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01:41:37

건담 빌드 메타버스

빌메에서 넘어옴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c4ff><tablebgcolor=#ffffff,#1f2023><-5>
건프라 배틀 시리즈 (방영순)
||
건담 브레이커 배틀로그 건담 빌드 메타버스 (최신)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ガンダムビルドメタバース
Gundam Build Metaverse
<nopad> 파일:GBMB_kv.jpg
{{{#010101,#01010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c4ff,#00c4ff><colcolor=#010101,#010101> 장르 배틀, 건담
기획 선라이즈
원작 야타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 오오바리 마사미
시리즈 구성 키무라 노보루
캐릭터 디자인 오카다 히로나(岡田洋奈)
고토 요리코(後藤依子)
교부 잇페이
후미나 디자인 협력 시마다 후미카네
캐릭터 디자인 감독 오오누키 켄이치
메카닉 디자인 오오카와라 쿠니오
에비카와 카네타케
야나세 타카유키
테라시마 신야(寺島慎也)
와시오 나오히로
안도 코타로(스튜디오GS)
음악 하야시 유키
치프 메카 애니메이터 요시야마 유우
기획 협력 반다이 스피리츠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비욘드
제작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소츠
송신 기간 2023. 10. 06. ~ 2023. 10. 20.
스트리밍 건담인포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3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줄거리4. 등장인물
4.1. 전작 등장인물
5. 설정
5.1. 기체5.2. 세계관
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평가9. 기타

1. 개요

건프라 배틀 시리즈의 빌드 시리즈 10주년 기념 단편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오바리 마사미, 첫 공개는 2023년 10월 6일.

2. 공개 정보

건담 메타버스 프로젝트에서 이미지화된 세계관의 영상 작품으로 메타버스의 세계이기 때문에 실현할 수 있는 꿈의 경연이 그려진다. 건담 빌드 시리즈의 10주년 기획으로 애니메이션, 건프라, 건담 메타버스 프로젝트가 연동하여 전개된다.

2.1. PV

티저 PV
PV

3. 줄거리

건담 빌드 메타버스 스토리 한국어 소개
건프라 세상의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가 탄생했다. 메타버스 공간으로 유저들은 자신의 분신인 아바타를 움직여, 다른 유저들과의 교류와 건프라 배틀 등을 하며, 실제로 건프라를 구입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 새로운 세계로 뛰어든 소년 호조 리오는, 현실 세계에서 우르츠키 세리아로부터 건프라 빌드의 기술을 배우며, 메타버스 세계에서는 마스크 레이디로부터 건프라 배틀의 노하우를 익히며 연마하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자신만의 오리지널 건프라 「라 건담」을 완성하게 된 리오는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옛 시절 건프라 배틀의 강자들과 만나게 된다.

4. 등장인물

4.1. 전작 등장인물

파일:빌드 메타버스 전작.jpg
각 화별 등장 인물은 다음과 같다.

5. 설정

5.1. 기체

[ 코어 건담 II+ 설정화: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50%> 파일:코어건담투플1.png ||<width=50%> 파일:코어건담투플2.png ||
}}} ||
[ 백팩 미착용 설정화: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50%> 파일:어메이징발바1.png ||<width=50%> 파일:어메이징발바2.png ||
}}} ||

5.2. 세계관

건빌파건빌다와 동일한 세계관인지 아니면 독립적인 세계관인지는 건프라의 모습만으로는 알 수 없었지만 전작의 등장인물들이 나온다는 것이 드러나고 메타버스에 등장하는 미카미 리쿠쿠가 히로토의 설정화가 공개되면서 오히려 건빌파, 건빌다와는 독립적인 세계관이라는 것이 드러났다.1화에서 메이징 카와구치가 제작한 건프라가 전시되어 있다거나, 리오가 팀 배틀을 위해 신청했다가 빌드 다이버스의 리쿠와 사라를 만났을 때 반응과 마스크 레이디의 "유명 유저를 동경하여 같은 아바타, 닉네임을 쓰는 유저가 많다"라는 대사를 고려하여[23], 빌드 메타버스에서 빌드 시리즈의 역대 등장인물은 작중에 존재하는 실존인물이라는 것이 밝혀졌다.[24] 다만 이 경우, EL다이버인 사라의 경우 실제 인간인지, 아니면 메타버스가 구성되기 전에 GBN이 실제로 존재하여 거기서 발생한 EL다이버인지, 혹은 메타버스에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여 탄생한 EL다이버인지는 불명이며, 엔딩 영상에서 나온 프레디도 GBN처럼 실제로 우주에 행성 엘도라가 존재하여 그 사건이 GBN이나 메타버스에서 일어나서 만나게 된 외계인인지, 아니면 그저 아바타를 그렇게 만든 지구의 인물인지가 불명이다.
3화에서 레이지가 지금도 아리안에 거주하고 있다고 밝혀졌는데, 빌파 시리즈, 빌다 시리즈에서 일어난 일들이 빌드 메타버스 세계관에도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고 이 추측이 맞다면 사라와 프레디도 인간이 아닌 EL다이버, 외계인 그대로일 것이다.
건담 빌드 메타버스는 안 좋은 평가로 마무리 되었지만 세계관 특정상 소재와 범위가 넘쳐나는지라 제작진들 입장에서는 메타버스 세계관을 그대로 밀고 가도 이상하지 않다. 게다가 다른 서브컬쳐에서 시리즈 통합 작품올스타즈 제작하는 흐름상 메타버스 세계관이 가장 적합하다. 아니면 세계관을 중심으로 유니버스를 제작하는 쪽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6. 주제가

6.1. OP

OP
ヒカリトカゼ
빛과 바람
TV ver.
Full ver.
<colbgcolor=#00c4ff,#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BACK-ON/TULA(더빙)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c4ff,#010101><colcolor=#212529,#e0e0e0> 콘티 오오바리 마사미
연출 하바라 노부요시
캐릭터 작화감독 오오누키 켄이치
메카 작화감독 요시야마 유우
원화 타카미 아키오, 아리사와 히로시, 타카세 켄이치, 지미 스톤(ジミー・ストーン), 유우겐 RB, 하바라 노부요시, 사노 히로토시, 마츠오 신, 오오바리 마사미, 키쿠치 아키라제2원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6.2. ED

ED
Days of Birth
TV ver.
MV ver.[25]
Full ver.
<colbgcolor=#00c4ff,#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LINKL PLANET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c4ff,#010101><colcolor=#212529,#e0e0e0> 콘티 -
연출 -
캐릭터작화감독 -
메카 작화감독 요시야마 유우
원화 사노 히로토시, 이이지마 히로야(飯島弘也), 에비나 히데카즈(蛯名秀和), 치바 미치노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7. 회차 목록

<rowcolor=#000>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공개일 스트리밍
<rowcolor=#000> 캐릭터 메카닉
#1 DIVE 키무라 노보루 오오바리 마사미
오오고모리 유키히토
(大籠之仁)
오오쿠보 토모
(大久保 朋)
오카다 히로나
(岡田洋奈)
고토 요리코
(後藤依子)
요시야마 유우 2023.10.0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RERISE 효도 카즈호
(兵頭一歩)
이치조지 신
(一乗寺新)
사이토 테츠히토
(斉藤哲人)
손승희
(孫承希)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마에사와 히로미
(前澤弘美)
타카미 아키오
오카다 히로나
(岡田洋奈)
사키야마 토모아키
(崎山知明)
가타야마 마나부
(片山 学)
사노 히로토시
요시야마 유우
2023.10.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TRY&FIGHT 키무라 노보루 마스다 토시히코
(増田敏彦)
이케노 쇼지
(池野昭二)
오오누키 켄이치
타카미 아키오
이시하라 미츠루
(石原満)
쿠로사와 히로미
(黒澤浩美)
아리사와 히로시
타카세 켄이치
야마네 리히로
요시야마 유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평가

역대 빌드 시리즈 중 연출, 작화, 서사, 캐릭터 등 모든 면에서 가장 평이 좋지 못하다.

전작들의 주인공들의 등장과 함께 1화 부터 다양한 팬서비스를 보여준 것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이전 시리즈의 작화 감독이 참여하지 않아 그림체가 다르다. 특히 빌드 다이버즈 맴버들의 작화가 눈에 띄게 다른 모습이다. 이 팬서비스 자체에 대해서도 전작 주인공들을 작품 내에 집어넣고 다루는 방식이 부실하다는 비판이 많다. 레이지의 까메오 출연도 개연성없이 그냥 억지로 등장시킨 수준이라서 비판을 받는다.

전투 부분 역시 메카 작화감독을 요시야마 유우가 해서 작화 매수를 많이 안 쓰는 카나다 요시노리 스타일로 전투신이 바뀌었는데 이에 대한 호불호 반응이 있다.[26] 이전 시리즈에 비해 신인 애니메이터가 많으므로 예산을 적게 들였거나 신인 애니메이터 육성용 프로젝트로서 만든 작품으로 보인다. 짧은 3화임에도 작화붕괴가 쉽게 발견 되기도 한다. 특히 최종화인 3화가 심한 편.

스토리의 경우 불호가 많은데, 갑자기 주인공인 리오의 일본인 할아버지의 무사도 타령에 주인공이 각성하는 개연성과 전투씬의 다소 떨어지는 퀄리티 때문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전작들의 주인공을 포함한 메이저 인물이 다수 등장하는 탓에 오히려 본작의 주인공은 거의 입문 초보자이기 때문에 무게감이 떨어진다. 홍보용 단편 애니인 만큼 주인공의 매력을 강하게 어필할 필요가 있는데, 정작 이 부분에서 소홀한 면이 있다. 주인공 기체인 라 건담의 디자인도 매력있는 디자인이라고 하기 힘들어서 방영 전부터 말이 많았다. 그렇다고 작중에서의 활약이 인상깊은 것도 아니다. 오히려 주인공 보정으로 난전에서 격추 당하지 않은 게 다행일 정도이다. 스토리 마무리까지 열린 결말식으로 대뜸 끝나버리기 때문에 이도저도 아닌 그저 건프라 배틀 애니메이션 올스타전의 느낌을 낸 팬서비스가 가미된 작품이 되었다.

상술했듯 신인 애니메이터가 다수 포함된 단편 프로젝트였다고는 하나, 빌드 시리즈 10주년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나온 시리즈 신작인만큼 기대감이 컸을 터였던 팬들이 실망할 수밖에 없는 퀄리티였다는 평이 유튜브 댓글에서나 여러 커뮤니티에서나 대부분으로 보인다. 스토리의 질적인 부분은 애초에 기대하기 힘들었지만, 정작 홍보용 단편 애니로서도 부실하다고 밖에 볼 수 없는 편이다.[27]

9. 기타



[1]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에서 파르비즈를 맡았다.[2] 디자인은 교부 잇페이가 담당했다.(#)[3] 회상에서 나오는 과거의 모습. 현재의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다.[4] 3화에서 나온 현실에서의 모습으로 보아 쌍둥이인 듯 하다. 현실 쌍둥이인 점이나 아바타도 로리 쌍둥이인 점 등 플, 플2 자매를 떠올리게 하는 캐릭터. 티포에우스 건담에 사이코 건담 마크2의 팔이 달린 것도 그래서인 듯하다.[5] 참고로 이 때의 BGM은 건담 빌드 파이터즈 시리즈에서 최종화의 마지막에 흐르는 희망찬 BGM이다.[6] 본명인 호시노 후미나가 아니라 아바타 후미나(あばたーふみな)라고만 지칭될뿐 엄연히 호시노 후미나 본인이 맞다.[7] 엔딩 영상에서 하이퍼 걍코 모습으로 등장.[8] 엔딩 영상에서 퍼플 하로 모습으로 등장.[9] 3화 종료 후 C파트에서 관객석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짧게 등장한다.[10] 코이치와 동일.[11] C파트에서 관중으로 등장. 어째서인지 엘도라에서 아루스에게 붙잡혀 있었을 때의 모습으로 등장한다.[12] 마기가 추천해준 특수한 퀘스트의 에너미로 등장했다.[13]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의 모습으로 등장.[14] 건빌파 트라이에 등장하는 팀 북송의 항아리의 멤버들.[15] 모습과 목소리는 안 나오고 건프라만 등장[16] 후미나가 응원하면서 언급만 된다. 이후 C파트에서 얼굴 등장.[17] 퍼펙트 스트라이크 프리덤을 리스펙트한 모델인 점으로 보아 이 호적수는 정황상 건담 브레이커 배틀로그에서 건담 퍼펙트 스트라이크 프리덤을 만들고 사용한 미야마 사나로 추정된다.[18] 알바이알[19] 건담 브레이커 M의 미야마 사나로 추정된다.[20] 사나카풀[21] 뜻은 더블 리스펙트다.[22] 세라비 건담 II의 건프라화 사례는 방영 당시 기준으로 HG 라파엘 건담의 백팩밖에 없고, 그나마도 개조를 해야 건담 형상으로 간신히 구현할 수 있다.[23] 타 작품의 예시를 들자면 유희왕 VRAINS 3화에서 플레이메이커가 유명해지자 너도나도 플레이메이커 아바타를 써서 흉내내던 사태를 생각하면 된다.[24] 1화 막바지에 리쿠의 계정에 공식 마크가 붙어 있음 언급하면서 빌다의 리쿠와 그 친구들 본인들이 맞음을 인증했다.[25] 애니메이션 MV[26] 돈을 덜 들여서 작화 매수가 적을 수도 있지만 요시야마는 원래 적게 쓰는 애니메이터라 확실하지 않다.[27] 특히 본방 전부터 메카물 액션의 거장이었던 오오바리 마사미가 감독을 맡는다는 것에서 큰 화제를 불러모았으나, 오히려 감독만의 연출 기법이 작품에서 제대로 나오지 못해 실망감이 배가 되었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었다.[28] 심지어 최신킷들로 오면서 부터는 가격상승도 심화되고 있다.[29] 범인은 감독 오오바리 마사미.[30] TV판의 경우 기체명을 가리는 수정이 들어갔지만, 유튜브 공개판은 기체명을 가리지 않고 오히려 한국어로 수정한 채로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