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3:50:38

생방송 음악캠프

MBC 음악캠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방송사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배철수의 음악캠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방송 음악캠프
Music Camp
파일:MBC 음악캠프 로고 (2005).jpg
채널 MBC 방송 횟수 287부작
기간 1998년 4월 25일 ~ 1999년 1월 23일
1999년 5월 15일 ~ 2005년 7월 30일[1]
편성 토요일 16:00
제작 MBC 예능국 연출 고재형, 박현호[2]
진행 신지, MC몽[3]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담당 부서3. 역사4. 순위 선정 방식
4.1. 날짜별 순위 집계 방식4.2. 5주 이상 연속 1위 목록
5. 역대 1위 곡6. 방송 시간7. 역대 진행자
7.1. 1기7.2. 2기7.3. MC 대행
8. 프로그램 로고
8.1. 1기8.2. 2기
9. 마스코트10. 방송사고
10.1. 베이비복스 무대 욕설 사건10.2. 알몸 노출 사건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의 前 음악 프로그램이다. 인기가요 베스트 50의 후신이자 쇼! 음악중심의 전신 프로그램으로, 1998년 4월 25일부터 2005년 7월 30일까지 방송되었다.[4] 촬영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여의도 사옥 공개홀이었다.

프로그램 극초기에는 가수가 공연하는 도중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프레임 잘라먹기 신공으로 박력있게 편집하는 기술을 남발했다. 사실 전신인 인기가요 베스트 50 시절부터 했던 편집신공을 여기서도 보여준 것에 가깝다.

가사 자막의 경우 1998년 2월부터 2001년 2월까지는 화면 하단에 가사가 나갔으며, 2000년 4~6월에는 자막이 나가지 않았다. 2001년 3월부터는 화면 하단 왼쪽에 매우 크게 가사가 나갔다. 2001년 12월 22일 방송분부터는 가사 크기가 작아졌고, 2003년 5월 31일 방송부터 눈에 띌 정도로 더 작아졌다. 2005년 1월 22일부터는 4년간 써오던 굴림체를 버리고 다른 글씨로 교체했다.[5]

또한 당시 음악 트렌드를 반영해 섭외를 하기도 했는데, 1999년 테크노 열풍때는 독일 하드 하우스그룹 666을 초청해 'Amokk'를 선보였고, 2004년쯤엔 언니네 이발관, 아소토 유니온, 이승열, W 등 인디밴드의 무대를 100퍼센트 라이브로 볼 수 있었다. 이후 2004년 하반기 옥주현데니 안으로 MC 교체 및 개편 때 녹화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일본 음악방송처럼 모든 출연 가수들에게 각각 다른 무대 세트를 제작하고 방청객 없이 녹화하는 획기적인 방식을 택했다가 제작비 문제와 무관중의 어색함 탓인지 2005년 봄 이후 기존 생방송 방식으로 전환됐다.하지만 아래 서술된 노출 사건으로 100% 생방송은 이후 영영 사라지게 된다 2005년부터는 신인 가수 발굴 프로젝트로 매주 3팀의 신인을 선정, 그 중 우승한 한 팀에겐 '이달의 신인' 혜택으로 한달 내내 음악캠프에 방송 출연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 줬었다.

2. 담당 부서

전작인 <젊은 그대>와 마찬가지로 예능국 예능1CP에서 맡아왔으며 2000년 7월 전문프로듀서 제도 도입에 따라 '프로듀서1'로 변경되었다. 2001년 9월 상위 부서명이 'TV제작2국'으로 변경되었다가 2003년 예능국으로 환원되었고, 2005년 6월 CP제 복원에 따라 예능1CP로 환원되었다.

3. 역사

인기가요 베스트 50의 후속작으로 '생방송 젊은 그대'를 신설했지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종영되었다. 그리고 KBS 브라보 신세대[6]SBS 인기가요가 방송되던 시점 사이인 4월 25일에 음악캠프를 신설했으며, 1999년 1월 23일에 음악캠프를 종영하고 후속작으로 2시간짜리 프로그램 <가족캠프>라는 이름으로 예능과 음악방송 무대가 합쳐진 포맷으로 신설했지만 역시 큰 호응을 얻지 못한 채 접고 그 해 5월 15일에 음악캠프가 부활했으며 이 때는 순위제없이 공연 위주로 진행하다가 2000년 5월 20일부터 순위제를 도입했다.[7] 3사 중 유일하게 50위권 외의 순위도 공개한 음악방송이었다.[8] 1999년 재부활 당시 1회로 재카운트하는 바람에 앞에 방영된 1년치(1998년) 방영분이 증발하게 되어 버렸고 이렇게 꼬여버린 회차 때문인지 MBC 공식 유튜브나 OTT VOD 서비스에도 사실상 1기라고 표현할 수 있는 <음악캠프(1998)>, <젊은 그대>, <가족캠프> 자료들이 거의 누락돼 업로드되어 있지 않다.

연제협 MBC 출연 거부 사태 중에는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2001년 7월 7일 방송분에서는 박진영의 무대를 제외하고 방송 내내 M/V만 틀었던 적도 있었다.[9] 이후 MBC의 모든 예능프로가 정상화된 뒤에 시청자들이 립싱크에 대한 문제를 제기해 2001년 9월 1일부터는 가요톱텐과 쇼 뮤직탱크처럼 5주 제도[10]로 바뀌었으며 이 음악프로에 출연하는 가수들은 예외없이 라이브로 하는 라이브 공연 정책을 수립하고, 다른 방송사의 음악 프로그램 대비 경쟁력이 확보되며 상당히 롱런했다.[11]

이 당시 활동하던 '걸프렌드'란 걸그룹이 이 정책이 실시되자마자 급작스럽게 출연을 취소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얼마 후 이 그룹 멤버 중 2명이 본인 목소리가 아닌 가이드의 목소리를 그대로 앨범에 실은, 말 그대로 '립싱크 가수'였음이 폭로되면서 거센 비난을 받고 매장됐다. 이 그룹의 멤버 중 유일하게 본인 목소리로 참여했던 가연(본명 김가연)은 2011년 LPG의 2기 멤버로 합류하여 2013년까지 멤버로 활동했다.

이 외에도 평소 라이브를 잘 볼 수 없던 댄스 가수들이나 아이돌 그룹들의 실력 평가의 잣대가 되는 프로그램이 되었기도 하다. 이 프로그램에 나와 사실상 은퇴 무대를 가진 가수도 있었고, 걸프렌드처럼 애초에 MBC에 출연 자체를 거부하며 프로모션에서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이미지 실추를 사수하고자 MBC 음악캠프엔 출연을 포기하는 댄스 가수들이 무더기로 나오는 사태가 발생했다. 출연에 목숨건 신인 댄스가수들 중에서는 이런 대참사를 벌인 흑역사 생성 무대가 부지기수였기도 하다. 다만 인이어도 없고 대중들의 '너 얼마나 라이브 잘 하나 두고보자'며 부담스러운 시선과 열악한 라이브 환경의 이 프로그램에서도 완벽한 라이브를 보여주거나 열심히 올라이브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호감도를 쌓아 그로 인한 호평으로 반사이익을 얻는 가수들도 상당했던 편이다.

2000년에 서태지의 은퇴 번복 컴백 사전녹화 무대를 유일하게 내보내 준 지상파 음악방송도 이 프로였고, 2002년 8월에 박명수오동도에서 삑사리를 낸 흑역사로도 유명하다. 해당 문서로.

2004년 7월 10일 방송분부터 녹화방송으로 전환했으며, 무관중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는 가수 한팀 한팀 다양한 세트와 컨셉, 장소에 공연을 하는 형식으로 가다가 시청률 문제 때문인지 2005년 3월 19일 방송분부터 다시 생방송으로 진행됐다. 이 반년동안 출연했던 모든 가수들의 무대를 연차 불문하고 평등하게 각각 다른 세트를 만들어 촬영했기에 시간과 정성, 재정을 모두 엄청나게 쏟았다. 또한 1위 발표는 방송이 끝나기 전 성우가 따로 발표한 뒤, 1위를 한 가수에게 트로피를 따로 전달한 다음 비하인드 스토리를 내보내면서 방송을 끝마친다.

2005년 1월부터 <이달의 신인>이라는 코너를 만들었다. 첫째주에 신인가수 3팀의 무대를 올려 가장 많은 표른 받은 팀은 한달간 음악캠프 출연권을 얻는 시스템이었는데 이달의 신인으로 하은(본명 임현정)[12], 동방신기 등이 투표로 n월의 신인이란 타이틀로 출연했었다.

2005년 7월 2일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가수나 인디밴드를 소개하기 위해 〈이노래 좋은가요(歌謠)〉라는 코너를 마련했는데[13],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최악의 방송사고로 인해 지상파 라이브 음악방송 하나를 통째로 날려버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 해 7월 30일 출연한 펑크밴드 럭스(RUX)를 응원하러 같이 출연한 펑크밴드 카우치의 멤버 신현범과 스파이키 브랫츠의 멤버 오창래, 이렇게 2명이 대한민국 방송 역사상 1위에 해당하는 희대의 막장 방송사고를 터뜨리면서 방송 7년만에 강제 종영되었고 대략 석 달간의 공백기를 거친 뒤에야 쇼! 음악중심으로 부활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4]

4. 순위 선정 방식

4.1. 날짜별 순위 집계 방식


참고로 여기서 5주 이상 1위 하는 건 가요톱10에서 골든컵 타는 것보다 더 어려웠다. 8~90년대보다 히트곡의 주기가 짧아졌기 때문. 음악캠프에서 5주 이상 1위를 달성한 곡은 단 4곡, 1년에 한두 번 꼴로 밖에 없다. 또한 2004년까지는 5주 '연속' 1위[21]가 한 곡이 받을 수 있는 최대 횟수로, 다음 주차 순위에서 제외되는 명예졸업이 존재했으나, 2005년부터 순위제 제도가 풀려 무제한 1위도 가능하였다. 해당 기사

4.2. 5주 이상 연속 1위 목록

생방송 음악캠프 5주 이상 연속 1위 수상곡 목록
<rowcolor=#000000> 1위 기간 가수명 곡명 1위 횟수
2003. 5. 10. ~ 2003. 6. 7. SE7EN 와줘.. 5주 연속 1위
2004. 2. 28. ~ 2004. 3. 27. 테이 사랑은 향기를 남기고
2005. 4. 2. ~ 2005. 4. 30. 버즈 겁쟁이

5. 역대 1위 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생방송 음악캠프/차트/1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방송 시간

7. 역대 진행자

역대 MC들의 200회 축하 멘트 영상에서 1999년 5월 부활 후 첫 방송의 MC를 1대 MC로 소개함에 따라 부활 전의 역대 MC를 1기 1, 2대로 구분한다.

7.1. 1기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박용하 김진수 정은아 1998년 4월 25일 ~ 1998년 10월 31일
2대 차승원 황수정 1998년 11월 7일 ~ 1999년 1월 23일

7.2. 2기

대수 진행자 진행 기간 비고
1대 박진희 배두나 1999년 5월 15일 ~ 1999년 10월 16일
2대 소지섭 박채림 1999년 10월 23일 ~ 2000년 4월 15일
3대 박광현 김효진 홍수현 2000년 4월 22일 ~ 2000년 10월 28일
4대 류시원 한고은 2000년 12월 9일 ~ 2001년 3월 3일
5대 류시원 2001년 3월 10일 ~ 2001년 4월 21일
6대 류시원 황인영 2001년 4월 28일 ~ 2001년 11월 3일
7대 지성 장나라 2001년 11월 10일 ~ 2002년 5월 11일
8대 이성진 정다빈 2002년 7월 6일 ~ 2003년 6월 21일 정다빈은 6월 28일까지 진행
9대 성시경 신애 2003년 7월 12일 ~ 2003년 12월 27일 성시경은 2004년 1월 3일까지 진행
10대 공유 한지혜 2004년 1월 10일 ~ 2004년 7월 3일 한지혜는 1월 3일부터 진행
11대 데니 안 옥주현 2004년 7월 10일 ~ 2005년 2월 26일 녹화 방송 전환
12대 MC 몽 신지 2005년 3월 5일 ~ 2005년 7월 30일 3월 19일부터 생방송 환원

7.3. MC 대행

진행자 진행 기간
H.O.T. 2000년 11월 4일
핑클 2000년 11월 11일
god 2000년 11월 18일
임창정, 유승준 2000년 11월 25일
임창정 2002년 7월 20일
김진표 2003년 6월 28일

8. 프로그램 로고

8.1. 1기

파일:구음캠1.png 파일:구음캠2.png
1대 (1998.4.25 ~ 1998.10.31) 2대 (1998.11.7 ~ 1999.1.23)

8.2. 2기

파일:zxZzXXsaa1.png 파일:asdasdds2.png
1대 (1999.5.15 ~ 1999.10.16) 2대 (1999.10.23 ~ 2000.4.15)
파일:main_03.gif 파일:attachment/음악캠프/musiccamp.gif
3대 (2000.4.22 ~ 2001.4.14)
6대 (2004.7.10 ~ 2005.3.12)
4대 (2001.3.3 ~ 2003.7.19)[23]
파일:dfgffdgdgdff5.png 파일:생방송 음악캠프 20050730.png
5대 (2003.7.26 ~ 2004.7.3)[24] 7대 (2005.3.19 ~ 2005.7.30)

2005년 3월 19일부터 생방송으로 전환하면서 바뀐 최후의 로고는 산돌 붐체를 사용했다.

9. 마스코트

10. 방송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0.1. 베이비복스 무대 욕설 사건


부산에서 진행된 2000년 7월 22일, 신화팬들[25]이 단체로 베이비복스를 향해 "꺼져라." 등의 욕설을 퍼부었고 이 음성이 그대로 여과 없이 전국으로 송출되고 말았다.

이 사건 때문에 신화는 차주 회차 출연진 명단 및 차트 집계에서 제외되는 중징계를 받았다.

10.2. 알몸 노출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사건의 여파로 생방송 음악캠프가 아예 폐지되었으며, 3개월 뒤 쇼! 음악중심이 편성되었다.

[1] 생방송 음악캠프 알몸노출 사건으로 인한 종영[2] 조연출은 최윤정 담당.[3] 마지막 음악캠프 진행 MC이며 2005년 3월 5일 ~ 2005년 7월 30일[4] 총 방송 횟수는 287회, 전신격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방영 횟수까지 포함하면 323회이다. 순위 집계는 2005년 9월 3일까지 집계되었다.[5] 생방송으로 전환된 뒤엔 잠시동안 가사 자막을 제공하지 않을 때도 있었다.[6] 두 달 후 뮤직뱅크 신설.[7] 초창기에는 따로 1위 후보 발표없이 차트 순위 소개로 1위를 발표했으며, 가끔씩 뮤직뱅크나 인기가요처럼 전화 및 PC통신, 인터넷 투표로 MVP를 선정하기도 했다.[8] 실제로 방송3사의 가요순위는 100위까지 집계했다고 한다.[9] 사실 박진영의 무대도 6월 23일 방송분을 그대로 재탕해서 내보낸 것이다. 다시 말해 M/V가 아닐 뿐, 다른 가수들처럼 직접 출연하지 않았다는 것.[10] 다만 방송에서는 변경 언급을 따로 하진 않았다.[11] KBS의 경우 립싱크/라이브 표기를 해서 가수들의 라이브 비중을 많이 유도해 높히긴 했지만 MBC처럼 필수는 아니었다. SBS도 라이브 무대의 경우 Live 자막을 넣곤 했지만 케이블처럼 립싱크에 대해서 관대했으며, 2004년을 기점으로 라이브 비중이 늘기 시작했다.[12] 2023년 싱어게인 시즌3에 등장해 근황을 알렸다.[13] 이 코너의 첫 출연자는 2인조 혼성 일렉트로니카 밴드인 캐스커. 웃찾사 출신 코미디언이자 유튜버 이은형의 언니 이융진이 속해있는 그 혼성그룹 맞다.[14] 그 공백기 동안에는 시각장애인 하모니카 연주자 전제덕을 MC로 한 <전제덕의 마음으로 보는 콘서트>가 방영되었다.[15] SKT의 '컬러링', KTF의 '링투유', LGT의 '필링'[16] 당시 점유율 1위였던 벅스뮤직은 당시 불법 다운로드 문제성으로 음원제작자협회에서 지분문제가 해결되는 절차였기에 집계도에서 제외, 맥스MP3는 주로 Mnet 엠 카운트다운에서 음원 판매 순위 집계를 담당하였다.[17] 1999년 1월 30일부터 5월 8일까지 '가족캠프'로 대체 편성되었고, 순위제는 1999년 1월 30일부터 2000년 5월 13일까지 중단되었다. 이후 1999년 5월 15일에 음악캠프가 다시 방영되었으나, 순위제는 여전히 중단되었다.[18] 번화가, 놀이공원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방송 며칠 전에 1위 후보 사전 투표를 진행했다.[19] 연제협 MBC 출연 거부 사태 로 자체 순위집계로 운영돼 왔던, 음악캠프 순위제도가 일시적으로 중단되고 기존 음악방송에서 실시하는 집계로 환원되면서 모든 출연가수의 100% 라이브 제도가 시행되었다.[20] 음악캠프의 종영은 2005년 7월 30일이지만 순위 집계는 2005년 9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21] 통산으로 5번 1위를 수상해도 명예졸업으로 판정나지 않았다.[22] 2001년 7월 7일 이후에는 연제협 사건으로 한동안 방영되지 않았다가 그 해 9월 1일부터 방송 재개.[23] 다만, 2003.7~2005.7까지도 종종 사용했다. 대표적으로 마지막회까지 MC들 대본 뒤에 이 로고가 붙어있다.[24] 타이틀 한정. 중간알림으로는 마지막회까지 사용되었다.[25] 당시 H.O.T.와 같은 소속사여서 팬덤끼리 연대 의식이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