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7:16:56

삼례읍

삼례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2f7e2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2f7e20>
파일:완주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봉동읍 삼례읍
군청
용진읍
}}}
경천면 고산면 구이면 동상면 비봉면
상관면 소양면 운주면 이서면 화산면
}}}}}}}}} ||
완주군
삼례읍
參禮邑 | Samrye-eup
<colbgcolor=#2d7c1f><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전북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완주군
행정표준코드 4720043
관할 법정리 10리
하위 행정구역 70행정리 159반
면적 28.61㎢
인구 21,636명[1]
인구 밀도 756.2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파일:zsdkl3gasdg.svg
안호영 (3선)
전북특별자치도의원 | 제1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윤수봉 (초선)
완주군의원 | 가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유의식 (재선)

파일:zsdkl3gasdg.svg
이경애 (재선) }}}}}}}}}
행정복지센터 삼봉로 48 (삼례리 1691-2)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공공기관3. 학교 목록
3.1. 초등학교3.2. 중학교3.3. 고등학교3.4. 대학교
4. 주변 시설
4.1. 주거4.2. 상업
5. 출신 인물6. 여담

[clearfix]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의 한 으로 완주의 이서면을 제외하면 최서단에 있는 하위 행정구역.북쪽엔 익산시, 남쪽엔 전주시, 동쪽엔 봉동읍용진읍이 있다.

사실 이곳이 '읍' 단위 행정구역임에도 읍 치고는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은 곳인데, 읍 단위 행정구역 중에서 독보적으로 교통이 편리한 곳이기 때문. 호남고속도로 톨게이트 바로 옆에 읍내가 있는데다 읍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열차가 제법 많이 정차하는 삼례역이 있고, 전주와 익산을 잇는 지역으로 두 도시 시내버스의 주요 종점이기도 할 정도로 위치가 좋다. 애당초 조선 시대에 삼례에 있었던 삼례역[2]은 주변 역들을 통괄하는 찰방역으로 기능했으며, 조선시대 간선도로인 제주로[3]와 통영로[4]가 만나는 분기점이기도 할 정도로 전라도의 북쪽 관문으로 기능했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의 익산역익산JC와 비슷한 위상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5] 동학 삼례집회가 열린 것도 다 이유가 있는셈.[6]

2. 공공기관

3. 학교 목록

글자순으로 정렬해주세요. 글자 수가 같다면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3.1. 초등학교

3.2. 중학교

3.3. 고등학교

3.4. 대학교

4. 주변 시설

4.1. 주거

4.2. 상업

5. 출신 인물

6. 여담


[1]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2] 현재의 철도역 삼례역이 아닌 역참 삼례역을 의미하며, 그 위치는 삼례리 1074번지로 알려져 있다.[3] 한성에서 해남, 제주를 잇는 간선도로로, 해남로 또는 호남대로로 불리기도 했다.[4] 한성통영을 잇는 간선도로로, 통제사길로 불리기도 했다.[5] 현재도 호남선이 이 제주로 루트를 따라 삼례읍을 경유했다면 이곳은 전주시의 철도 관문으로 자리잡았을 것이다. 광주송정역처럼 외곽에 위치한 관문 철도역 역할을 삼례읍이 하는 것이다. 다만 전주시 권역이라고 하기에는 먼 익산시 이리 지역에 익산역이 개통했고, 따라서 호남선이 전주를 경유한다고 하기에는 너무 멀리 돌아가게 되었다. 이 여파로 전라선전주역을 이용하는 전주시 구간 수요로 가득차게 되었고 이는 곧 전주시와 전주시 이남 전라선 구간 지역, 그리고 호남의 양대 도시인 광주와 전주를 이동하는 수요에 모두 불편을 야기하였다. 호남선이 처음부터 삼례를 경유했으면 호남선, 전라선이 모두 전주시를 커버할 수 있었기에 전주시 수요가 더욱 탄력적으로 충족이 되었을 것이 아쉬운 부분. 애시당초 교통의 기본은 수요처를 우선적으로 경유하는게 당연한 상식인데 그것이 안 지켜진 것이다.[6] 현대로 따지면 익산역 광장에서 집회를 연 것이다.[7] 2024년 03월 01일에 삼봉지구로 신축이전. 위치는 완주삼봉LH1단지아파트 옆에 있다.[8] 최근에는 인근 축사들이 많이 정리되긴 했으나 악취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