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1 20:52:10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크리스트론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
2.1. 활용과 역사2.2. 여담
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몬스터 카드.

2. 설명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155692><tablebgcolor=#fff,#191919><bgcolor=#155692><-3> 링크 브레인즈 팩의 각 소환법 보조 링크 몬스터 ||
[[어드밴스 소환|
어드밴스 소환
]]
-
[[의식 소환|
의식 소환
]]
미라지 디클레어러
[[펜듈럼 소환|
펜듈럼 소환
]]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융합 소환|
융합
]]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싱크로 소환|
싱크로
]]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엑시즈 소환|
엑시즈
]]
무사신희-아하시마

파일:水晶機巧-ハリファイバー(RC03).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일어판명칭=<ruby>水晶機巧<rp>(</rp><rt>クリストロン</rt><rp>)</rp></ruby>-ハリファイバー,
영어판명칭=Crystron Halqifibrax,
속성=물, 종족=기계족,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500,
소재=튜너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튜너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필드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금지 카드}}}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금지 카드}}}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금지 카드}}}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

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크리스트론의 지원으로 등장한, 싱크로 소환을 지원하는 최초의 링크 몬스터. 소환 조건은 튜너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으로, 마치 싱크로 소환을 연상시킨다. 싱크로 소환과 달리 튜너가 포함되기만 하면 되기에 튜너만으로도 뽑을 수 있단 게 장점. 엑스트라 덱 몬스터 전개 지원으로 나온 만큼 하단 링크 위치도 좋다.

링크 소환하면 ①의 효과로 패 /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해 주는데, 소환 제약이 없다. 대신,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하지만, 카드명 제약이 붙은 것도 아니고, 소환된 턴에만 효과를 사용할 수 없는 것 뿐이다. 이로 인해 수많은 싱크로 덱들이 이 카드를 애용했으며, 밑의 문단에 나왔듯이 별의 별 루트가 개발되기도 했다.

②의 효과는 상대 메인 / 배틀 페이즈에 자신을 제외하고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튜너 1장을 싱크로 소환 취급해 특수 소환하는 효과. 엑스트라 몬스터 존의 도입으로 힘들어졌던 10기 시절에 액셀 싱크로 소환을 도와주는 고마운 효과로, 크리스트론-쿠온담, 포뮬러 싱크론, 액셀 싱크론, TG 원더 매지션, 슈팅 라이저 드래곤 같이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하는 효과를 지닌 싱크로 튜너와 호궁합이다. 금지 이후에는 싱크로 테마에 주어지는 고효율 싱크로 튜너 지원도 굉장히 많아져서, 이 효과의 활용성도 더욱 높아졌다. 특히 하얀 숲의 마랑 실비아를 소환할 수 있어서, 어느 덱에서나 엑스트라 덱 한 자리를 투자해 하리파이버를 소환해 두는 것만으로 상대 턴에 프리 체인으로 광역 뒤집기라는 상당한 저점을 마련할 수도 있어졌다.

크리스트론 덱에서는 굉장히 미묘한 카드이다. 다름 아니라 초기 크리스트론 메인 덱 몬스터들 중 전개에 도움이 되는 카드들에는 걸핏하면 엑스트라 덱 기계족 싱크로 몬스터 소환 제약이 걸려 있기 때문. 이 때문에 크리스트론 덱에서 뽑기만 하면 유용하게 사용하지만, 그 뽑기가 굉장히 어려운 카드였다. 이 카드의 금지 이후 새로 출시된 크리스트론 카드들은 기계족 특수 소환 제약으로 완화되었기 때문에 뽑는 거 자체는 문제없지만, 정작 이 카드가 금지되었다.

일러스트는 쿠온+시트리+리온이나, 이 카드는 링크 2라서 3장 모두를 소재로 링크 소환할 수는 없다. 배색을 보면 주도 인격은 쿠온인 듯하다.

이름의 모티브는 파리(玻璃)[1] + 파이버(Fiber). 전체적으로 광섬유에 쓰이는 유리섬유를 노리고 지은 이름으로 보인다. 이 파리의 음독 '하리'가 바늘 검사처럼 바늘로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인지 이 카드의 수정은 다른 싱크로 몬스터들보단 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처럼 날카로운 형태다.

2.1. 활용과 역사

파일:하리파이버 1장으로 가능한 일들.jpg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를 시작으로 수많은 전개를 요약한 표.[2]
출시 이전엔 거의 실용성이 없어진 정크도플액셀 싱크로 소환이 드디어 지원받는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출시 이후로는 링크 소환의 소재로 쓰는 방법이 훨씬 많이 사용되었다.

그 외에 변칙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어쨌든 발매되자마자 모든 우승 덱에 들어갔으며, 특히 이런 가능성을 이용한 콤보 중 정점은 페니키시안 클러스터 아마릴리스+토폴로직 폭탄 드래곤 연계를 이용한 원턴킬 번 콤보였다. 이렇게 등장한 새로운 링크 티어 덱이 바로 식물 링크. 이후 식물 링크가 활약하면서 이 카드로 인해 온갖 튜너 및 토큰 관련 카드가 제재를 먹은 이후에도 현역으로 활약했다.

링크 소환하면 바로 토큰을 3장이나 소환하는 환상수기 아우로라돈도 이 카드를 소환하기만 하면 소환 가능하다. 주로 제트 싱크론이나 분보그001[7][8] 등을 소환하여 가볍게 아우로라돈으로 잇는데, 이 경우 대량의 싱크로 소재를 보충할 수 있어 싱크로 위주의 덱에서는 이것만으로 압도적인 전개를 뽐낼 수 있다. 링크로스가 금지먹은 이후로 쓰이기 시작한 조합인데, 일명 천지창조.[9] 특히 로즈 드래곤 축 용사천위에서 활용도가 뛰어나, 레드 로즈 드래곤을 싱크로 소재로 쓰기만 하면 록스 로즈 + 레드 로즈로 하리파이버를 낼 수 있으며, 오로지 전개만을 위해 만들어져 패 트랩 등의 견제에 취약한 단점을 용사(유희왕) 기믹과 플뢰르 드 바로네스 등으로 적절하게 케어해줄 수 있었다. 오죽하면 아우로라돈 분기의 비티어 덱들은 다 이 콤보를 활용해서 악착같이 버틸 정도.

하리파이버 - 아우로라돈 빌드 [ 펼치기 / 접기 ]
>1. 어떻게든 하리파이버를 링크 소환
2. 하리파이버의 효과로 제트 싱크론을 특수 소환.
3. 하리파이버와 제트 싱크론으로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을 링크 소환.
4. 아우로라돈의 효과로 토큰을 생성하고, 효과를 발동해 토큰 하나와 아우로라돈을 릴리스하여 덱에서 환상수기 오라이온을 특수 소환.
5. 오라이온(2레벨 튜너)과 토큰 둘(3레벨 비튜너)로 전개 시작. 오라이온이 묘지로 보내지면 추가로 토큰이 하나 나오고, 패를 하나 버리면 묘지의 제트 싱크론(1레벨 튜너)이 튀어나온다.
즉 사실상 하리파이버 하나로 '2레벨 튜너+1레벨 튜너+3레벨 비튜너×3'의 구성이 되는 것이다. 싱크로 전개에 있어 5레벨 싱크로와 1레벨 튜너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해본다면 당연 엄청난 수준의 전개.

여기서 전개를 더 잇는다면 하리파이버 단독으로도 진룡황 V.F.D.를 뽑을 수가 있다.
1. 토큰 하나에 오라이온을 튜닝해 가든 로즈 메이든을 싱크로 소환하고 토큰 하나를 추가 생성. 필드엔 토큰 2장이 남아있다.
2. 로즈 메이든에, 특소한 분보그 001 또는 제트 싱크론을 튜닝해 코랄 드래곤 싱크로 소환.
3. 토큰 하나에 코랄을 튜닝해 9레벨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
4. 코랄의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진 로즈 메이든의 효과로 금방 묘지로 보내진 코랄을 소생.
5. 남은 토큰에 코랄을 튜닝해 9레벨 싱크로를 하나 더 뽑는다.
6. 필드에 남은 9렙 싱크로 2개로 진룡황 V.F.D. 소환
또 다른 루트로는 4드로 2퍼미션이 있는데
1. 오라이온, 레벨 1 튜너(젯싱, 분보그), 그리고 토큰 2장이 있는 상황에서 토큰에 오라이온을 튜닝해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을 싱크로 소환. 이후 묘지로 간 오라이온으로 토큰 생성.
2. 레벨 1 튜너와 토큰으로 루이 큐피트를 소환. 루이 큐피트의 효과로 자기 자신의 레벨을 1 올린다. 그리고 1장 드로우
3. 레벨이 5가 된 루이 큐피트와 토큰으로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
4. 효과들을 각각 처리해 액셀 드래곤의 효과로 묘지에서 오라이온 소생. 묘지로 간 루이 큐피트의 효과로 덱에서 크리에이트 레조네이터를 서치. 사서의 효과로 2장째 드로우
5. 액셀 드래곤의 2번째 효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특수 소환(싱크로 소환 취급)하고 뒤이어서 아까 살려냈던 오라이온을 튜닝해 플뢰르 드 바로네스 싱크로 소환. 그리고 싱크로 소환이 2번 이루어져 2장을 드로우해 총 4장 드로우
6. 루이 큐피트의 효과로 서치해뒀던 크리에이트 레조네이터를 특수 소환. 사서와 튜닝해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대체로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를 뽑는다.
7. 2퍼미션과 드로우한 4장의 패로 게임을 풀어나간다.
만일 초뇌룡-썬더 드래곤 뽑고 싶으면 제트 싱크론 넣고 크리에이트 레조네이터 대신 네메시스 코리도를 넣으면 된다.

강력한 효과로 OCG에서 2019년 1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이 카드 자체는 세피라나 마술사 같은 몇몇 예외를 빼곤 1장만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 제한이 돼도 큰 문제가 없지만, 이 카드로 소환하는 튜너 1순위를 다툰 그로우업 벌브BF-은신의 스팀이 금지 카드가 되면서 타격을 입었다. 이것으로 OCG에서 섬도희-카가리와 함께 다섯 번째로 금제에 오른 링크 몬스터가 됐다.[10]

TCG에선 2020년 3월에서야 Duel Overload를 통해 첫 수록이 됐고, 그와 맞물려 2020년 4월 1일에 그로우업 벌브와 BF-은신의 스팀이 OCG처럼 금지 카드가 됐다. 무제한이기 때문에 의아스럽겠지만, TCG에서는 하리파이버와 콤보가 가능한 카드[11]들을 전부 금지먹이는 방법으로 해결했다.# 이마저도 22/5/17일자로 제트 싱크론을 제한으로 푸는 대신, 이 카드에 제한을 먹이고 환상수기 아우로라돈을 무제한에서 바로 금지로 보내버렸다.

이전까지는 성능만 보면 충분히 금지를 먹여야 하지만 코나미가 먹일 것 같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22년 4월에 같은 범용 소환법 용병이던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가 기어이 금지되면서 하리파이버도 금지를 먹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결국 OCG에서 2022년 7월, 금지 카드가 되었다. 그 여파로 모든 하리파아우로 싱크로 날빌 덱[12]들은 티어 구분 없이 사장되었고[13], 튜너를 다른 튜너로 바꾸거나 액셀 싱크로를 견제의 핵심으로 이용하는 마술사, 푸른 눈, 스프라이트 등등 다수의 덱들도 치명상을 입었다. 하리파-뵐러-셀레네-액세스 콤보도 불가능해져 섬도희, 마기스토스 등 여러 덱들이 간단한 돌파 수단을 잃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용사천위 등의 덱이 악명을 떨치면서 2022년 9월 30일자로 금지 카드가 되었다. 이후 TCG에서 2022년 10월 3일 금지 카드가 되면서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2. 여담

역대 링크 2 몬스터 중에서도 탑을 경쟁할 정도로 막강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오랜 시간을 제한으로 버티며 대신 함께 콤보 파츠로 쓰이던 수많은 튜너와 링크, 싱크로 몬스터를 금지로 보내버렸다. 역대 카드들 중 가장 많은 카드를 금지시킨 카드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서몬 소서리스, 링크로스, 그로우업 벌브 등 관련 카드는 죄다 금지로 보내버리면서 정작 주범인 하리파이버는 매번 빠져나가는 모습에 붙은 별명이 바로 유희왕계의 코난. 결국 본인도 출시 4년 7개월 만에 금지 카드가 되며 연쇄금제마의 종지부를 찍었다.[14]

한편 하리파이버가 금지되면서 하리파이버로 인해 금지로 갔던 다른 카드들이 풀려날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개개의 파워만 보면 하리파이버 없이는 별 의미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 악용의 소지가 여전히 있어 괜한 문제가 생기지 않게 내버려둘 것이라는 의견이 대립하는 상태다. 서몬 소서리스나 고우후우같이 하리파이버가 없어도 악용의 여지가 명확한 카드들은 가망이 없지만 그로우업 벌브, 은신의 스팀, 성잔의 신자 이브 등 '하리파이버로 악용이 가능해서' 강력했던 카드들은 완화 가능성이 있었고, 실제로 스팀은 2023년 1월, 벌브는 4월, 이브는 24년 1월 금제에서 제한 카드로 완화되었고, 서몬 소서리스는 24년 4월 금제에서 에라타를 받고 무제한으로 석방되었다.

"딕들의 희망" 같은 표현을 들을 정도로 티어권 외의 덱들 입장에서 의존도가 높은 카드였는데, 이들 역시 하리파이버의 금지로 기존의 전개 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다만 그만큼 자체 기믹이 강한 최상위 티어를 제외하면 하리파소서리스, 하리파링크로스, 하리파아우로를 필두로 하는 전개 덱의 플레잉 획일화가 심해졌다.[15] 일단 아무 튜너 내놓고 다른 몹을 내놓는 게 핵심 플랜이 되면서 자신의 본래 덱 기믹은 포기할 정도로[16]의 비정상화가 계속됐고, 계속된 주변 파츠 제재에도 계속 대체재를 찾아내며 파워 인플레를 꾸준히 따라잡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때를 놓쳤다고 하더라도 결국 금지될 수밖에 없었다.

2024년 들어서 금지 카드의 에라타 석방이 잦아진데다 슈프림 다크니스에서 크리스트론 지원이 나오면서 에라타 석방 이야기도 돌았다. 현역 시절에도 크리스트론 카드인 주제에 완전한 범용이고 크리스트론 덱에서는 활용에 어려움이 있는 이상한 설계였던지라[17] 크리스트론 전용으로 바로잡자는 에라타 주장이 자주 나왔었는데, 그걸 실현하지 않겠냐는 것. 다만 마제스펙터의 유니콘과 달리 하리파이버를 사용할 것을 직접적으로 암시하는 카드가 있는 것도 아닌지라 일부의 주장에 그치는 수준. 한국에서는 별 얘기가 안 나오지만 일본에서는 특히 하리파이버 석방 얘기가 높은 편이었다.[18] 이 카드는 금지 카드 중에도 유독 범용성이 높은 카드였기 때문에, 에라타가 가해진다면 최소한 링크 소재나 ①의 효과에 추가적인 제약을 걸어야 제재에서 풀릴 수 있다고 전망되었고, 결국 석방이 아니라 완전히 별개의 조정판 카드로 리메이크 되었다. 아예 조정판 카드가 나와버려서 금지에서 해방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어졌다.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크리스트론 하리파이버 소환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소환 컷인이 적용되었다. 이후 금지 카드로 지정되면서 진룡황 V.F.D.에 이어 2번째로 소환 컷인이 있는 카드가 금지로 지정되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7-1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1-JP091 | LINK VRAINS PACK
2020-0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C03-JP027 | RARITY COLLECTION - PREMIUM GOLD EDITION -
2018-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1-KR091 | 링크 브레인즈 팩
2020-06-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C03-KR027 | 레어리티 컬렉션 2020
2020-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OV-EN001 | DUEL OVERLOAD
2021-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5-EN003 | OTS TOURNAMENT PACK 15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149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4. 관련 카드

4.1. 크리스트론-쿠온

4.2. 크리스트론-시트리

4.3. 크리스트론-리온

4.4.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P

파일:CrystronHalqifibraxPrism-25DB-JP-OP.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ruby>P<rp>(</rp><rt>프리즘</rt><rp>)</rp></ruby>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水晶機巧<rp>(</rp><rt>クリストロン</rt><rp>)</rp></ruby>-ハリファイバー<ruby>P<rp>(</rp><rt>プリズム</rt><rp>)</rp></ruby>,
영어판 명칭=Crystron Halqifibrax Prism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물, 종족=기계족, 공격력=1500,
link1=, link2=, link3=,
소재=튜너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원래 레벨의 합계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튜너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필드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크리스트론 토큰"(기계족 / 물 / 레벨 1 / 공 0 / 수 0) 3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토큰은 릴리스할 수 없다.)]
프리즈마틱 서몬에서 링크 소환을 대표하는 카드이자 하리파이버의 흉악한 성능을 조절하여 리메이크한 카드. 소환 조건은 동일하지만 링크 수치가 3으로 늘어났으며, 효과는 거꾸로 뒤집어놓은 형태로 완전히 재조정되었다.

①번 효과는 원본 하리파이버의 소환 시 효과와 제외 시 효과를 반씩 섞어 놓은 효과로, 메인 덱이 아니라 엑스트라 덱에서 튜너를 소환한다. 엑스트라 덱 앞면의 펜듈럼 튜너나 융합 튜너를 소환할 수도 있지만[19], 기본적으로 싱크로 튜너를 소환하는 효과이다. 다만 정규 소환으로 취급하지 않는 단순 특수 소환이기에 정규 소환 시 유발 효과 등은 모두 먹통이 되고 소생 제한 룰에도 걸리며, 정규 소환으로만 소환 가능한 몬스터는 부를 수 없다.

비정규 소환 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튜너는 많지만, 대부분 소속 카드군에만 특화된 효과들이라 범용적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그나마 범용적인 효과라면 하얀 숲의 마랑 실비아개기일식의 서 효과나 덴지에비싸이크론 효과[20] 등이 있다. 조건부 퍼미션 역할을 할 수 있는 킬러튠 레드씰, 쇄박룡 자렌 역시 고려해볼 수 있다. 다른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 심해희 프리마도나 또는 금운수-마룡으로 제외 존 견제나 바운스 견제가 가능하다. 자체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드래그니티 튜너인 드래그니티나이트-하룬을 소환한 뒤 하리파P와 링크하여 드래그니티 로드-게오르기아스를 뽑고 하룬을 장착하는 것으로 묘지 락을 걸 수 있다.

링크 소재의 원래 레벨 합계 이하만 부를 수 있어 범위가 크게 한정된다. 일단 엑스트라 덱 튜너 / 펜듈럼 튜너 중 레벨 1 몬스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소재로 레벨 2 이상의 몬스터를 사용해야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상술한 마랑 실비아 정도 되는 몬스터를 뽑으려면 고레벨 튜너를 쓰거나 몬스터 3장을 써서 소환해야 하기에 소환 난이도가 크게 높아진다. 게다가 그 조건을 충족할 쯤이 되면, 굳이 이 카드를 거치기보다는 직접 싱크로 소환하는 게 빠르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나마 펜듈럼 튜너를 소재로 사용한다면 반드시 자신을 특수 소환할 수 있어 링크 2 + 펜듈럼 튜너 = 링크 4로 이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펜듈럼 덱이 애용하던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는 진작에 무지개다리를 건너갔다.

②번 효과는 원본 하리파이버처럼 상대 턴에 자신을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지만, 토큰 3장을 특수 소환하는 전혀 다른 효과로 변했다. 굳이 따지면 자기가 죽인 과거의 파트너 링크로스환상수기 아우로라돈에 가까운 효과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1번 효과와 연계해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을 실행하는 싱크로 튜너를 꺼내고 이 효과로 소환한 토큰과 싱크로 소환을 하라는 것이며, 단순 수비벽으로도 쓸 수 있고 후속 전개를 위한 밑발판으로도 쓸 수 있으나, 3장이나 소환하는 탓에 미리 필드를 비워야 해서 조금 사용이 까다롭다. 또한 자신 턴에 곧바로 사용해 어드밴티지가 될 효과가 아니다보니 굳이 이 카드를 상대 턴까지 살려놓으면서까지 쓸 효과인지는 애매하다.

잠재력이 높다면 높은 카드지만 상술한 이유로 텍스트에 적힌 액면에 비하면 활용성은 다소 애매하다는 평가로 시작했다. 무엇보다 실질적으로 튜너를 포함한 몬스터 3장이 되어버리는 조건이 상당히 까다롭다. 이 점을 극복하려면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 같은 고레벨 튜너를 활용해야하는데, 그런 카드를 투입하는 덱 자체가 매우 한정적이다. 그나마 마나둠을 필두로 한 세괴GS 계열은 스케어클로 파츠를 채용하고 6레벨 튜너인 비서스를 소생, 전개하는 것으로 2링크 + 비서스로 6레벨 조건을 간편하게 만족할 수 있다.

링크 소환하는 것만으로 개체수를 1개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신성마황후 셀레네처럼 액세스코드 토커 등의 링크 4로 쉽게 이어갈 수 있는 범용 중간다리로도 사용할 수는 있다. 묘지에 링크 이외의 마법사족 몬스터와 마법 카드가 요구되는 셀레네와 달리, 이 카드를 꺼낼 수 있는 레벨 합계가 2 이상이 되도록 소재만 갖춰지면 엑덱에서 싱크로 튜너를 꺼내 추가 개체수를 마련할 수 있으면서, 셀레네처럼 링크 2 령사 + 상대 묘지의 패 트랩 튜너 같은 식으로도 어렵지 않게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범용 링크 4를 꺼내기 위해 엑스트라 덱의 1자리를 저레벨 싱크로 튜너에 할당해야하기 때문에, 그 싱크로 튜너를 별도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싱크로 덱이 아닌 이상 셀레네에 비해 효율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원본을 따라 물 속성이기 때문에 물 속성 제약이 걸리는 해황머메일에서도 사용은 가능하다. 히스이테이 에지르 란으로 마린세스 코랄아네모네를 꺼내면 2핸드로 7레벨 이하의 물 속성 튜너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지만, 프리마도나 정도를 제외하면 뽑기엔 상당히 애매하고, 에지르 란 이외의 루트에서 활용법은 해황룡신을 통한 소재 3장 모으기가 되는데 이 경우에는 그냥 프리마도나를 정규소환할 수도 있다. 그러고서 필드에 남게 되는 하리파이버P 본체에는 다른 사용법이 없다보니[21] 굳이 엑스트라 덱 자리를 1~2장씩 추가 할당할 가치가 나오지 않는다.

당사자인 크리스트론 덱에서는 상대 턴 토큰 3개 소환 효과보다는, 전술한 드래그니티 카드들과 조합해서[22] 게오르기아스를 꺼내 고점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K9 파츠와 스크랩 리사이클러 등의 용병 파츠로 전개를 하면 설퍼돌의 기동 효과의 발동 전에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기 때문.
수록 시리즈
2025-12-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DB-JP006 | DUELIST BOX-PRISMATIC SUMMON-

[1] 수정 또는 유리를 뜻하는 말로, 산스크리트어 sphaṭika의 음사 파려(玻瓈)의 다른 표현이다.[2] 2020년 9월에 나온 표이기에 던 오브 마제스티로 달라진 정크도플 전개부터 금지되기 전까지 추가된 전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3]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어둠 속성), 매스매티션(레벨 4 이하), 유니좀비, 데스 사무라이(언데드족) 등.[a] 제트 싱크론, 그로우업 벌브(금지→하리파이버 금지 후 제한), BF-은신의 스팀(금지→하리파이버 금지 후 제한), 좀비 캐리어,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5] 크리터를 소재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 소환, 크리터의 효과로 신수의 파라디온 서치 - 신수의 파라디온 특수 소환.[a] [7] 둘 다 적어놓긴 했지만 압도적으로 전자가 많다. 분보그 001은 타이밍이 제한적이고 특정 상황에서는 써먹기 아주 어렵기 때문.[8] 분보그001은 아우로라돈의 토큰 3체가 소환됨과 동시에 소환해야 하므로 몬스터 존이 두 칸 이상 차 있다면 소환할 수가 없다. 반면 제트 싱크론은 원하는 타이밍에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유연한 빌드의 구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분보그001과 달리 제트 싱크론은 패 코스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선턴 빈 필드 전개와 같이 널널한 필드 상황이라면 분보그001 쪽이 고점은 더 높을 수 있다.[9] 하리파아우로, 하리파로돈, 하리로돈, 로봇 링크 등으로도 불린다.[10] 첫 번째는 파이어월 드래곤, 두 번째는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세 번째는 트로이메어 고블린서몬 소서리스다. 여기서 파이어월 드래곤과 서몬 소서리스는 에라타되어 금지가 해제되었다.[11] 제트 싱크론, 환상수기 오라이온,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12] 대표적으로 진공룡성, 펑크세리온즈(싱크로 축), 천위용사, 세피라, 크리스트론, 해황머메일, 불꽃성기사, 루닉(싱크로 축), 정크도플(로봇 링크 축) 등등이 있다.[13] 정확히는 비티어 덱들 간 싸움에서 하리파이버 채용 덱들이 전부 사장되었다. 당시 티어권/입상 덱은 스프라이트와 티아라멘츠가 절반 가량을, 엘드리치가 극소수로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14] 이 연쇄금제마 이미지는 아이러니하게도 유희왕 마스터 듀얼 한정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가 이 악명을 어느 정도 이어받고 있다. 키토칼로스 역시 자신은 끝까지 살아남고 있으면서 웬만한 범용 UR들이나, 심지어 메이루, 일세괴까지 죄다 금지먹는 와중에 끝끝내 금지는 피해가고 있기 때문.[15] 트로이메어도 이미 횡행하던 하리파이버+서몬 소서리스 전개에 힘입어 주류로 자리잡은 것이기 때문에 하리로라돈 기믹의 선배라고 볼 수 있다. 소서리스 금지 후, 링크로스가 살아 있었을 때에도 하리파이버는 아우로라돈 이상의 빌드를 뽐냈다.[16] 저티어 덱을 처음 사용할 땐 자체 테마 카드를 최대한 기용해 듀얼을 하려 하지만, 저티어 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리파이버를 넣고 플레이를 하다 결국 테마 카드를 거의 다 빼 버리고, 하리파이버를 소환하는 데 특화된 용병 카드로만 덱을 구성, 하리파-소서리스, 하리파-링크로스, 하리파-아우로라돈으로 귀결되는 게 하리파이버가 현역인 시절의 일상이었다.[17] 한번 뽑으면 크리스트론도 맛있게 쓰는 카드긴 한데, 기계족 싱크로 제약이 걸리기 전에 하리파이버를 뽑기에는 덱 기믹에 에러가 있었다.[18] 금지 해제 측에서 주장하는 가장 유력한 근거는 12기 지원 카드의 효과에 걸린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제약이 '기계족 싱크로 몬스터'가 아닌, '기계족 몬스터'라는 것.[19] 이 카드의 발매 시점의 융합 튜너는 총 4장인데 2장은 효과가 없는 몬스터, 한 장은 소환 제약이 있고, 나머지 한장은 마건에서만 사용 가능하므로 사실상 융합 튜너는 생각도 안 해도 된다.[20] 기존 하리파이버의 효과에서는 TG 원더 매지션이 맡던 포지션인데, 이쪽은 싱크로 유발이라 용병으로서 쓸 수 없다.[21] 물 속성 제약 때문에 연결할 수 있는 다른 4링크가 세해룡 질란티스마린세스 몬스터뿐인데 모두 선공 밸류가 애매하고, 2링크로 내려가자니 그 단계에서 뽑을 수 있는 살라키어비스는 기계족인 이 카드를 소재로 할 수 없다. 그나마 질란티스가 소재가 널널해서 그나마 최우선이다만, 기본적으로 후공용 카드다.[22] 비튜너 대부분이 레벨 5라서 튜너 1개와 비튜너 1개만 넣고 나머지 몬스터는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해도 하룬을 소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