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5:13:08

유니코드 BE48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ㅂ+ㅣ+ㄴ
두벌식QWERTY qls
세벌식 최종–QWERTY ;ds

1. 오스트리아의 수도2. 베트남의 도시3. 한국의 성씨4. 인명
4.1. 실존 인물4.2. 가상 인물
5. 궁중 용어 6. 아랍 이름에 쓰이는 '~의 아들'이라는 단어

1. 오스트리아의 수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빈(오스트리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빈(오스트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빈(오스트리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베트남의 도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a251d>
파일:베트남 국장.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앙직할시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 城舗直屬中央
[[하노이|파일:하노이시 문장.svg
하노이시
Tp. Hà Nội | 河內
]]
[[하이퐁시|파일:Logo_thành_phố_Hải_Phòng.png
하이퐁시
Tp. Hải Phòng | 海防
]]
[[호찌민시|파일:호찌민시 문장.svg
호찌민시
Tp. Hồ Chí Minh | 胡志明
]]
[[다낭시|파일:다낭시 문장.svg
다낭시
Tp. Đà Nẵng | 沱㶞
]]
[[껀터시|파일:05. 껀터시.png
껀터시
Tp. Cần Thơ | 芹苴
]]
[[후에|파일:Logo_thành_phố_Huế.svg.png
후에시
Tp. Huế | 化
]]

Tỉnh | 省
북부
[[디엔비엔성|파일:Logo_tỉnh_Điện_Biên.svg
디엔비엔성
Điện Biên | 奠邊
]]
[[라이쩌우성|파일:19. 라이쩌우성.png
라이쩌우성
Lai Châu | 萊州
]]
[[라오까이성|파일:15. 라오까이성.png
라오까이성
Lào Cai | 老街
]]
[[선라성|파일:20. 선라성.png
선라성
Sơn La | 山羅
]]
[[뚜옌꽝성|파일:14. 뚜옌꽝성.png
뚜옌꽝성
Tuyên Quang | 宣光
]]
[[푸토성|파일:11. 푸토성.png
푸토성
Phú Thọ | 富壽
]]
[[타이응우옌성|파일:13. 타이응우옌성.png
타이응우옌성
Thái Nguyên | 太原
]]
[[까오방성|파일:08. 까오방성.png
까오방성
Cao Bằng | 高平
]]
[[랑선성|파일:10. 랑선성.png
랑선성
Lạng Sơn | 諒山
]]
[[꽝닌성|파일:12. 꽝닌성.png
꽝닌성
Quảng Ninh | 廣寧
]]
[[박닌성|파일:21. 박닌성.png
박닌성
Bắc Ninh | 北寧
]]
[[흥옌성|파일:24. 흥옌성.png
흥옌성
Hưng Yên | 興安
]]
[[닌빈성|파일:26. 닌빈성.png
닌빈성
Ninh Bình | 寧平
]]
중부
[[타인호아성|파일:34. 타인호아성.png
타인호아성
Thanh Hóa | 淸化
]]
[[응에안성|파일:31. 응에안성.png
응에안성
Nghệ An | 乂安
]]
[[하띤성|파일:30. 하띤성.png
하띤성
Hà Tĩnh | 河靜
]]
[[꽝찌성|파일:33. 꽝찌성.png
꽝찌성
Quảng Trị | 廣治
]]
[[꽝응아이성|파일:47. 꽝응아이성.png
꽝응아이성
Quảng Ngãi | 廣義
]]
[[잘라이성|파일:38. 잘라이성.png
잘라이성
Gia Lai | 嘉萊
]]
[[닥락성|파일:36. 닥락성.png
닥락성
Đắk Lắk | 得樂
]]
[[카인호아성|파일:43. 카인호아성.png
카인호아성
Khánh Hòa | 慶和
]]
[[럼동성|파일:Logo_tỉnh_Lâm_Đồng_(không_chính_thức).png
럼동성
Lâm Đồng | 林同
]]
남부
[[동나이성|파일:51. 동나이성.png
동나이성
Đồng Nai | 同奈
]]
[[떠이닌성|파일:52. 떠이닌성.png
떠이닌성
Tây Ninh | 西寧
]]
[[동탑성|파일:57. 동탑성.png
동탑성
Đồng Tháp | 銅塔
]]
[[빈롱성|파일:29. 빈롱성.png
빈롱성
Vĩnh Long | 永隆
]]
[[안장성|파일:53. 안장성.png
안장성
An Giang | 安江
]]
[[까마우성|파일:56. 까마우성.png
까마우성
Cà Mau | 歌毛
]]
폐지된 성(省)
}}}}}}}}} ||
Vinh ()

베트남 중부에 있는 도시. 응에안 성의 성도이며 바다를 끼고 있다.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호찌민고향도 이 근처에 있다. 또한 베트남 전쟁 당시 통킹만 사건 2차 공격 조작사건 다음 날에 미군이 최초로 북폭을 감행한 곳이기도 하다.

3.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빈(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빈(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빈(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인명

Vin. 영어권에서는 주로 Bean. 간혹 Bin이라고도 한다. 빈센트(Vincent)의 애칭으로도 쓰인다.

한국에서도 쓰이며, 중성적이지만 남자의 비율이 높다.

4.1. 실존 인물

4.2. 가상 인물

5. 궁중 용어

6. 아랍 이름에 쓰이는 '~의 아들'이라는 단어

히브리어의 ''처럼 ~의 아들이라는 단어로 쓰인다. 이스라엘이나 아랍이나 본래에는 성씨가 없었고 사람들을 성씨가 아닌 '○○네 아들 XX'로 구분했다보니 지금도 이름에 '○○네 아들 XX'라는 뜻으로 'XX 빈 ○○'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사우디아라비아인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드 가문의(알) 압둘아지즈의 아들인(빈) 살만'이 된다. 아랍어권이라 해도 걸프 왕정 국가 등지에서나 자주 쓰이지 이라크, 요르단, 시리아에서도 이렇게 이름 짓는 경우는 드물다. 북아프리카권에서도 드물며 기타 이슬람권에서는 말레이시아를 제외하면 이렇게 이름 잘 안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