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20:40:51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召命の神弓-アポロウーサ(QCAC).jpg 파일:617px-ApollousaBowoftheGoddess-RIRA-KR-UR-UE.png
내수판 수출판
1st 일러스트
부스터 팩 라이징 램페이지
<nopad> 파일:召命の神弓-アポロウーサ(イラスト違い)(QCAC).jpg
2nd 일러스트
PRISMATIC ART COLLECTION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일어판명칭=<ruby>召命<rp>(</rp><rt>しょうめい</rt><rp>)</rp></ruby>の<ruby>神弓<rp>(</rp><rt>しんきゅう</rt><rp>)</rp></ruby>-アポロウーサ,
영어판명칭=Apollousa\, Bow of the Goddess,
속성=바람, 레벨=4, 공격력=?, 종족=천사족, link1=, link2=, link3=, link8 =,
소재=토큰 이외의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
효과1=①: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는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 × 800이 된다.,
효과3=③: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을 800 내리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금지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침입자를 관통하는 일조의 빛
최고의 활을 다루는 명수인 숲의 권속인 소녀. 신역인 달빛의 샘에서 외계로부터의 위협을 알게 된 그녀는 주어진 활과 파트너인 신수와 함께 전장으로 달려간다.
'마스터 가이드 6' 中
속칭 아폴.[1] 최초로 공격력이 ?인 링크 몬스터다. 소환 조건이 "토큰 이외의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상"이라는 널널한 조건이라 링크 4 몬스터 치고는 제법 쉽게 뽑을 수 있다. 토큰을 소재로 쓸 수 없다는 제약도 아이:피 마스카레나처럼 토큰도 소재로 쓸 수 있는 링크 몬스터를 경유하면 우회하는 게 가능하다. 다만 ①의 효과에 의해 같은 이름의 카드는 필드에 1장만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카드를 소재로 다른 아폴로우사를 소환하거나 아폴로우사 2장을 전개하는 건 불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 × 800으로 원래 공격력이 정해지는 지속 효과다. 소재 조건이 2장 이상이니 공격력은 최소 1600, 최대 3200이다. 소재 4장을 채워 소환하면 최상급 몬스터의 공격력 기준선인 3000을 넘는 높은 공격력을 얻는다. 그러나 공격력을 깎는 ③의 효과 때문에 전투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소환된 시점에서 원래 공격력이 특정 수치로 고정되는 카드라 공격력 관련 재정이 복잡하다. 상세 재정은 다음과 같다. 소재 4장을 써 공격력 3200으로 나왔을 때를 가정했다.
  1. '원래 공격력'을 '된다' 텍스트로 변동시키는 카드의 즉발형 효과(ex. 수축)를 받았을 때
    → 효과가 적용되는 동안엔 1600이 됐다가, 효과 적용이 풀리면 0이 된다. 원래 공격력에 손을 대서 ②의 효과가 한 번 끊겼고, 그 다음부터 원래 공격력이 ?라 0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2. '공격력'을 '된다' 텍스트로 변동시키는 카드의 즉발형 효과(ex. 월경의 방패)를 받았을 때
    → 효과가 적용되는 동안엔 전투를 실행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 중 높은 쪽의 수치 + 100이 됐다가, 효과 적용이 풀리면 다시 3200이 된다. 원래 공격력엔 손을 안 대 ②의 효과가 안 끊겼기 때문이다.
  3. '공격력'을 '된다' 텍스트로 변동시킨 다음,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의 즉발형 효과(ex. 금지된 일적)를 받았을 때
    → 효과가 적용되는 동안엔 1600이 됐다가, 효과 적용이 풀리면 0이 된다. 공격력 관련 효과만 따지면 원래 공격력에 손을 안 댔으나, ②의 효과가 무효화돼서 원래 공격력에 손을 댄 걸로 취급되면서 결과적으로 ②의 효과가 한 번 끊겼고, 그 다음부터 원래 공격력이 ?라 0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4. 효과를 무효화하는 카드의 효과(ex. 무한포영)를 받았을 때
    → 효과가 적용되는 동안 0이 되며, 효과 적용이 풀려도 0이 된다. ②의 효과가 무효화돼서 원래 공격력에 손을 댄 걸로 취급되면서 결과적으로 ②의 효과가 한 번 끊겼고, 그 다음부터 원래 공격력이 ?라 0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신수왕 바르바로스의 반대 케이스라고 보면 편하다.
요약하면 직접적으로 원래 공격력을 바꾸든, ②의 지속 효과를 한 번이라도 끊든 어떻게든 원래 공격력을 건드리면 그 효과 적용이 끝난 시점부터 원래 공격력이 ?, 즉 0으로 적용된다는 것이다.

③의 효과는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을 800 내리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하는 유발 즉시 효과다. 전반적으로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의 것과 비슷한 퍼미션인데, 동일 체인상에서 한 번만 발동이 가능하나 턴 제약이 없다는 것도 같아 공격력만 충분하면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여러 번 막을 수 있다. ②의 효과를 고려하면 링크 소재로 한 몬스터의 수만큼 몬스터 효과 퍼미션을 발휘할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쓸 때마다 공격력이 내려가다 보니 전투에는 그만큼 취약해진다.

참고로 라이다는 퍼미션 이후 능력치를 내린다는 효과 구조상,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효과가 적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1턴에 1번만 퍼미션 발동이 가능하다는 특수 재정이 있다. 이와 달리 아폴로우사는 반대로 능력치를 먼저 내리고 퍼미션이 적용되기 때문에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효과가 적용되어 있으면 공격력이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는 관계로 퍼미션이 처리되지 않는다. 또한 필드가 아닌 곳에서는 공격력 변화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퍼미션 효과가 처리되기 전에 필드를 벗어나도 퍼미션이 불발된다. 이 때문에 유령토끼와 같이 아폴로우사의 퍼미션에 체인하여 발동할 수 있는 파괴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체인 제약으로 인해 몬스터의 파괴 효과더라도 아폴로우사 단독으로는 막을 수 없고, 파괴되면서 이전 체인의 퍼미션도 불발하니 무효되려던 효과를 통과시키면서 이후에 있을 추가 견제도 미리 없애놓을 수 있어 유용한 돌파 수단이 되어준다.

2.1. 평가

아주 널널한 소재 조건을 가진 링크 몬스터이면서도 턴 제약 없는 퍼미션을 가진 강력한 카드. 퍼미션을 갖춘 다른 링크 몬스터는 트라이게이트 위저드처럼 조건이 까다롭거나, 디코드 토커 계열처럼 특정 계열(대상 지정 한정, 마함 한정, 배틀 페이즈 한정 등)에 한정된 퍼미션이거나, 파이어월 드래곤 다크플루이드처럼 특정 덱만 쓸 수 있는 등 이런저런 제약이 붙는 반면, 아폴로우사는 덱을 불문하고 개체수만 늘리면 그대로 몬스터 효과 퍼미션으로 치환해 준다.

게다가 링크를 넘어 다른 소환법까지 넓혀봐도 턴당 1회 제약이 없는 퍼미션 몬스터는 극히 드물며, 그런 몬스터가 아폴로우사만한 범용성을 갖춘 경우는 없다시피 하다. 체인당 1번이라는 제약이 있긴 하지만 유발 즉시 효과가 넘쳐나는 특정 덱이 아니고서야 밟고 가기 힘들고, 다른 퍼미션 몬스터가 함께하면 의미가 더욱 줄어든다.

이런 특징 때문에 아폴로우사는 잉여 자원으로 추가 가치를 창출하는 링크 소환의 구조를 비판할 때 자주 인용되는 카드다. 특히 12기 환경에서는 스네이크아이, 유벨, 데먼스미스 등을 필두로 한 소위 개체수 메타가 지속되고 있어 아폴로우사의 위상은 더욱 굳건해졌다. 11기까지는 그나마 약점으로 꼽히는 부분이 무효만 할뿐 파괴하질 않기에 효과를 몇 번 빼서 공격력을 낮춘 뒤 전투로 파괴할 수 있다는 점이었는데, 12기 들어선 옆에 다른 견제 몬스터를 같이 세워두기 쉬워졌을 뿐더러 유벨과 M∀LICE는 전투 대상을 고정시키는 효과까지 있다보니 그것조차 어려워졌다. 마듀 월챔 2024 일본 대표 중 한 명인 마구로 선수#나 2023 한국 대표 중 한 명인 김렛 선수# 또한 '게임의 명백한 독성'이라고 강력한 비판을 한 바 있다.

TCG에서는 데먼스미스 스네이크아이 때문에 2024년 9월 금지되었으나, OCG 및 마스터 듀얼에서는 아폴로우사를 금지하지 않는 대신 아폴로우사를 잘 써먹던 테마들을 제재하는 방향성을 택했고 금지 여론은 일시적으로 사그라들었다. 하지만 이후 개체 불리기가 용이한 테마가 등장할 때마다 환경권에서 깽판을 칠 위험이 많은 카드였기에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우려가 많았다.

이후 OCG에서도 2025년 7월 금지되었는데, 하필 2월에 쿼터 센추리 아트 컬렉션에 재록되었기에 카드의 가격이 급락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금지 시점 기준으로 아폴로우사를 쓰는 티어덱이라곤 M∀LICE밖에 없어 뒷북 제재라는 평가도 있지만, 금지를 가도 싼 카드라는 점은 대부분 인정하기에 지금이라도 잘 보냈다는 분위기다.

2.2. 유희왕 마스터 듀얼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폴로우사 라투디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1st 일러스트 소환 연출
파일:마스터듀얼 신일러 아폴로우사.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2nd 일러스트 소환 연출

마스터 듀얼에선 초창기부터 존재하는 카드였으며, 2nd 일러스트(이하 신일러)는 2024년 3월에 출시되었다. 그런데 2025년 7월, TCG를 이어 OCG에서도 금지 카드로 지정되자 커뮤니티에선 향후 금제 가능성에 대해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마듀 금제 특성상 테마 카드보다 범용 카드를 제재하는 경향이 강하고, OCG와 TCG에서 모두 금지된 카드는 마스터 듀얼에서도 시기는 늦을지언정 언젠가는 금지로 보내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추후 아폴로우사가 금지될 가능성은 꽤 높다.

OCG와 TCG에서 모두 금지되었지만 마스터 듀얼에서 풀려있는 카드는 이 카드를 포함해서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 스프라이트 엘프,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트로이메어 인어 총 5장뿐인데[2] 아폴로우사는 이 중에서도 범용성과 채용률이 가장 높으며, 데먼스미스 등 다른 카드를 대신 제재하고 넘어갔다가 추후 다시 문제가 될 가능성도 크다.[3] 그래도 일단 선례가 존재하기는 하니 아폴로우사 또한 마스터 듀얼만의 특이점이 될 여지도 없지는 않다.

한편, 아폴로우사가 금지될 경우 마스터 듀얼에서 신일러가 출시된 카드 중 최초의 금지 카드가 되는데, 이를 어떻게 보상해야 하는지도 큰 쟁점이다. 신일러 카드는 제작이 불가능하고 한정 기간 동안 특정 팩을 까야만 확률적으로 얻을 수 있어, 원하는 매수만큼 먹기 전까진 기약없이 젬을 써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는 유저 신뢰성 때문에라도 금지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오프라인과 마찬가지로 어지간한 덱들이 사용한 카드인 만큼 당장은 속단하기 힘들어 실제 금제가 나오기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인데,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5 개최가 걸쳐있는데다 이번엔 8월 말에 개최되는 탓에 카드를 건드리지 않는 소위 '금제 스킵'에 대한 타이밍이 관건이었는데[4] 25년 8,9월 금제에서는 락 카드를 제외하곤 티어권 덱에 대한 제재가 없었기에[5] 실질적으로 유력한 금제 시기는 월챔이 폐막한 뒤 개최되는 듀얼리스트 컵을 거친 10월 이후일 것으로 추측된다.

3.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사이킥 텐도스트롱 쥬큐와의 듀얼 중 사용. 스프라이트 엘프, 스프라이트 캐롯,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소재로 링크 소환되었으나, 룰 특수 소환을 막지 못한다는 맹점에 의해 전개를 허용해버린 데블도우저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이후 아폴로우사가 사라지는 바람에 공진충의 후속 증식의 G 서치를 허용하고 말았다.[6]

듀얼 카니발에서는 라이트로드 덱을 사용하는 코도 도카가 모토카리야 시오리와의 듀얼 중 사용. 선공 첫 턴에 신성마황후 셀레네트와일라이트로드 샤먼 루미나스를 소재로 하여 공격력 1600 상태로 링크 소환되었다. 그러나 견제 효과를 제대로 써보기도 전에 발동 효과가 아닌 섬술병기-H.A.M.P의 특수 소환 효과에 의해 릴리스되면서 퇴장했다.

이후 여섯 무사 덱을 사용하는 롯카쿠 마사미도 시오리와의 듀얼 중 사용하며 재등장. 진 여섯 무사-Shi En, 진마 여섯 무사-Shi En, 크로노다이버 리단과 함께 견제 빌드의 한 축으로 나타났으나, 시오리는 먼저 무한포영을 발동해서 Shi En의 함정 견제 능력을 빼버리고, 뒤이어 체인 발동한 금지된 일적으로 이 카드까지 찍어버리면서 간단히 제압해버렸다.

4. 기타

5.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9-04-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JP048 | ライジング・ランペイジ [ RISING RAMPAGE ]
2021-02-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AC1-JP028 | PRISMATIC ART COLLECTION[2nd일러][에라타]
2025-0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AC-JP075 | QUARTER CENTURY ART COLLECTION
2019-07-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KR048 | 라이징 램페이지
2021-05-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AC1-KR028 | PRISMATIC ART COLLECTION [ 프리즈마틱 아트 컬렉션 ][2nd일러][에라타]
2019-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EN048 | RISING RAMPAGE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26 | 2020 TIN OF LOST MEMORIES
2020-11-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GO-EN041 | Gold Series: Maximum Gold[2nd일러]
2022-11-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MA-EN075 | MAGNIFICENT MAVENS

6. 관련 카드

6.1. 아르테미트 슬레이

6.2. 티타노사이더


[1] 일본에서는 이름 뒷쪽을 따서 우사(ウーサ)라고 부른다.[2] OCG 금지 시점인 2025년 7월에는 아티팩트-데스사이즈, 심연에 숨은 자도 마듀에서만 풀려있었으나, 이들은 마스터 듀얼에 라이제올이 출시되면 바로 금지행이라는 예상이 많았고 익월 금제에서 현실이 되었다.[3] 키토칼로스는 인스턴트 퓨전 및 다른 티아라멘츠 카드들을, 엘프와 인어는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를 제재한 이후 환경을 어지럽힐 정도의 파워는 보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아나콘다가 추후 강력한 융합 테마가 출시되면 위험해질 가능성이 있다.[4] WCS 2023WCS 2024는 8월 초, 9월 초에 개최되어 각각 8월 금제와 9월 금제를 스킵했다. 하지만 WCS 2025는 8월 말 개최인 탓에 8월 금제를 스킵하지 않는다면 적용 후 레시피 제출일까지 기한이 너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다.[5] 이 시기에 금지된 카드는 심연에 숨은 자, 아티팩트-데스사이즈, No.67 파라다이스매셔24년 8월 금제에서 월챔을 앞두고 초마신 이도, 기믹 퍼핏-나이트메어만 금지시키고 나머지는 제재 완화만 이루어진 것과 같은 전개이다.[6] 심지어 데블도우저에 의해 갈린 카드는 무덤의 지명자. 이 카드 대신에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이나 트로이메어 유니콘 등을 소환했다면 승부가 뒤바뀔 수도 있었다.[2nd일러] [에라타] 동일 체인 발동 불가 텍스트 추가[2nd일러] [에라타] [2nd일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