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olding [ 전 멤버 ]
- [ 음반 목록 ]
- ||<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EQUALIZEHE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ff5347"Baby V.O.X II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e9939e"Come Come Come Bab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B2D9; color: #000"Wh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634f4e"<nopad> <nopad> Boyish Stor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00; color: #f8f9eb"Baby V.O.X Special Albu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bd9957"Devotio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c6003e"Ride Wes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fff; color: #6e3a68"
1. 개요
베이비복스의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 사실 아래 문서에서 보면 알 수 있지만 베이비복스는 사건사고가 전부 피해자인 경우다. 그룹으로써 딱히 피해를 일으킨 적은 없는데다 멤버들 개개인도 일부 멤버들이 사건사고가 있었다 한들 사회면에 실릴만한 큰 문제를 일으킨 적은 없다.2. 안티팬 피해
베이비복스는 사실상 당시 활동했던 모든 남자 아이돌[1] 팬들의 공공의 적이나 다름없었다. 안티 없는 가수 없다지만[2] 베이비복스는 그 당시의 극성팬들이 많았던 문화를 감안해도 정도가 지나쳤고 그야말로 '팬을 제외한 나머지가 다 안티'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극심한 안티에 시달렸다.[3] 베이비복스가 해체한 후에도 악명이 전해질 정도다.당시 안티들은 대부분 남자 아이돌을 덕질하는 여학생들이었는데[4], 그 또래 어린 학생들은 미숙한 사회 경험과 정신 상태를 갖고 있기도 해서 더 안티 문화에 쉽게 물들곤 했다. 게다가 인터넷 문화 초창기 특성상 가짜뉴스와 음모론은 범람하는데 그걸 제대로 여과하지 못했으며[5] 거기에 가짜 정보를 접한 이들이 다시 친구들 사이에 입소문을 퍼트리니 베이비복스가 진짜 나쁜 그룹이라고 믿게 되는 것이다.
2017년 2월, 베이비복스 활동 당시 팬이었던 사람이 당시 팬 생활을 하면서 털어놓은 고충글@을 올렸는데 베이비복스의 데뷔 초부터 공방을 다니는 등 꽤 열성 팬이었다고 하며, 데뷔 연차가 차면서 여성 팬들이 늘어나긴 했지만 데뷔 초창기에는 현장에 거의 없던 어린 여성 팬이라 베이비복스 멤버들이 알아보고 챙겨주기까지 했던 골수팬이었다고 한다. 이 당시의 충격이 너무 커서 이 글쓴이뿐만 아니라 거의 30년이 지난 지금도 당시 팬들 중에서는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글쓴이의 탈덕 이유가 "언니들이 한국 팬들 보면 테러 당하던 시절이 생각나는 게 보여서"라고 했으니 말 다 했다.
2.1. 문희준 극성 팬의 간미연 살해 협박
1999년 여름, 사회적 파문이 일었던 간미연 살해 협박 사건 |
1999년 9월 11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 자료 |
극성 H.O.T. 팬들의 협박 편지 {{{#!folding [ 펼치기 · 접기 혐오주의 ] |
1999년,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H.O.T.의 문희준과 간미연의 열애설 루머로 인해 다량의 협박 편지가 배달된 사건이 언론에 보도되며, 아이돌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이들의 존재가 각인됐었다. 1세대 사생팬이 일으킨 사건들 중 가장 유명한 사건 중 하나로 주로 다량의 커터칼, "죽여버리겠다"는 내용의 혈서, 간미연의 눈을 모조리 파낸 사진을 보냈다.
뉴스 등에서 이 사건이 사회적인 문제로 수면 위로 떠오르자 극성팬들은 간미연이 꾸민 자작극이라며 헛소문을 퍼트렸는데, "간미연 혈서 사건이 국과수 조사 결과 매니저의 혈흔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야간 뉴스에 보도되었는데 베이비복스 측에서 무슨 수작을 부린건지 그 소식이 추가로 더 보도되지 않았다. 우리가 잘못한 것도 있긴 한데 베이비복스 쪽에서도 이 일을 이용했다"며 조직적으로 이들의 활동에 지장을 주자 해당 학생을 고소할 뻔한 사건이 있었다. 물론 베이비복스가 이들의 처벌을 원하지 않아 선처했다. 당시에는 실제로 이를 믿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상식적으로 지상파 3사 메인 뉴스에 보도된 사건이 자작극이었다면 어느 언론에서도 반론을 보도하지 않았을 것이다.
SNS도 활발하고 연예인들이 악플을 읽어보는 이야기도 쉽게 하는 요즘과 달리, 당시는 아이돌의 경우 자신들의 팬클럽 외엔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 분위기가 일반적이었다. 그래서 아이돌들은 인터넷으로 팬사이트만 확인한다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다 보니 안티들의 공격이 단순히 악플이나 루머 양산, 안티카페 개설 등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직접적인 신체적 위협(폭행, 의상 훼손)이나 협박(살해 협박)처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기도 했다.[6]
한 네티즌이 H.O.T 팬클럽의 공지사항을 유출하면서 H.O.T 팬클럽에서 현재까지도 주장하고 있던 혈서 사건 자작극 및 야간 뉴스 보도설은 사실무근의 루머인 것으로 밝혀졌다. #
2.2. 이외 피해 사례
공개 방송마다 수백 명의 남자 아이돌 극성팬들이 다 같이 베이비복스를 향해 "꺼져라", 혹은 입에 담기도 힘든 욕설로 야유하는 일이 많았는데 급기야 2000년 7월 MBC TV 생방송 음악캠프에서 신화 팬[7]들이 단체로 이들을 향해 욕설 테러를 저질렀다. 당시 이를 보다 못한 MBC는 소속사의 팬덤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물어 신화에게 일시 출연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렸고, 이로 인해 바로 다음 주차 음악캠프 출연이 취소된 것은 물론 및 차트 집계에서도 열외되었다.
{{{#!folding [ 관련 글 펼치기 · 접기 ] |
이외에도 풍선을 밑으로 숨긴다든지, 고개를 단체로 숙인다든지, 소위 '텐미닛'[8]을 한다든지, 공개 방송이든, 콘서트든 꾸준히 계속되던 엽기적인 행각을 벌였다. #
앞서 언급했지만 베이비복스의 출근길에 본인이 좋아하는 남자 아이돌의 스케줄이 없어도 찾아와서 음란 사진, 칼을 종류별로 집어넣어 협박하는 일이 많았는데, 죽으라는 협박문과 혈서 역시 일상다반사였다. 이외에도 숙소에 개, 고양이 시체를 보내 매니저나 팬들이 치우는 일도 자주 있었다. 특히 베이비복스 멤버들에게 면도칼을 숨긴 손으로 악수를 청해 상해를 입히는 일도 있었다. # # #
출근길 안티들의 행각이 끊이지 않자 당시 16살이었던 윤은혜는 차에서 한동안 내려오지 않다가, 결국 매니저한테 거의 질질 끌려나오면서 울음을 터뜨리며 오늘은 무대를 서지 않으면 안 되냐고 애걸복걸. 그날도 결국 안티들이 무대 위에서 중지 손가락을 올리고 호응 없이 침묵이 이어졌다. #
H.O.T. 팬들의 황산 테러 위협에 결국 베이비복스 멤버들은 팬들에게 "걱정되니까 공개방송 오지 말라"고 당부하는 일이 벌어졌다.
자신의 신상까지 올리며 찾아가서 베이비복스를 죽이겠다는 글을 지속적으로 올렸던 안티팬이 있는데, 간미연을 비방하는 글과 테러 위협 메시지를 담은 디스켓에 자신의 이름과 주소 등이 적힌 편지까지 전달하는 등 대범하게 이들을 협박하기 시작했다는 것. 한 관계자는 "그동안 수 차례 테러 위협이 있어도 철 없는 학생의 소행이겠거니 하며 그냥 넘겼는데 최근엔 자신의 소재까지 밝히며 '한 번 해보자'는 식으로 나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며 "이들은 베이비복스가 다시 활동을 시작하자 '간미연 사건'은 자작극이란 소문을 퍼뜨리며 조직적으로 활동을 방해해와 진실을 밝히는 차원에서 경찰에 알렸다"고 말했다. #
괴한이 윤은혜에게 간장, 식초, 고춧가루, 후추, 모래 등 이물질을 넣은 물총을 눈에 쏘아 실명 위기까지 갈 뻔 했다.
결국 베이비복스 멤버들이 이런 테러를 함께 겪은 팬들에게 "앞으로는 공부 열심히 하고 좋은 기억 못 줘서 미안하다. 우리보다 더 유명한 사람 좋아해"라고 사과하는 지경까지 갔다.
폭로글에 대해 반론은커녕 당시를 기억하는 더 많은 사람들의 증언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여기저기서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H.O.T.의 멤버 문희준의 한 팬이 베이비복스와 그들의 팬을 '일본군 위안부'에 빗댄 댓글이 또 논란이 되기도 했다. 아직도 추억팔이만 할 뿐 사과는커녕 일말의 반성조차 하지 않은 것이다.
보이그룹 팬들의 견제가 심했던 1세대 걸그룹들 중에서도 베이비복스가 한 단계 위의 타겟이 된 배경에는, 당시 아이돌 걸그룹 중 드문 섹시 컨셉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도 한 몫 했다. 물론 지금 와서 보면 걸 크러시적 요소도 있던 베이비복스가 여성 팬들에게 외면받았던 현상은 아이러니하기도 하지만[9], 당시엔 걸 크러시 개념도 확실히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인지라 섹시 이미지가 더 강한 그룹이었고, 아직 미성년자인 멤버가 있어 대놓고 섹시 컨셉으로 갈 수는 없는 그 애매한 간격차에서 보이그룹 팬덤의 표적이 되었다. 당시만 해도 요정 컨셉의 핑클이나 S.E.S.는 상대적으로 순수하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이들을 공격하는 보이그룹 팬들을 '빠순이'라고 지칭해 비난할 여지라도 만들 수 있었지만 베이비복스는 팬덤에 비해 안티가 너무 많다보니 팬덤이 상대적으러 미약했고 지금보다 보수적인 당시 기준으론 일반 기성세대에게도 불량한 이미지 따위로 비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안티들이 더 날뛴 것도 있었으니 어찌보면 시대를 앞서간게 죄라면 죄였다.
3. 이하늘의 비하
4. 해외 활동 중 사건 사고
의 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H.O.T., 젝스키스, 신화 등.[2] 이 문서에서는 베이비복스가 입은 피해만 서술했지만, 당시에는 H.O.T. vs. 젝스키스 등 서로 다른 보이그룹 팬덤 간에 집단난투극까지 벌어질 정도로 극심했다.#[3] 2집 때까진 멤버들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할 정도는 아니었으나 문희준과 간미연의 열애설 루머가 터진 1999년 3집 활동 중반부터 2000년 4집 활동 시기에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 시기에는 간미연이 멤버들에게 울면서 미안해할 정도였으며, 이후 베이비복스가 해외 활동을 시작하면서 점차 줄어들게 된다.[4] 사실 지금도 그렇지만 아이돌 문화 자체가 남자보다 여자팬이 많은 구도긴 하다. 덕분에 걸그룹은 성비가 그나마 적당한 반면, 보이그룹은 극단적 여초인 경우도 빈번하다.[5] 이때만 해도 가정용 PC 자체가 없거나 인터넷이 안되던 집도 제법 있었고, 설치한 집도 갓 생겨난 포털 사이트 내용도 부실하고 법적, 제도적 장치도 미비하던 시절이다보니 찌라시, 루머 등을 반박할 근거를 구하는 것도 힘들었다. 그 밖에도 연예인, 특히 걸그룹 관련 키워드는 검색시 안티 사이트들이 최상단을 차지했다.[6] 문희준 갤러리에 올라온 당시 베이비복스 팬의 회상글. #[7] 1TYM, 클릭비 팬덤에서 시작된 야유가 신화창조 부산경남 팬들로 번진 케이스로, 원인은 당시 방송국의 방청석 배정과 관련해 원활하지 못한 일처리 때문이었다. 이때문에 애꿎은 베이비복스에게까지 불똥이 튀어버렸으며, 이는 당연히 해서는 안될 일이었다.#[8] 공연장에 싫어하는 연예인이 나올 때 단체로 약 1분간 아무 응원 없이 침묵하는 것.[9] 심지어 1집 EQUALIZEHER는 대놓고 페미니즘을 표방한 앨범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웃픈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