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4:13:57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수신제가에서 넘어옴
1. 개요2. 출전3. 해석4. 패러디

1. 개요

고사성어
닦을 가지런할 다스릴 나라 평평할 하늘 아래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며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한다는 뜻이다. 줄여서 수신제가(修身齊家)라고도 한다.

현대중국어에서도 사용되는 표현이다.

2. 출전

대학의 8조목에 등장한다.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물유본말 사유종시 지소선후 즉근도의)
만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으니, 선후를 알면 도에 가깝다.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고지욕명명덕어천하자 선치기국)
자고로 밝은 덕을 천하에 밝히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나라를 잘 다스려야 하고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욕치기국자 선제기가)
그 나라를 잘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집안을 잘 다스려야 하고

欲齊其家者 先修其身(욕제기가자 선수기신)
그 집안을 잘 다스리고자 하는 자는, 먼저 자기지신의 수양을 해야 하고

欲修其身者 先正其心(욕수기신자 선정기심)
자기지신의 수양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마음을 바로 해야 하고

欲正其心者 先誠其意(욕정기심자 선성기의)
그 마음을 바로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뜻을 성실히 해야 하고

欲誠其意者 先致其知(욕성기의자 선치기지)
그 뜻을 성실히 하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지식에 힘써야 하고

致知在格物(치지재격물)
지식에 힘쓰고자 하는 것은 만물의 이치를 철저히 연구함에 있다.

格物而后 知至(격물이후 지지)
만물의 이치를 철저히 연구한 이후에 지식이 지극히 되고

知至而后 意誠(지지이후 의성)
지식이 지극히 된 이후에 뜻이 성실히 되고

意誠而后 心正(의성이후 심정)
뜻이 성실히 된 이후에 마음이 바르게 되며

心正而后 身修(심정이후 신수)
마음이 바르게 된 이후에 자신의 몸이 수양이 된다.

身修而后 家齊(신수이후 가제)
자신이 수양된 이후에 집안이 잘 다스려지고

家齊而后 國治(가제이후 국치)
백가(百家)를 정돈한 이후에 나라가 잘 다스려진다.

國治而后 平天下(국치이후 평천하)
나라가 잘 다스려진 이후에 천하가 평화롭게 된다.

3. 해석

천하를 평정하려는 자는 우선 자신부터 갈고 닦아야 한다. 즉 자신의 심기체를 갈고 닦아야 가정을 정갈히 할 수 있고, 나아가 나라를 다스릴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세상을 평정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는 것이다. 모든 일에는 단계가 있고 순서가 있으며, 큰 일은 작은 일을 돌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대학 본문을 보아도 알겠지만 사실 이 구절은 수신제가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그 앞 단계로 격물치지 성의정심(格物致知 誠意正心)이 있다.

공자가 주장했던 '예치질서관'의 구현 수단으로서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이것인데, 예치질서의 확립을 위해 모든 사람들 개인은 수신을 하고, 가장은 수신과 제가를, 제후는 수신, 제가, 치국을, 천자는 여기에 평천하를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공자가 이를 강조한 이유는 개개인의 인격을 먼저 완성시킨 다음, 그 덕성을 세상에 확산시켜 인간다운 사회질서를 구축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 문구는 대개 국정감사나 청문회에서 피심사자의 결격사유, 그 중에서도 가정이나 친인척의 문제가 드러날 경우 "수신제가도 못하는데 이 직책에 앉혀야 하겠는가?"라는 식으로 인용한다. 이때 수신제가의 함의를 직설적으로 해석하면 "집안일이나 정리하고 나서 임용을 대기하든 말든 해라!"라는, 다소 인신공격적인 뉘앙스가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1]

해당문구를 아주 직설적으로 두가지로 나누어 해석하면 "작은 일부터 똑바로 해야 큰일이 된다"와, "자기 자신부터 잘하고 딴거 해라"로 볼수 있다. 그래서 자기 자신을 향해 다짐을 할 때는 좋은 말이 되지만, 남이 사용하면 "니나 잘해"라는 표현을 고상하게 표현한 문구나 다름 없어진다.

결국 큰일을 이루려면 작은 일부터 차근차근 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를 강조하기 위해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로 이어지는 점층법을 사용하고 있다.

4. 패러디


[1] 한발 더 나가면, 결혼해서 가정도 꾸리지 않은 애송이가 어디 관직을 넘보냐라는 기적의 논리로 청년들의 공직 등용이 막힌다.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 노년층으로 갈수록 미혼과 무자녀가 암묵적인 결격사유가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