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가천초등학교 | 간중초등학교 | 고산초등학교 | 구이초등학교 | 남관초등학교 |
대덕초등학교 | 동상초등학교 | 동양초등학교 | 봉동초등학교 | 봉동초등학교양화분교장 | |
봉서초등학교 | 봉성초등학교 | 비봉초등학교 | 삼례동초등학교 | 삼례중앙초등학교 | |
삼례초등학교 | 삼우초등학교 | 상관초등학교 | 소양서초등학교 | 소양초등학교 | |
송광초등학교 | 용봉초등학교 | 용진초등학교 | 운주초등학교 | 이서초등학교 | |
이성초등학교 | 청명초등학교 | 청완초등학교 | 태봉초등학교 | 화산초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2D7C1F><colcolor=#fff> 삼례중앙초등학교 參禮中央初等學校 Samrye Jungang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08년 8월 31일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고경석 |
교화 | 벚나무 |
교목 | 느티나무 |
교조 | 비둘기 |
학생 수 | 170명[기준] |
교직원 수 | 21명[기준] |
관할청 | 전북특별자치도완주교육지원청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웃삼례길 17-10 (삼례리 205)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에 위치한 초등학교.2. 학교 연혁
<colbgcolor=#2D7C1F><colcolor=#fff> 날짜 | 연혁 |
1908년 8월 31일 | 사립 영흥학교로 개교 |
1917년 2월 13일 | 사립 영신학교로 개명 |
1967년 4월 15일 | 공립 영신초등학교로 개명 |
1969년 4월 30일 | 삼례중앙초등학교로 개명 |
2021년 2월 28일 | SW 선도학교 운영(2017.3.01.~2021.2.28) |
2021년 3월 1일 | 혁신학교 운영(2016.3.01.~2022.2.28.) |
2021년 9월 1일 | 제23대 고경석 교장 부임 |
2022년 3월 1일 | 혁신+학교 운영(2022.3.01.~2025.2.28.) |
2024년 1월 5일 | 제106회 39명 졸업(총 4,859명 졸업) |
2024년 3월 1일 | 12학급 편성(167명, 특수학급 2학급 포함), 병설유치원 3학급 편성 |
3. 학교 상징
- 출처: 삼례중앙초등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화
벚나무
벚나무는 세계적으로 약 2,000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한라산을 비롯한 전국 산야에 왕벚나무를 비롯한 2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화주에 털이 있으며, 이른봄 진분홍색의 꽃봉오리를 맺은후 연분홍색의 화려하고 우아한 꽃을 피운다.
벚나무는 세계적으로 약 2,000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한라산을 비롯한 전국 산야에 왕벚나무를 비롯한 20여종이 자생하고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화주에 털이 있으며, 이른봄 진분홍색의 꽃봉오리를 맺은후 연분홍색의 화려하고 우아한 꽃을 피운다.
3.3. 교목
느티나무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국(평남·함남 이남지역)·일본 ·몽골·중국·시베리아 유럽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또는 마을 부근의 흙이 깊고 진 땅에서 주로 서식한다. 크기는 높이 26m, 지름 약 3m, 잎길이 2∼7cm, 나비 1∼2.5cm, 열매 지름 4mm 정도이다.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국(평남·함남 이남지역)·일본 ·몽골·중국·시베리아 유럽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또는 마을 부근의 흙이 깊고 진 땅에서 주로 서식한다. 크기는 높이 26m, 지름 약 3m, 잎길이 2∼7cm, 나비 1∼2.5cm, 열매 지름 4mm 정도이다. 규목(槻木)이라고도 한다.
3.4. 교조
비둘기
조류 비둘기과의 총칭으로 조류 비둘기목으로 분류된다. 비둘기목에는 사막꿩과·비둘기과가 있으며 이 밖에도 이미 절종된 도도(새)과 등이 있다. 비둘기과에는 총 289종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는 멧비둘기·양비둘기·흑비둘기(천연기념물 제 215호)·염주비둘기·녹색비둘기 등 5종이 있다.
조류 비둘기과의 총칭으로 조류 비둘기목으로 분류된다. 비둘기목에는 사막꿩과·비둘기과가 있으며 이 밖에도 이미 절종된 도도(새)과 등이 있다. 비둘기과에는 총 289종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는 멧비둘기·양비둘기·흑비둘기(천연기념물 제 215호)·염주비둘기·녹색비둘기 등 5종이 있다.
3.5. 교육목표
3.6.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6.3.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7. 운동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3] |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9.2. 철도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