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8:37:46

북한 신형 방공구축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파일:인민군 해군 선수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정 <colbgcolor=#fefefe,#2d2f34>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어뢰정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청진급 공습 어뢰정
경비정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고속정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용도급 연안 고속정, 농어급, 해삼급, 신형 대잠 고속정, 신형 미사일 고속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초계함 사리원급, 트랄급U
호위함 서호급,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구축함 나진급, {북한 신형 방공구축함}
상륙정 LCM/LCU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LCVP 남포급 LCVP
LCPA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소해함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구조함 고원급
기타 대동-B급 반잠수정, 인간어뢰
※ 윗첨자U: 상태 불명
황색 글자: 퇴역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북한방공호위함.jpg
파일:북한방공구축함2.jpg
파일:북한방공구축함1.jpg
1. 개요2. 제원3. 상세
3.1. 러시아로부터 기술이전설
4. 동형함 및 현황5.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인민군 해군이 2024년 12월 30일 공개한 신형 방공구축함.

2. 제원

약 3,000톤 ~ 5,000톤급으로 추정되며,[1] 함교에 위상배열 레이더 장착 위치가 있고 함교 앞 A포지션에 VLS 장착 위치가 있어 전문가들은 방공구축함으로 판단하고 있다.

VLS에 장착될 함대공 미사일로서는 번개-5조선인민군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가 장착될 것으로 짐작된다.


해당 구축함에 대한 조종의 분석

형상은 알레이 버크급, 세종대왕급, 055형 같은 전형적인 고성능 방공구축함 형상이다. 사진에선 잘 안보이지만 배 뒷부분도 이들과 유사한 구조다.[2]

파일:북한 76mm 함포.png
북한이 2021년 10월 11일 무기전시회에서 공개한 스텔스 포탑이 탑재될 것으로 추정된다.

3. 상세

2024년 2월 김정은이 남포조선소를 현지 시찰할 때 처음 건조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진수 직전 상태인 것을 김정은이 시찰하는 모습이 2024년 12월 30일 북한 매체를 통해 공개되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 해군의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과 유사한 성능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북한의 열악한 경제 특성상 제대로 굴릴지는 의문. 전투기 날릴 기름도 없어서 비행훈련도 제대로 못 하는 게 현실인지라 그저 선전용일 수도 있다.

3.1. 러시아로부터 기술이전설

북한군은 러시아 파병의 대가로 군사장비를 지원받고 있는데, 해당 함정 역시 러시아의 기술을 받았거나 러시아제 장비로 무장할 가능성이 높다.

4. 동형함 및 현황

5. 여담

국내에선 북지스함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정황상 나진급을 대체하는 차기 기함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사진에 김정은 등 사람들의 크기로 판단할 때 세종대왕급 구축함과 비슷한 최대 8,000톤 ~ 10,000톤급까지도 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2] 다만 해당 구축함은 후방 구조물 중간에 뻥 뚫린 곳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