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슈(아바타 스타 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아바타 스타 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슈(아바타 스타 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주인공: }}}[[슈(아바타 스타 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아바타 스타 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슈(아바타 스타 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플래시 애니메이션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감자도리 | 쿠쿠쿠의 하루인생 | 옹스 | 꼬마 파티쉐 슈 |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 | |
떳다 그녀!! | 라면보이 | 랑카스 | 마시마로 | 묻지마 육남매 | ||
뮤직 스토리 | 밀키 | 뿌까 | 사이버 범죄 예방극장 | 시포 | ||
씽씽씽! 동요나라 | 아바타 스타 슈 | 아이러브에그 | 에그네 하숙집 | 오인용 | ||
우당탕탕 재동이네 | 으쌰으쌰 우비소년 | 졸라맨 | 쿠쿠쿠의 하루인생 | 큐리 스토리 | ||
판타지 개그 | 퐁이 | 포에버스토리 | 플라이스토리 | Animator vs. Animation | ||
Happy Tree Friends | Madness Combat | Nightmare City | The Change | You are an idiot | ||
Eddsworld * | 스위트 발렌타인 | 샤오샤오 | 웨딩드레스 | 꼬라지 * | ||
누야 * | 안전가족 * | |||||
*: 일부 작품이나 회차만 아카이브됨. | }}}}}}}}} |
<colbgcolor=#f9c><colcolor=#ee3086>{{{#!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9c> 아바타 스타 슈 Avatar Star Sue | }}} | |
<nopad> | |||
제작 | 2002년 | ||
제작사 | 해태제과 | ||
링크 |
1. 개요
Avata Star Sue[3]슈비리두비루밥 샬랄랄라~♪내 이름은 슈! 내 이름은 슈! 나는야 아바타 스타~ 슈!
주제곡의 상징적인 가락. 주로 슈가 변신할 때 배경음악으로 재생된다.
해태제과에서 운영하는 저연령 대상 웹 콘텐츠 사이트 아이부라보에서 2002년 11월부터 2010년까지 출시된 미디어 프랜차이즈. 아바타 스타인 '수희'가 주인공이며 정체를 숨기고 '슈'로 변신하여 연예인 생활을 하는 중에 방송국, 학교 등에서 겪는 여러 사건들이 주 내용이다.주제곡의 상징적인 가락. 주로 슈가 변신할 때 배경음악으로 재생된다.
2005년부터 연재된 애니메이션은 4시즌 총 52편[4]으로, 마지막 편은 추석 에피소드 '웃기는 송편!'으로 완결되었다. '어떡해'를 '어떻해'라고 쓰는 등 맞춤법 오류가 잦다.[5] 이후 후속작 꼬마 파티쉐 슈가 연재되었다.[6]
2. 특징
주인공 슈와 그 주변 인물들의 나이는 초등학교 3학년(만 8~9세)이다. 그러나 요술봉을 가지고 변신해서 유명 아이돌이 된 순간 초등학생이라는 사실을 도저히 믿기 힘든 캐릭터가 된다. 만 나이로 아직도 한 자릿수 나이인 초등학교 3학년이면 2차 성징이 안 올 나이다. 그렇지만 변신 후 모습은 14~22세 정도의 여성의 모습이 된다. 그리고 청소년 남성 팬들까지 보유하고 있다. 초등학생 여자아이가 요술봉으로 변신해서 아이돌을 한다는 점은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와 닮았다.오토바이 운전까지 하는 등 도저히 초등학생 3학년이라고 보기 어려운 행동들을 많이 한다. 애초에 아이돌일 수 있는 나이도 현실적으로 중학생은 돼야 가능하다. 초등학생들을 타깃으로 한 캐릭터인 만큼 나이가 어리다. 외모도 초등학생이 아닌 거의 중고등학생 정도로 보인다.
2000년대 초기의 초등학생들[7]을 타깃으로 삼았는데[8] 야후! 꾸러기와 쥬니어네이버 등 어린이 포털 사이트에서 애니가 연재되고 게임이 제공되며 많은 인기를 누렸다. 동시에 과자의 매출을 올리는 것에도 영향을 줬으니 대성공한 셈이다. 그 세대 최고의 아이돌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알록달록하고 반짝이는 패션 센스 등이 잘 드러난다. 마법소녀라는 컨셉과 주변 등장인물들의 포지션 등을 보면 비슷한 시기에 유행했던 카드캡터 사쿠라와 흡사한 부분이 많아 상당수 영향을 많이 받은듯하며 1990년대~2000년 초에 이름을 날리던 윙크나 밍크같은 순정만화 잡지 및 동갑내기 과외하기같은 여성향 인터넷 소설에서 흔히 보이던 구도 또한 상당수 참고한 점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특히 슈의 스타일은 당시 솔로 데뷔 2년차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효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그 중 이효리의 대표곡 텐미닛의 스타일링을 많이 했다.[9]
당시 저연령층의 유저들은 대부분 플래시 게임이나 쇼크웨이브 게임을 주로 즐겼던 데다 아이부라보와 함께 슈게임 및 애니가 같이 서비스되었던 쥬니어네이버가 당시 이들이 야후! 꾸러기, 플래시365 등과 함께 많이 이용하던 게임 사이트였다 보니 나름대로의 인기와 팬들을 유입하는 데 성공했으며 당시 아이부라보닷컴의 캐릭터들 중에서도 가장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그 덕에 출시된 지 무려 17년이 지났음에도 서비스가 종료되지도 않고 추억의 게임으로 자리잡으면서 지금까지도 찾는 사람들이 많으며 스핀오프 후속작까지 만들어졌다. 플래시의 지원이 종료되고 아이부라보의 서비스가 종료된 현재까지도 1990년대까지 출생한 원조 팬들에겐 추억을, 신세대 팬들에게도 끝없는 인기를 누리고 있는 작품으로, 여전히 유지되는 폭발적인 인기는 원작자인 해태제과를 놀라게 할 정도였고, 결국 인스타그램까지 개설되게 되어 현재까지도 계속 유지 중이다.
3. 스토리
슈가 아바타 스타로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여러 사건들이 주된 내용으로, 문제가 발생하면 마법의 요술봉으로 변신하여 사건들을 해결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진다.[10] 에피소드는 대부분 옴니버스 식으로 구성된다.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바타 스타 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바타 스타 슈/등장인물#|]][[아바타 스타 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에피소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바타 스타 슈/에피소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바타 스타 슈/에피소드#|]][[아바타 스타 슈/에피소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일단 아바타스타 슈송이 공식 주제가이긴 하지만 에피소드 시작 전에 쓰이지도 않으며 보통 변신 장면에서 짤막한 BGM으로 쓰인다. 엔딩은 없다. 앞서 얘기한 슈 응원송도 있다. 듣고 싶다면 쥬니어네이버나 유튜브에서 찾아봐도 좋지만 현재 쥬니어네이버는 게임랜드 서비스가 끝나서 유튜브에서 찾아야 한다.변신 가사 - 슈비리두비루밥 샤랄랄라~ 살라!/ 슈비리두비루밥 샤랄랄라~ 살라!/ 내 이름은 슈! 내 이름은 슈! 슈~ 슈!/ 두근두근 오늘은 또 어떤 일이 기다릴까/ 달콤한 나의 첫사랑이 찾아오진 않을까~/ 동화 속 마법처럼 신비로운 변신의 비밀~/ 아무도 모르게 간직한 또다른 내 모습/ 화려한 조명과 무대 위에 나는 아바타 스타/ 날 사랑하는 친구들이 있어 언제나 행복해~/ 슈비리두비루밥 샤랄랄라~ 살라!/ 슈비리두비루밥 샤랄랄라~ 살라!/ 슈비리두비루밥 샤랄랄라~ 살라! / 내 이름은 슈! 내 이름은 슈!/ 내 이름은 슈! 내 이름은 슈!/ 모두의 친구~ 슈~/ 나는야 아바타 스타~ 슈![11]
2006 한국축구 화이팅 가사 - 눈부신 필드에서 ~ 승리를 외칠 때~면/ 난 항상 너를 불러~ 희망의 요정인 너~/ 슈! 날아올라~/ 저 멀리 날아올라~!/ 우리의 외침을 하늘 높이 쏘아 올려라~/ 아바타 스타 슈! 슈! (대한민국~!) / 모두 일어나~ 외쳐봐!/ 아바타 스타 슈! / 승리 위해~/ 노랠 부르자~
7. 미디어 믹스
- 엄청난 인기 때문인지 슈 조립인형을 출시해서 직접 판매하기도 했는데 변신소품 안에 들어있는 포토카드를 10장 모으면 슈 인형을 하나 더 주기도 했다. #
- 2024년 6월 말 화장품 브랜드 아이소이에서 '슈-퍼위크'라는 이름으로 슈게임과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다. 이때 '슈-퍼티콘'이라는 이름의 이모티콘도 만들었는데 하루만에 다 팔렸다.
7.1. 슈게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슈게임#|]][[슈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기타
- 쥬니어네이버의 게임랜드에 슈 게임 항목에도 늘 아바타 스타 슈 에피소드를 업데이트하곤 했지만 에피소드 중 올라오지 않은 것도 있으며 슈와 빈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이후에는 업데이트하지 않았다. 보통의 플래시 만화와 다르게 관련 게임과 함께 게임랜드에 업데이트했지만 2019년 2월 28일 게임랜드는 서비스를 종료했다. 쥬니어네이버 게임랜드 서비스 종료 발표 이후 현재는 여기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여러 스트리머들이 쥬니어네이버의 슈게임을 플레이하기도 했다.
- 영상을 보다 보면 대부분의 효과음이 에우슈리의 아마유이, 히메가리, 카미도리 등에서 사용했던 것들임을 알 수 있다.
- "슈의 댄스배틀" 편의 첫장면에서 리아의 뒤의 배경을 잘보면 영어로 시부야라고 적힌 간판과 일본어들이 보인다.
- 마법소녀 주인공이 변신으로 어른이 되어 정체를 숨겨 가수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 출시 당시 비슷한 시기에 한국에서 방영되었던 달빛천사, 쏙 빠져들 것 같아와 설정이 유사하다. 조금더 옛날이라면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팬시라라와도 비슷하다.
-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꽤 있다. # 영어 번역판이 있지도 않고 한국어 그대로라서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진 못했지만 어린 시절 재미있게 플레이해서 향수를 느낀다는 의견이 많으며 이것 때문에 한국어를 공부한 사람도 있었다고 할 정도이다. 팬 위키도 존재한다.
9. 관련 문서
[1] 2024년 6월 22일 계정이 개설됐다. 해태제과와 서로 팔로우했다.[2] 당시 해태 아이부라보 직원으로, 슈게임의 개발자. 즉, 슈 양 어머니 되시는 분이다. 슈게임을 만들기 전에는 으나, 냐미쩌비 등 다른 게임도 만들었다. 게시글 내 본인 댓글의 설명에 의하면, 셋째 임신 후 육아에 전념하기 위해 자진 퇴사하였기 때문에 2006년 이후 갱신이 없었다가 16년 후인 2022년 블로그에 슈게임 20주년 기념 소감 게시글이 올라왔다. 현재는 2007년생 딸을 포함, 세 명의 자녀를 둔 어머니가 되었다.[3] 오타가 아닌 정식 명칭이다. 옳은 표기법은 Avatar Star Sue.[4] 그 중 두(아바타스타 슈송, 슈응원쏭♬~) 편은 그냥 단순히 뮤직비디오라 정확히는 50편이다.[5] 2024년 인스타로 컴백 이후 그런 실수는 더이상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6] 연재 시점이 원작자 핑크빛겜의 해태 아이부라보 퇴사 시기와 겹치는데, 아마 핑크빛겜의 퇴사 이후 더이상 아바타스타 슈의 신작을 만들 수가 없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7] 주로 여아[8] 199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이걸 많이 떠올릴 것이다.[9] 슈게임 화장하기에서는 겨울연가 패러디 헤어스타일도 있는데 이 때는 최지우의 영향도 받았다. 그리고 슈게임 뮤직비디오에서는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임수정이 분한 캐릭터의 패러디 스타일링이 있는데 이로 보아 2000년대에 인기를 끌었던 여자 연예인들 대부분의 영향을 받은듯 보인다.[10] 슈 대신 사물이 변신하기도 하고, 요술봉을 쓰지 않는 편도 많다.[11] 자세한 내용은 아바타스타 슈송 문서 참조.[12] 원본글 삭제로 외부 링크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