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7 15:44:59

붙을 점에서 넘어옴
붙을 점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5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ネン
일본어 훈독
ねば-る
-
표준 중국어
nián, zh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용례3.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粘은 '붙을 점'이라는 한자로, '붙다', '끈끈하다' 등을 뜻한다.

뜻을 나타내는 쌀 미()와 소리를 나타내는 점령할/점칠 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국어 독음과 중국어 및 일본어에서의 독음이 이질적인 이유는 '점' 쪽이 속음이기 때문이다. 본래 이 음은 한국 한자음에서 '념'으로 전사되어야 했으나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점(占)의 음을 일반적인 제자원리에 따라 취음하는 바람에 와음되어 '점'이 되었다. '메기 점()' 자에서도 이런 와음이 발생했다.

유니코드에는 U+7C9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火木卜口(FDYR)로 입력한다.

2. 용례

2.1. 단어

2.2. 창작물

2.3. 중국어

읽는 법이 Nián, zhān으로 두 가지인데, 대문자가 있는 것을 보면 짐작하겠지만 Nián은 중국의 성씨로 쓰일 때의 발음이며, 일반적으로는 zhān으로 읽는다. 한자사전을 찾아보면 '붙을 점'뿐만 아니라 '붙을 념'이라는 훈음도 존재한다. Nián은 바로 이 때의 발음이다.

2.4. 일본어

각종 사전을 찾아보면 훈독이 ねばる밖에 안 나와 있지만, 사실 ねばい(粘い, 끈적하다)나 ねばっこい(粘っこい, 끈적하다)라는 い형용사가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점'으로 읽으면 음독이 てん이나 でん 정도(극히 일부 せん)가 될 법한데, 특이하게도 ねん이다. 원래 粘의 음은 '점'이 아니라 '념'이었는데 이 때문으로 보인다.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接着(접착), 接着劑(접착제)를 잘못 쓴 것이 아니다. 사용 빈도는 떨어지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한자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