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3:23:36

삼성 카메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성전자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내용은 삼성 카메라(애플리케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삼성테크윈
2.1. 삼성 미놀타2.2. Kenox 필름카메라2.3. Digimax2.4. DSLR GX시리즈2.5. VLUU
3. 삼성전자
3.1. 삼성디지털이미징(2009) 이전3.2. 한효주 디카3.3. 삼성 NX, NX-M3.4. 삼성 카메라 철수3.5. 카메라 반도체 부품 (CMOS, ISP)3.6. 새로운 시도3.7. 부활?

1. 개요

삼성카메라 제품 또는 카메라 관련 사업을 이르는 말이다. 2009년 삼성테크윈의 카메라 사업부와 삼성전자의 캠코더 사업부가 합쳐져서 삼성디지털이미징이 설립되었다가 2010년 삼성전자에 흡수되었다. 이후 2016년 삼성은 카메라 시장에서 철수했으나 삼성 갤럭시 폰카 명성의 뿌리로서 큰 의의를 갖고 있다. 또한 오디오, 자동차, 안내견 사업과 함께 이건희의 덕후력#과 상당히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2. 삼성테크윈

삼성정밀공업 시절부터 카메라 사업에 관심을 가졌으니 "삼성정밀의 카메라", "삼성항공의 카메라"라는 이름을 거쳤다.

삼성그룹의 타원 로고를 썼어도 엄연히 회사가 다르기 때문에 카메라 AS를 받을 때 삼성전자 AS 센터에서 받아주지 않았다. 당시 카메라수리점 중엔 "삼성 카메라 A/S" 이름을 따로 달고 있다.# 삼성전자 합병 후에도 줌렌즈 구동부 등 수리 전문분야가 다르기 때문에 수원공장에 보냈다 한다.

2005년부터 2013년경까지 CGV 영화에티켓 광고 스폰서로도 활약했다.

2.1. 삼성 미놀타

1979년, 삼성 미놀타로 미놀타 카메라를 수입해서 팔면서 카메라 사업을 시작했다.파일:external/blogimg.hani.co.kr/4706542202721.jpg

2.2. Kenox 필름카메라

1985년 순수 기술로 카메라를 제작한다. 이후 브랜드와 광학기술에 좌우되는 전문가용 카메라 시장은 미뤄두고 편의성이 중요한 가정용 카메라 시장에 힘을 쏟는다. 카메라에 모터를 집어넣고 "줌렌즈, 자동카메라" 영역에서 기회를 잡는다.

1995년 독일 롤라이 사를 인수했고, 1996년 Kenox라는 자체 브랜드를 붙일 정도로 성장했다. 나름 세계 7대 카메라 제조 업체에 들게 된다. 고급 제품에는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 렌즈[1]를 도입한다.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 렌즈를 공급받던 롤라이를 인수했기에 삼성도 쉽게 슈나이더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삼성 슈나이더 렌즈는 엄밀히는 Varioplan이라는 명칭을 쓰는 라이센스 줌 렌즈로 삼성이 생산해 슈나이더의 인증을 받는 렌즈였다.[2]

2.3. Digimax

(Kenox) Digimax 350SE 제품을 앞세워 본격적으로 디카 시장에 진출한다. 그 이전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디카들을 시험삼아 제작했던 듯 하다. 케녹스에 누가 되지 않도록 디카 전용으로 디지맥스 브랜드를 사용한다.

2.4. DSLR GX시리즈

2006년, 펜탁스와 제휴하여 DSLR도 출시했지만 GX-1(1997)처럼 또 실패했다. 사실 시기적으로도 위태로울 수 밖에 없었던 게 최강의 공돌이집단(?)으로 유명했던 미놀타조차 소니로 넘어가는 시기였고, DSLR은 캐논니콘의 양강구도로 재편되어 가는 시기다보니, 펜탁스는 매출저하에 따른 R&D비용 감소로 인해 매번 옆그레이드만 반복하면서 캐니콘에 비해 나은 건 가성비 밖에 없는 상황이다보니 제휴를 하는 삼성 입장에서도 그다지 재미를 보기 어려웠을 것이다. 무엇보다 K마운트 렌즈의 빡센 수급상황이 문제.

사례 자체가 정확히 10년전의 삼성 새턴과 유사한 케이스라는 점도 포인트.

2.5. VLUU

파일:external/static.trustedreviews.com/3445-1.jpg
2006년 삼성 VLUU NV 시리즈를 출시하면서 디자인과 사용성에서 호평을 받고 점유율을 늘려나간다. 클래식한 블랙 바디와 렌즈의 푸른 링이 디자인 포인트.
2006년 NV 시리즈를 플래그십으로, 기타 브랜드를 보급기로 카메라를 제조 판매 하였다.
2008년 NV9, NV100HD로 NV 시리즈는 막을 내린다.
2008년에 VLUU시리즈 중 NV11이 DSLR인 GX-10과 함께 우주로 보내졌다.#
2009년부터는 고급형 라인업은 WB 시리즈로, 이하 라인업은 ST 시리즈 등으로 분류하여 판매했다.

3. 삼성전자

2009년 삼성테크윈의 카메라 사업부와 삼성전자의 캠코더 사업부가 합쳐져서 삼성디지털이미징이 설립되었다가 1년 뒤 삼성전자에 흡수 합병되었다.

3.1. 삼성디지털이미징(2009) 이전

삼성전자는 카메라보다는 캠코더 사업을 오래도록 해 왔었다. 소니 타도를 외쳤던 대표적 분야 중 하나였다.
디카, 폰카가 점차 보급되자 독특한 시도를 진행했다.파일:external/www.comparestoreprices.co.uk/samsung-vpd6050i.jpg

3.2. 한효주 디카


싸이월드, 페이스북 등의 활성화에 따른 셀카의 중요성이 커졌고 삼성은 2009년 업계 최초로 듀얼 LCD를 장착한 카메라(ST550)를 출시했다. 당대 모델이 한효주였기 때문에 "한효주 디카"로 불리곤 했다. # 이 제품은 큰 호평을 받았으며 이후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에는 셀카를 찍을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외 보급형 똑딱이 디카 목록.
하이엔드 카메라도 있었다.

3.3. 삼성 NX, NX-M

2010년, 삼성 NX를 출시, 똑딱이DSLR 중간즈음의 플랫폼인 미러리스 시장에 진출한다. 2012년 10월에는 국내 미러리스 시장 판매량 1위를 할 정도로 미러리스 입문자들에게 호평받았으며 특히 렌즈군은 "광학의 삼성" 소리를 들을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파일:external/img.kr.news.samsung.com/NX200_21.jpg

3.4. 삼성 카메라 철수

파일:external/gigglehd.com/db77d8af1506e8deef9ede3bafef8ec0.jpg
CIPA(Camera & Imaging Products Association/카메라 영상기기공업회) 카메라 생산량 통계: 회색-필름카메라 / 청색-컴팩트디카 / 녹색-DSLR / 적색-미러리스 # 2016 스마트폰 통계포함

카메라 시장의 후발주자였음에도 삼성은 올림푸스, 코니카, 미놀타, 펜탁스 등등의 왕년에 잘 나갔던 카메라 브랜드들을 제치고 2010년 카메라 시장 세계 점유율에서[10] 캐논, 소니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2016년 기점으로 카메라 사업에서 철수한다.# 얼핏 미러리스 시장이 성장하는 듯 보이나 큰 성장세는 아니며 폰카의 발달로 카메라 시장 자체가 무너지는 듯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를 봤을 때 사양산업으로 판단하여 굳이 계속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완전히 손 떼는 것은 아니며 CMOS 센서부문은 역량을 강화한다. 디카 몰락의 원흉인 폰카자사 제품이며, 카메라 센서라는 것이 반도체이기도 하다. 사실, 중국산 모바일 단말기와 차별화할 포인트가 될 수 있는 중요한 부품이기도 하고, IoT가 됐든 타 분야가 됐든 아예 기술이 없다면 모를까 이미 진입해 있고 기술이 있다면 산업적으로도 포기할 수 없는 게 이미징 센서다.

니콘에 미러리스 카메라 제조시설을 판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협상이 결렬되었다 한다.

3.5. 카메라 반도체 부품 (CMOS, ISP)

이면조사 센서 일종인 삼성 아이소셀 개발로 폰카를 위한 카메라 센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2014년 카메라 센서 점유율 1위 소니, 3위 삼성. #

2016년 갤럭시 S7에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ISP)를 자체 개발하여 스냅드래곤 ISP 대신 자사의 ISP를 적용하여 화질을 높였다.

3.6. 새로운 시도

전통적인 범주의 카메라는 사업을 접었지만 폰카/작은카메라/이미지센서의 성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나마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2016년경, 미래의 카메라를 위한 투자와 실험이 지속되었다. 기어 VR과 관련된 카메라 개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2020년, 폰카카툭튀가 나날이 성장하며, 상위의 해괴한 시도보다는 그저 주머니 속 폰카의 성능을 강화하는 방향이 정답이 되었다. 갤럭시 S20 Ultra처럼 스마트폰에도 줌렌즈(이너줌)를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덕질은 삼성 폰"…갤럭시S22 울트라 '대여' 인기폭발 왜? - (머니투데이, 2022)
광학 10배, 디지털 100배 줌렌즈는 아이돌 콘서트 촬영용도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화각 화질

3.7. 부활?

2020년 4월경부터 삼성NX Ultra가 출시할거라는 썰이 있었고, 한편에서는 NX2로 부활한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흐지부지 된 적 있다.# 다만 해당 소식이 처음으로 나왔던 기사의 날짜가 만우절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애초부터 루머조차 아니었던 셈. 애초에 판형조차 맞지 않는 s20 울트라의 108메가픽셀 센서를 사용한다고 하는 등 장난성이 다분하다.

23년 1월,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 참석한 이재용 회장의 '캐논' 발언[12]과 관련해 삼성의 카메라 사업이 재개되는것 아니냐는 설이 돌았다. #관련기사 하지만 그 후에도 별도로 삼성 측에서 발표한 내용이 없어 확대해석으로 일단락되었다.

삼성이 카메라 사업부를 철수하고 일명 폰카에 올인한 결과는 10년 가까이 지난 현재에 와서는 매우 성공적인 결정으로 평가받는 만큼 카메라 사업부가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미 전문가 카메라 영역은 소니와 니콘이 완벽히 자리매김했고 삼성은 일반 소비자들이 더 이상 월등히 발전한 폰카 성능을 두고 굳이 취미로 두지 않는 이상 카메라를 구입하는 일이 없어졌다는 걸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소비자들도 더 이상 카메라를 찾지 않을 만큼 일상에서 폰카의 성능이 월등히 발전했기도 하다. 이런 삼성의 결정은 결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을 1위로 만들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2010년부터 2023년 까지 줄곧 1위였다.


[1] 보통 세계 3대 카메라용 렌즈 회사로 칼 차이스,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 로덴스톡을 꼽는데 칼 차이스 렌즈는 소니가 채용했고 로덴스톡 렌즈는 채용된 디카가 없다.[2] Varioplan이라는 명칭 자체가 슈나이더의 제품군에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이스트만 코닥은 자사의 디카 이지셰어 시리즈에 슈나이더 크로이츠나흐의 정식 생산품인 Variogon 렌즈를 썼다.[3] 렌즈/파인더와 같은 광학부는 당시 기술적인 한계로 일본에 외주를 맡겼다고 한다. 윙키 개발비화[4] 해외수출명은 'ECX-1'이다.[5] 파일:external/image.auction.co.kr/4c33788c0.jpg
이 땐 다른 브랜드도 이런 걸 많이 내놨다. 가정용 캠코더가 한창 팔릴 때 별별 우주적인 디자인이 다 나왔는데, 그 전에 하이엔드 필름 카메라 시장도 비슷했다. 올림푸스도 그랬고.. 소니 디카의 실험적인 디자인은 장난일 정도. 70년대식 RF/SLR 디자인을 추종하는 복고풍 바람이 불기 시작한 것은, 디지털 카메라가 고급화 되면서 부터이다.
[6] 원래는 완전 자동을 목표로 했으나, 당시 미놀타 AF의 특허를 대신할 기술을 갖추지 못해 결국 MF로 출시했다고 한다.[7] 2010년 부터 소니 CMOS로 넘어가게 된다. 2009년에 출시된 K-7은 삼성제 CMOS를 사용했다.[8] 당시 삼성의 고급 카메라 제품군 중 유일하게 HD 동영상 촬영이 빠졌다. 결국 2년 후 후속모델인 EX2F에는 다른 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풀HD 동영상 기능이 적용되었다.[9] 사실 이 당시만 해도 카메라 촬상소자와 캠코더 촬상소자 특성, 기술 및 화소수가 달랐다. 카메라 촬상소자가 동영상 촬영을 무난하게 해내기 전까지는 캠코더에 삼성테크윈의 카메라 모듈채 붙여버릴 수밖에 없었다.[10] 전문가용 DSLR보다는 가정용 카메라가 영향력이 크다. 그래도 수익성은 전문가용 카메라가 좋다.[11] 2019년 시점에서는 기자(Press)의 카메라는 일제만 남아있을 정도로 여타 회사의 카메라 시장 진입은 어려웠고, 카메라는 일본만 만들 수 있다는 자존심을 부릴 수 있었다.#[12] 2023년 1월 19일 스위스 다보스 포럼 '한국의 밤' 행사에 참석한 이재용 회장이 취재진들의 카메라를 보고 "(카메라가) 다 캐논 아니면 소니" 라고 발언한것이다. 울론 삼성바디가 생산중이던 시절에도 기자들의 경우 일본 3사의 프레스바디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일반 컨슈머 시장까지 다른 카메라 회사에게 완전히 뺏겨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