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17:35:52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부울경 상급종합병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진주)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부산 서구) 동아대학교병원 (부산 서구) 부산대학교병원 (부산 서구)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창원 마산회원구)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양산) 울산대학교병원 (울산 동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부산 부산진구)
경상남도 종합병원 · 부산광역시 종합병원 · 울산광역시 종합병원
}}}}}}}}} ||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관내 종합병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거제시 거붕백병원, 대우병원, 맑은샘병원
김해시 경희의료원 교육협력 중앙병원(부도로 운영 중단), 김해복음병원, 갑을장유병원, 조은금강병원, 강일병원
양산시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베데스다병원, 웅상중앙병원
진주시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진주고려병원, 진주제일병원, 한일병원
창원시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근로복지공단 창원병원, 동마산병원, 에스엠지 연세병원, 연세에스병원,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창원제일종합병원, 창원파티마병원, 청아병원, 한양대학교 교육협력 창원한마음병원
통영시 새통영병원
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 ||

권역응급의료센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번 권역 개소수 응급의료기관
1 서울서북 1 서울대학교병원
2 서울동북 2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안암병원)
3 서울서남 2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구로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4 서울동남 2 강동경희대학교의대병원
한양대학교병원
5 부산 3 동아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6 대구 2 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7 인천 3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의료법인 길의료재단 길병원*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8 광주 2 전남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9 대전 2 충남대학교병원
학교법인 건양교육재단 건양대학교병원
10 울산 1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울산대학교병원
11 경기서북 2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12 경기동북 1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13 경기서남 3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안산병원
아주대학교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14 경기동남 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15 강원영동 1 강릉아산병원
16 강원춘천 1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17 원주충주 1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18 충남천안 2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학교법인 동은학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19 충북청주 1 충북대학교병원
20 전북익산 1 원광대학교병원*
21 전북전주 1 전북대학교병원
22 전남목포 1 목포한국병원*
23 전남순천 1 성가롤로병원
24 경북안동 1 의료법인 안동병원*
25 경북구미 1 차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
26 경북포항 1 포항성모병원
27 경남창원 1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삼성창원병원
28 경남진주 1 경상국립대학교병원
29 제주 1 제주한라병원*
29개 권역 44
* 닥터헬기 보유기관 }}}}}}}}}

{{{#!wiki style="margin:14px"<tablebordercolor=#034ea2><tablebgcolor=#034ea2> 파일:삼성 로고 화이트.svg삼성의료원
소속병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속 병원
삼성서울병원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강북삼성병원
의료법인 삼성의료재단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

파일:성균관대학교 흰색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1e3329,#2e4e3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정보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자연과학캠퍼스
대학 정보
성균관 역사 학부 대학원
학사제도 기숙사 입시 임원
||<-3><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학생 정보
||
총학생회 학내언론
운동부
미식축구부 야구부
기타 정보
출신인물 셔틀버스 사건사고 커뮤니티
||<tablewidth=100%><tablebgcolor=white,#191919><bgcolor=#2e4e3f>
부속병원
||<-2><bgcolor=#2e4e3f>
교육협력병원
||
삼성창원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 ||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成均館大學校 三星昌原病院
Sungkyunkwan University Samsung Changwon Hospital
파일:삼성창원병원 로고.svg
<colbgcolor=#034ea2><colcolor=#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개원 1981년 3월 16일 (마산고려병원)
분류 상급종합병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재단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병상 762병상[1]
병원장 고광철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로 158 (합성동)
전화번호 055-233-8899
웹사이트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공식 홈페이지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진료과 및 특성화센터
3.1. 일반 진료과3.2. 특성화센터
3.2.1. 소화기센터3.2.2. 심장혈관센터3.2.3. 뇌신경센터3.2.4. 장기이식센터3.2.5. 위암센터3.2.6. 유방·갑상선암센터3.2.7. 로봇수술센터3.2.8. 경남권역응급의료센터
4. 역대 원장5. 층별안내
5.1. 본관5.2. 별관
6. 관련 문헌

[clearfix]

1. 개요

파일:창원삼성병원.jpg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전경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로 158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이며, 성균관대학교 의대의 유일한 정식 부속병원이다.[2]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과 함께 전국에서 3개밖에 없는 삼성그룹 계열의 의료기관 중 한 곳이며, 이 3개 병원은 긴밀한 협력체계로 운영되고 있다.[3]

2. 역사

1981년 3월 16일, 의료법인 고려의료재단이 서울고려병원(現 강북삼성병원) 황태식 산부인과 부장을 마산고려병원 초대 원장으로 선임하며, 경남 최초의 현대식 종합병원 마산고려병원이 개원했다. 초기에는 16개 진료과 200병상이었다가 한 달 후 400병상으로 늘어났고, 11월에는 국방부로부터 군 전공의 요원 수련기관으로 지정됐다. 1985년 7월에 미국 굿사마리탄 병원과 자매 결연을 맺고 9월에 업무 전산화를 도입한 뒤, 12월 전신 CT기기를 도입했다. 1986년에 인공심장실 및 심장센터를 열고 이듬해에는 미국 라이트 주립대학교 의학대학과 교육병원 결연을 맺었다.

1989년 종합검진센터를 열고 1991년 응급의료센터로 지정받은 뒤, 1992년에는 MRI 기기를 도입하고 1994년 12월 1일 새로 발족된 의료기관사업군 '삼성의료원'으로 편입, 1995년 6월 1일 삼성의료원 마산삼성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96년에는 경상북도 봉화군의 법전의원을 위탁운영하고 이듬해에는 신설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병원으로 지정됐다.

2000년 3월 1일 보건복지부로부터 경남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지정, 원활한 정보 전달체계 구축을 위해 응급의료정보센터 1339 통신망을 개통해 중증환자 응급치료를 책임지게 됐다. 2001년 처방전달 시스템(OCS)을 가동하고 2004년 의료영상전달시스템 'Full-PACS'를 가동한 뒤, 2006년에는 경남권 병원으로서 최초로 디지털 심장혈관조영촬영기를 도입했다. 2008년에는 PET/CT 기기를 도입했다.

2010년 7월 1일 운영권이 삼성의료재단에서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으로 넘겨지면서 명칭 변경 후, 인구 108만 통합 창원시의 첫번째 대학병원으로 탄생했다. 2011년 6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의료기관으로 인정받고 7월부터 전자의무기록(EMR)을 가동한 후, 2013년 4월 1일에는 창원시 최초로 방사선종양학과를 신설했다.

이후 2016년 7월 15일, 마산고려병원으로 문을 연 지 35년 만에 새 본관을 개원했다. 새 본관은 지하 6층, 지상 9층, 연면적 2만 7,120평 규모로 환자 중심적 설계에 초점, 외래를 내원하는 환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한 센터형 외래를 선보였다. 소화기센터·심장혈관센터·뇌신경센터 등 질환별로 구성된 센터형 외래에서 의료진의 유기적인 진료와 협진을 바탕으로 검사 및 시술이 원스톱으로 이뤄졌다.

2021년 1월 1일,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이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라 창원시 최초로 '상급종합병원'에 지정 및 운영된다. 상급종합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지정하는 국내 의료체계 중 최상위 의료기관으로 당국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3년마다 평가를 시행해 지정 또는 재지정한다. 각종 암, 심·뇌혈관 질환 등 중증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종합병원 중 진료는 물론 수련의 교육, 인력, 병원 시설 및 환경, 첨단 의료장비, 의료서비스 수준 등 총 12개의 평가 기준을 충족한 우수 병원에게만 상급종합병원의 자격이 주어진다.[4]

3. 진료과 및 특성화센터

3.1. 일반 진료과

소화기내과, 순환기내과, 호흡기내과, 내분비내과, 신장내과, 혈액종양내과, 류마티스내과, 감염내과, 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피부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비뇨의학과, 안과, 이비인후과, 가정의학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응급의학과, 직업환경의학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핵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치과

3.2. 특성화센터

소화기센터, 위암센터, 심장혈관센터, 유방·갑상선암센터, 뇌신경센터, 장기이식센터, 로봇수술센터, 경남권역응급의료센터, 진료협력센터, 감염병대응센터,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종합건진센터, 건강증진센터

3.2.1. 소화기센터

삼성창원병원 소화기센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하는 위암, 대장암 적정성 평가에서 4회 연속 1등급(2020년 기준) 으로 선정됐다. 초음파내시경, 캡슐내시경 등 정확한 진단을 위한 진단내시경과 대장용종절제술, 담석제거술, 소화관 협착 환자의 스텐트 삽입술을 적극 시행하고 있다. 특히, 조기 위암 및 대장암을 수술하지 않고 내시경으로 치료하는 점막하 박리술과 환자의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외과적 수술기법을 도입해 선진화 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2.2. 심장혈관센터

삼성창원병원 심장혈관센터는 1986년 경남 지역 최초로 심장수술에 성공했다. 이후 미국 굿 사마리탄 병원 심장센터와의 교류를 통해 지역 최초 심장센터를 개설해 선진 의료 기술을 도입했다. 2009년에는 전국 심장특성화센터 중 유일하게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응급의료유공자 표창을 수상하면서 심장질환 치료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영상의학과 중재적 시술과 흉부외과의 수술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수술을 시행하는 등 앞선 시스템으로 지역 심장질환 치료를 선도하고 있다.

3.2.3. 뇌신경센터

삼성창원병원 뇌신경센터는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 응급의학과 등 관련 진료과 의료진의 협진 체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용 MDCT, MRI, 3차원 혈관조영촬영기를 비롯한 내비게이션 수술 시스템 등 우수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실시하는 급성기 뇌졸중 평가에서 8회 연속(2022년 기준) 1등급 의료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뇌졸중 전문치료실 및 뇌혈관 내 수술 인증 의료기관으로 선정되어 뇌질환 치료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3.2.4. 장기이식센터

간 이식 수술에 대한 시스템을 꾸준히 구축해 온 삼성창원병원 장기이식센터는 2023년 3월 간 이식 수술의 개척자이자 최고 권위자인 조재원 교수를 영입했다. 장기이식센터는 외과 오종욱 교수가 중심을 잡고 간 이식 수술의 역량을 강화한 데 이어, 조재원 교수가 합류하면서 급성장했다. 우수한 전문의와 마취팀을 포함한 최고의 수술팀을 바탕으로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기증자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3.2.5. 위암센터

삼성창원병원 위암센터는 위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해 최고 수준의 의료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과, 소화기내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과 등 각 분야의 전문의와 전문 간호사로 이뤄진 위암센터는 긴밀한 협진 시스템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진단 및 다양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최상의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2.6. 유방·갑상선암센터

삼성창원병원 유방·갑상선암센터는 환자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암 치료를 넘어 환자의 불안함까지 치료하고자 한다. 유방·갑상선암센터는 외과, 이비인후과, 내분비내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등 전문의들이 모여 진단부터 치료까지 다학제 협진 진료체계를 구축해 환자 개개인에 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3.2.7. 로봇수술센터

3.2.8. 경남권역응급의료센터

삼성창원병원은 2000년부터 응급환자 치료를 위한 최적의 시스템을 갖추고 경남권역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12년에는 지역 내 응급환자의 치료와 효과적인 응급상황 대응 교육활동 등의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4. 역대 원장

5. 층별안내

5.1. 본관

5F - 9F
병동
4F
종합건진센터, 고객식당(델라코트), 옥상정원
3F
외과계중환자실(SICU), 내과계중환자실(MICU), 소화내시경실, 재활치료팀, 진단검사의학과, 혈액은행, 병리과, 약제팀, 정보지원팀, 간호본부
2F
심장혈관센터 (순환기내과/흉부외과/외과(혈관)/심장검사실),감염내과, 가정의학과, 류마티스내과, 일반내과, 재활의학과, 내분비 대사내과
비뇨의학과 (체외충격파쇄석기실), 신장내과, 투석실, 중앙주사실, 혈액종양내과
접수·수납,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실, 이비인후과, 안과, 채혈실, 호흡기내과(기관지내시경실/통합폐기능검사실)
1F
소화기센터 (소화기내과/외과(소화기)/소화기내시경실), 뇌신경센터(신경과/신경외과/신경생리검사실), 관절센터/정형외과(석고실), 유방센터/외과(일반·내분비)
신경외과(쳑추),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초음파실/일반진단실/CT실/MRI실/투시영상진단실)
외래약국(복약상담실), 원무팀
접수·수납, 통합예약·발급창구(검사예약/제증명/사본발급), 입원, 퇴원, 고객행복실, 사회사업실, 진료협력센터, 비즈니스룸, 편의시설1(CU편의점·의료기기매점·서점/죽이야기/선물의집/뚜레쥬르/퀴즈노스), 편의시설2(경남은행). 편의시설3(스타벅스)
B1F
수술실, 보호자대기실, 마취통증의학과, 통증치료실
통원수술실, 혈관조영실(심혈관조영/인터벤션), 의공실
B2F
앙공급실, 중앙창고, 약제창고, 린넨창고, 직원식당(영양실), 의료가스실, 세탁물보관실
B3F - B5F
시설팀, 엘리베이터
B6F
직원편의시설

5.2. 별관

4F - 6F
병동
3F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신생아실/중환자실), 분만실
2F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
접수 · 수납, 영양지원실, 가정간호실, 응급중환자실
1F
접수·수납, 권역응급의료센터(응급실), 환자분류소
별관영상의학과(CT실/응급진단실/모자진단실)
B1F
방사선종양학과, 핵의학과(PET-CT실,SPECT실), MRI실, 의무기록실, 이동도서실, 자원봉사자실, 세미나실

6. 관련 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6. 입원병실 기준[2] 삼성서울병원과 강북삼성병원은 교육협력병원이다. 삼성창원병원도 원래는 그랬지만 부속병원이 없던 의대에 교육부가 인원 감축 등의 압박을 넣자 이에 해당하던 성균관대는 이곳을 부속병원으로 지정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비슷하게 부속병원이 없어 비슷한 압박을 받았다가 뒤늦게 길병원들 중 병상 수가 가장 적은 동인천길병원을 부속병원으로 지정한 가천대학교 의대가 있다. 동인천길병원을 가지고 가천대가 꼼수를 썼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반면 이쪽은 그래도 규모가 꽤 큰 상급종합병원이라서 성균관대는 그런 비판을 받고 있지는 않다.[3] 삼성서울병원으로 의뢰서를 쓰거나,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했던 교수가 삼성창원병원으로 영입되기도 한다.[4] 동시에 삼성서울병원에서 근무하던 유명한 교수들을 영입해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