent.png
트리니티 칼리지 킹스 칼리지 멜버른 대학교 에모리 대학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투명 로고.png 파일:에라스무스 대학교 로고.png 파일:Indian Institute of Science (IISc) 문장.png
베를린 공과대학 에라스뮈스 인도 과학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 ||
베를린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Berlin Institute of Technology

파일:Logo_der_Technischen_Universität_Berlin.svg.png

대학 정보
<colbgcolor=#C50E1F><colcolor=white> 국가
[[독일|]][[틀:국기|]][[틀:국기|]]
소재지 독일, 베를린
(Straße des 17. Juni 135, 10623 Berlin, Germany)
개교 1879년 4월 1일 ([age(1879-04-01)]주년)
연간예산 5억 6780만 유로 (한화 7천 7백억 원)
학생 수 35,600명
교직원 수 7,810명
교색[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웹사이트 파일:베를린 공과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위치

1. 개요2. 역사3. 교통4. 캠퍼스5. 학생카페와 학생회6. 여담7. 출신인물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수도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Charlottenburg)에 위치한 국립 공과대학교이다.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9개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인 TU9, 유럽 내 53개 공과대학교의 연합인 T.I.M.E. 등에 속해있다. 2022년 기준 노벨상 수상자는 8명으로, 독일에서 두번째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보유한 공과대학교이다.[2] 2022년 기준 QS 대학평가 공학 및 기술 분야에서 독일 내 3위[3][4]에 랭크되어 있다.

공과대학교이긴 하나 인문학이나 경제학, 경영학 등의 학위 과정도 제공한다. 독일에서 공과대학(Technische Universityät)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최초의 대학이며, 동시에 1926-27년 산업경영공학과를 최초로 설치해 가르친 대학이기도 하다. 또 유학생 비율이 높기로 유명해, 전체의 30% 가량이 유학생이다.

100여개의 학부과정과 70여개의 석사과정[5]을 제공하고 있다. 연간 예산은 2020년 기준으로 7천 7백억 원에 달하며 재학생은 도합 35,600여명으로 학교 규모 자체는 독일에서 큰 편에 속한다.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전신인 왕립 산업 아카데미의 설립 연도는 1770년으로 독일 내에서도 역사가 매우 깊은 공과대학교이다.[6][7]

2. 역사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1879년 4월 1일 베를린 왕립 건축 아카데미[8]와 왕립 산업 아카데미[9]의 합병을 통해 설립되었다.

1885년 학교의 정식 명칭을 베를린 왕립 공과 대학으로 변경하였으며,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로부터 "최고 칙령"(내각 명령)에 의해 고등 공학 교육기관으로 박사 학위를 수여할 권리가 부여되었다. 이 학교는 독일어권 최초의 박사학위 수여 폴리테크닉이었다.

1916년 과거 프리드리히 대왕 시절에 만들어졌던 프로이센 광산 아카데미를 합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에서 가장 큰 공과대학이었던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전쟁으로 인하여 학교 건물이 다수 파괴되었고, 1945년 4월 결국 폐교되었다.

이듬해인 1946년 4월 9일 베를린 공과대학교는 베를린영국 분할 통치지역인 Bezirk Charlottenburg-Wilmersdorf내의 현재 위치에 새롭게 개교하였다. 파괴되었던 인문학부 건물은 이후 1950년에 재건되었다.

1969년 베를린 대학법에 따라 대학의 교육 정책이 재편성되었으며 이전에 존재하던 9개 학부를 21개 학과로 변경하였다.

2019년에 우수대학육성정책의 대상 대학으로 첫 선정되었다.

3. 교통

학교 바로 동쪽에는 베를린 동물원역과 베를린 동물원[10]이 있는데, 이 베를린 동물원은 베를린 중앙에 동서로 3km에 달하여 펼쳐져 있으며, 이 길을 통하면 베를린 전승기념탑[11]을 거쳐 브란덴부르크 문에 도달할 수 있다.

베를린 S반 베를린 동물원역 또는 베를린 U반 2호선 에른스트 로이터 플라츠역에서 내리면 도착할 수 있다. 그런데, 사실 티어가르텐역에서 내려 가는게 더 안전하다. 베를린 동물원역에서 내려서 학교로 향하는 방향은 부랑자도 많고 치안이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베를린의 다른 4년제 대학들과 달리, 2023년 겨울학기 (WS23/24)부터 학생증에 딸려오는 제메스터카드(Semestercard)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독일 티켓 같은 일반 정기권을 끊어야 한다. 제메스터티켓이 자전거 티켓까지 겸한다는 걸 생각해보면, 대중교통과 자전거를 함께 이용하는 학생들에게는 확실히 손해다.

4. 캠퍼스

▼ 캠퍼스 소개 영상

본 캠퍼스는 베를린 도심 중 하나인 샤를로텐부르크에 위치해 있다. 캠퍼스가 시 외곽에 있거나, 시내 여러 곳에 위치한 다른 종합대학들에 비해 이점이 있는편이다. 도심 중심에 꽤 넓은 부지에 건물들이 캠퍼스 형태로 모여있다.

5. 학생카페와 학생회

Straße des 17. Juni를 기준으로 Hauptgebäude이(메인건물) 있는 쪽이 Südcampus(남쪽 캠퍼스) 그리고 MA Gebäude이(수학과건물) 있는 쪽이 Nordcampus(북쪽 캠퍼스)이다.

대표적인 Südcampus 학생카페와 학생회
- EB 104, ToDo[12], Sputnik, Fachschaftsteam, Wiwi café[13],Café PlanWirtschaft[14], Ini Chemie 등등

대표적인 Nordcampus 학생카페와 학생회
- Café A, Café Shila[15], Unikino[16], Chez Phil[17], MatheIni, Café Erdreich[18] 등등

이 외 학생카페와 학생회
- Physik Ini, Minitiative, Freitagsrunde, Fridays for Future[19], ESN Berlin[20], i-Café, Café TELquel[21], Unirad[22], AIESEC 등등

학생 카페에서는 커피, 음료, 맥주, 샷, 와인, 샴페인, 간단한 먹거리(라면, 컵라면, 피자, 빵, 프레첼, 샌드위치 등등), 간식거리(아이스크림, 과자, 젤리 등등)을 판다. 그리고 학생들은 그곳에서 학업 스트레스를 털어버리곤...? 한다. 술의 경우 카페를 벗어나 중간 정원 또는 캠퍼스를 돌아다니면서 마시는 것은 16시 이후부터 가능하다. 대부분의 학생 카페에는 Kiker(테이블 축구)와 보드게임이 있어 학생들이 이것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프로젝트 빔이 있는 카페들의 경우 다 같이 축구를 보기도 한다.

매 여름학기에 학생카페와 학생회 소속 학생들만 참여하는 Café-Olympiade라는 행사가 있다. 목적은 학생 카페와 학생회들 사이의 친목 도모이지만... 목적을 달성하기란 언제나 어려운 법이니... Café-Olympiade에서 어떤 게임을 할 지는 Orga팀 말고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Bierpong, Bierball, Eierlaufen[23], Schatzsuche[24], Murmelbahn[25] 등등의 게임을 역대로 했었다. 그리고 우승한 팀은 트로피를 받고 다음연도 Café-Olympiade를 주최해야 한다. 그래서 많은 팀들이 2등을 하기 위해서 굉장히 노력을 한다.

역대 Café-Olympiade 우승 팀
23년 우승 팀: Mathecafé
24년 우승 팀: Café A

6. 여담

01. TU의 줄임말이 Technische Universität(기술대학)이 아닌 Technisch Unmöglich(기술적 불가능)이라고 재학생들은 말할정도로, 학교 내 인터넷이 굉장히 느리고, 서버가 잘 안 터지곤 한다.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Technisch Unmöglich 티셔츠와 이모티콘도 있다.

02. 학교에 Brötchenmann(빵아저씨)가 있다. 저렴한 가격에 아저씨가 샌드위치를 직접 만들어 캠퍼스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샌드위치를 파신다. 대표적으로 EB 건물과 Café A 그리고 Café Shila에 자주 나타나신다.

03. Südcampus에 있는 학생카페와 학생회들과 Nordcampus에 있는 학생카페와 학생회는 사이가 그렇게 좋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매학기 개강파티도 따로 개최한다.

04. 학교에 누수 피해를 입은 건물이 굉장히 많이 있다. 학생들은 이를 풍자하기 위해 건물 빙고판을 만들어 누수 피해를 입은 건물 빙고게임을 했고, 빙고가 완성되었다. 24년 여름학기에 학교 건물을 재정비 해달라는 학생들의 데모가 있기도 했다.

05. 22년 여름 또는 겨울학기에 어떤 정신 나간 사람이 수학과 건물 화장실 세면대에 시멘트를 붓고 물을 틀어 놓아서 주말동안 건물 한쪽이 완전히 침수 그리고 전기 나감. 현재까지 수학과 건물을 건물 한쪽을 사용하지 못 함. 23년 여름학기에 전기 공사를 한다고 건물을 폐쇄했었지만 달라진 건 없음. 건물 오픈 시간은 일몰 시간에 맞춰져 있어서, 여름에는 그래도 22시까지 오픈하지만 겨울에는 16시에 문을 닫는다.

06. Charlottenburg 캠퍼스에는 5개의 Mensa(학생식당)[26]이 있었다. Cafeteria Skyline TU[27] Mensa TU Hardenbergstraße[28], 비건 멘자[29], 건축학과 건물 멘자[30] 그리고 Mar 건물 멘자[31]. 현재는 4개가 운영된다. 외에도 메인 건물에 Cafe Wetterleuchten[32] 그리고 멘자 푸드 트럭이 있다.

07. 대부분의 한국인 학생들은 멘자 음식이 맛이 없어서 도시락을 싸서 다니거나 음식 배달을 해서 먹는다.

08. MA 건물 땅층에 인도분이 운영하는 카페테리아가 있다. 커리가 꽤나 맛이 있다만 가격이 조금 높고[33] 현금 또는 Debit 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하다. VW 도서관 땅층에도 카페테리아가 있다. 여기는 파스타와 호두 파이가 맛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격이 조금 높고 현금으로만 결제가 가능하다. 멘자 조각케이크[34]도 꽤나 맛이 괜찮다.

7. 출신인물

저명한 동문으로는 헝가리의 물리학자이자 1961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유진 바그너[35], 질소의 합성법으로 유명한 프리츠 하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있는데,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자지만 베를린 공과대학에서 기계공학 석사과정을 이수했다고 한다. 또 로켓공학의 아버지로 유명한 베르너 폰 브라운도 이학교에서 학위를 마쳤다.

[1] TUB Corporate Design Manual 참고[2] TU9 참조[3] 전세계 55위[4] #[5] 4학기제[6] 베를린 공과대학교의 복잡한 역사로 인하여 위키피디아에서 설립연도는 1770/1799/1879/1946(전쟁후 재개교)으로 표기된다.[7] 공과대학교라고 하지만 한국의 포항공대, 카이스트같은 학교같은 개념과는 편제가 조금 달라서 인문사회 및 교육대학, 경영대학등이 단과대학등도 대학교 안에 소속되어 있다.[8] 1799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명으로 설립[9] 1827년 설립[10] Zoologischer Garten Berlin[11] Siegessäule[12]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목공실이 있다.[13] 남쪽과 북쪽 막론하고 대부분의 학생 카페와 학생회가 싫어한다.[14] DJ 시설이 있디.[15] 카페 전체에 곰팡이가 서려 몇 달간 문을 닫은 적이 있음[16] 영화를 상영회 주는 학생회로 최신작도 많이 상영해 준다. 팝콘 기계도 있어 갓 튀겨진 팝콘(Salz oder Süß)을 1유로에 사서 먹을 수 있다.[17] HiLife-Treff > Mathe café > Chez Phil, 이름을 자주 바꿔서 정확한 명칭을 모르겠다. MA 건물 8층에 위치한 수학과 학생카페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마테카페라고 부른다.[18] Südcampus에 위치해 있지만 모든 행사를 Nordcampus와 함께 함, 당구대가 있는 유일한 카페로 알고 있다.[19] 환경 보호 관련 학생회[20] 베를린으로 교환학생하러 온 학생들을 위한 행사를 주최하는 학생회[21] TEL 건물 스프링클러 오작동으로 건물 폐쇄로 카페도 현재 폐쇄[22] 학생들이 자전거를 스스로 고칠 수 있는 곳, 부품도 판매[23] 달걀과 숟가락 경주[24] 보물찾기[25] 골드버그 장치 만들기[26] 파스타면을 직접 뽑는데, 가끔 면을 뽑는 걸 볼 수도 있다. volkor면은 엄청 찐득찐득해서 학생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수제 파스타 면이라는 약간의 자부심이 있는 거 같다.[27] TEL 건물 20층에 위치한 멘자로 뷰가 정말 예쁘고, 햄버거를 먹을 수 있는 유일한 멘자지만 햄버거 가격이 매우 사악하다, 현재는 TEL 건물 침수로 문 닫았다.[28] 이지만 모두 메인멘자라고 부른다.[29] 메인멘자와 같은 건물 땅층에 위치, 야외에서도 먹을 수 있어 여름에 특히 북적인다.[30] 메뉴가 파스타 하나라고 체감 될 정도로 파스타만 나온다.[31] 샐러드, 케이크, 샐러드 등등의 메뉴가 다른 멘자에 비해서 퀄리티가 좋다.[32] 특정 요일에는 Döner를 파는데 퀄리티가 나쁘지 않다.[33] 멘자보다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뜻. 당연 외부보다는 저렴하다.[34] Schoko-Banana,Johannisbeeren,Karotten,Zitronen 등등[35] 12세의 폰 노이만으로부터 13세의 바그너가 정수론을 배운것은 유명한 일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