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21:31:31

성웅


1.

파일:알베르 랭슈_잔 다르크.jpg 파일:이순신 정부표준영정.png
15세기 프랑스의 성웅
오를레앙의 성녀 잔 다르크
16세기 조선의 성웅
충무공 이순신

'성인(Saint)'과 '영웅(Hero)'을 합친 말. 여기서 말하는 성인(聖人)의 성(聖)은 유학에서 말하는 '가장 드높은, 완전무결하고 이상적인 인간상'을 일컫는다. 풀어 말하자면 성웅이란 한 나라를 대표하는 수많은 구국 영웅, 전쟁 영웅들 중에서도 인품과 능력, 업적 모두 흠잡을 데 없이 위대하고 거룩한 영웅이란 뜻.

대한민국에서 성웅이라고 하면 충무공 이순신을 의미하는 것이 대부분이며,[1] 사실상 충무공처럼 이순신을 일컫는 칭호 중의 하나로 쓰인다. 1931년 이윤재 작인 《성웅 이순신》이란 전기작품에서 최초로 이순신을 성웅(거룩한 영웅)으로 일컬었다. 성웅의 자격을 갖춘 또다른 인물을 꼽자면 인류 역사상 최고의 여성 영웅이자 15세기 프랑스구국 영웅, 수호성인인 오를레앙의 성녀 잔 다르크가 있다. 잔 다르크도 어려서부터 하느님의 계시를 받아 샤를 7세로부터 군대와 갑옷, 투구, 검을 받아 프랑스 군대를 이끌고 프랑스를 핍박하던 잉글랜드 군대를 물리쳤고, 무학 평민 소녀의 신분으로 도저히 이룰 수 없는 비현실적이고 기적적인 업적들을 이루는 등 성웅의 조건에 부합하는 인물이기 때문에 사후에도 성인이자 구국 영웅으로 추앙 받는 것이다. 이순신의 경우 잔 다르크와는 달리 종교적인 영웅으로 여기지 않고 한국사의 이전 장군들과는 궤를 달리 하는 영웅이기에 이렇게 쓰인다.

2. 인명


[1] 사실상 성웅=이순신이다. 애초에 대한민국의 위인 가운데 이 칭호로 불리는 사람은 이순신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