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3-13 10:31:58
관련 문서: 사이버(유희왕)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유희왕 의 지속 함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사이버 소환 블래스터, 일어판명칭=サイバー・サモン・ブラスター, 영어판명칭=Cyber Summon Blaster, 효과1=①: 이 카드가 이미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기계족 몬스터가 특수 소환에 성공할 때마다 발동한다. 상대에게 300 데미지를 준다.)] 기계족의 특수 소환에 성공할 때마다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불사식 명계포 과는 달리 1턴에 1번 제약 따위가 없지만, 그 대신 데미지 수치는 낮은 편. 1턴에 4번 이상은 발동하지 않으면 효율은 파동 캐논 보다도 떨어진다. 더구나 함정 카드 특유의 발동 딜레이도 감수해야 하니, 허투루 썼다간 어중간한 번 카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라면 당연히 기계족 대량 특수 소환에 특화된 덱에 채용할 필요가 있다. 특수 소환이 발동 조건이므로 각종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며, 기계족은 엑스트라 덱 몬스터도 많으니 1턴에 여러 번 특수 소환도 노려볼 수 있다. 액셀 싱크론 이나 제트 싱크론 등을 같이 써주면 데미지 4번 정도는 금방 뽑아낼 것이다. 기계족 토큰을 빈번히 뱉어내는 환상수기 테마하고도 당연히 상성이 좋아서 엑시즈 소환과 조합하면 상당한 데미지를 축적할 수 있다.사이버 함정 카드인 만큼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데다 발동 조건 채우기도 용이한 사이버 드래곤 코어 가 활약할 수 있는 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채용해볼 수 있다. 상대의 기계족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니 드래고노이드 제너레이터 하고도 상성이 좋으며,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드래고노이드 토큰을 2장씩 특수 소환해줘도 1턴에 1200 데미지가 뽑혀나온다. 또한 DNA 개조 수술 이나 기계장치의 밤-클락 워크 나이트- 를 써주면 상대가 뭘 특수 소환하든 데미지가 발생하니 전개를 어느 정도 억제시켜줄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덱이라 해도 1턴만에 파동 캐논 이상의 효율을 뽑을 수 있을지언정, 이를 2~3턴 이상 유지하기란 어렵다. 1~2턴만에 클리어하는 게 목적이라면 덱에 이 카드와 온갖 특수 소환 수단을 낑겨넣느니 정전 협정 같은 깔끔한 번 카드를 써주는 것과 별 차이가 없다. 결국 기계족 관련 덱이라 해도 환상수기 같은 대량 전개 덱에서 써볼까 하는 수준에 그친다. 이 카드의 최대 특징이라면 기계족 특수 소환으로 연계되는 무한 루프 콤보로 원턴킬 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가령 튜너+왕호 왕후 +왕궁의 철벽 +볼트 고슴도치 조합을 꼽을 수가 있으며, 초합마수 라프테노스 +기가 플랜트 또는 지옥의 문지기 일 블러드 +세이크리드 트레미스M7 로도 가능.분보그003 과 특수 소환 가능한 기계족 몬스터 합계 2장으로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을 경유하면 1턴만에 20회 이상의 기계족을 특수 소환할 수 있으니 원턴킬 이 가능하다. 이 카드 하나만 써줘도 8000을 넘는 누적 데미지를 노릴 수 있는 것이다.분보그003 를 일반 소환하고 분보그001 를 리크루트, 패에서 원샷 부스터 를 특수 소환.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 를 경유하여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을 링크 소환. (특수 소환 4회)체인 1에 환상수기 아우로라돈 의 효과로 환상수기 토큰 3장을 생성 후 분보그001 를 소생. (특수 소환 6회) 분보그001 과 환상수기 토큰 2장으로 크리스트론-쿠온담 을 경유해서 레벨 7의 자동기계장군 00 "무령" 을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8회)자동기계장군 00 "무령" 의 효과로 자동기계 몬스터를 특수 소환. (특수 소환 9회)환상수기 아우로라돈 으로 환상수기 토큰 과 자동기계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환상수기 콜트윙 을 특수 소환. (특수 소환 10회)환상수기 콜트윙 의 효과로 환상수기 토큰 2장을 생성, 분보그001 을 자체 효과로 소생. (특수 소환 12회)분보그001 과 환상수기 토큰 로 크리스트론-쿠온담 을 경유해서 레벨 7의 기계족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14회)레벨 7의 기계족 몬스터 2장으로 환상수기 드래고사크 를 엑시즈 소환. (특수 소환 15회) 환상수기 드래고사크 로 환상수기 토큰 2장을 생성, 분보그001 을 자체 효과로 소생. (특수 소환 17회)분보그001 과 환상수기 토큰 2장으로 크리스트론-쿠온담 을 경유해서 레벨 7의 자동기계장군 00 "무령" 을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19회)자동기계장군 00 "무령" 으로 자동기계두꺼비 4624 "사육이사" 를 특수 소환하고, 자동기계대장군 무령노 를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21회)자동기계대장군 무령노 의 효과로 자동기계두꺼비 4624 "사육이사" 를 특수 소환하고, 자동기계대권현 무령무 를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23회)자동기계대권현 무령무 의 효과로 자동기계두꺼비 4624 "사육이사" 를 특수 소환하고 분보그 제트 를 특수 소환 (특수 소환 25회)분보그 제트 자신을 파괴하고, 분보그001 를 특수 소환. (특수 소환 26회)분보그001 와 환상수기 콜트윙 를 소재로 액셀 싱크론 을 싱크로 소환. (특수 소환 27회) 보다시피 기계족 몬스터만 27회를 특수 소환해서 8100 데미지가 나온다.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가 금지 카드가 되기 전에는 분보그003 1장만으로도 성립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왕호 왕후 와 이차원의 정찰기 +차원의 틈 이나 매크로 코스모스 등으로 무한 루프 콤보를 발생시킬 수가 있었으나, 2006년 7월 하순부터 이차원의 정찰기 의 효과를 1턴에 1번밖에 발동하지 못하도록 재정이 조정되면서 불가능해졌다. 원작과는 달리 '특수 소환한 기계족 몬스터 1장당'이 아닌, '특수 소환 1회 당 대미지를 주는' 것이므로 기계 복제술 , 지옥의 폭주소환 이나 펜듈럼 소환 등으로 대량의 기계족 몬스터를 한 번에 특수 소환해봤자 추가 데미지를 줄 수는 없다. 이 카드가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체인 블록을 만들기 때문에 스펠 스피드 2 효과(유발즉시 효과, 속공 마법, 나머지 함정의 발동형 효과)나 카운터 함정으로 퍼미션을 걸 수 있다. 통혼의 주술 로 데미지를 반사하는 건 가능하지만, 지옥문 저편의 총 으로 반사하는 건 불가능하니 주의.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빛의 결사 편 에서 마루후지 쇼 가 티라노 켄잔 과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OCG와는 달리 한 번에 여러 장이 특수 소환되어도 그 수만큼 데미지를 줄 수가 있으며, 신비의 차고 를 통한 특수 소환, 구조구급로이드 의 융합 소환과 이를 융합 해제 시키는 등 다수의 특수 소환을 통해 켄잔의 LP를 깎아내렸다. 그 후 궁극의 티라노 의 전체 공격이 강제라는 점을 노려 데코이로이드 +구급로이드 +구조로이드 의 무한 루프 콤보를 완성하며 켄잔의 LP를 다 깎아버리며 승리했다. 이후 긴 류세이 가 유우키 쥬다이 와의 듀얼에서 사용했으며, 보스 러시 의 효과로 거대전함 들을 계속 특수 소환하여 데미지를 주는 콤보를 선보였다.유희왕 5D's 다크 시그너 편 에서는 키류 쿄스케 와의 라이딩 듀얼 끝에 부상을 당한 후도 유세이 의 D휠을 랠리 도슨 일행이 옮기던 도중에 통행료를 삥뜯는 양아치가 나타나자 뿌린 카드로 확인된다.유희왕 ZEXAL 에서는 코즈키 안나 가 츠쿠모 유마 와의 듀얼 중 세트하여 제설기관차 허슬 러셀 의 효과로 파괴하는 것으로 등장.유희왕 듀얼링크스 에서는 LP가 4000으로 시작하는 시스템상 데미지 수치가 150으로 너프되었으며, 원작에서 사용한 영향인지 강민 , 오안나 의 전용 대사가 등장한다.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6-05-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D-JP057 | POWER OF THE DUELIST 2012-05-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E01-JP040 | DUELIST EDITION Volume 1 2020-0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JP03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マシンナーズ・コマンド - 2013-12-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6-JP030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光竜襲雷 - 2006-08-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D-EN057 | POWER OF THE DUELIST 2014-06-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L18-EN017 | DUELIST LEAGUE 18 2020-04-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EN035 | STRUCTURE DECK: MECHANIZED MADNESS 2007-08-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D-KR057 | 듀얼리스트의 능력 2013-10-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C01-KR041 | 프레셔스 팩 Vol.1 2020-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KR035 | 스트럭처 덱 R - 머시너즈 커맨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