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상을 이르는 다른 말
천하(天下)는 '하늘 아래 온 세상'이다.인간이 발 딛고 사는 땅이 하늘 아래 있기 때문에, '세상', 특히 '온 세상'을 뜻하는 다른 말로 쓰인다. 세계와도 비슷하다.
하늘 아래 땅 위에 있는 곳을 천하라고 한다. 당연하지만 지구에 사는 인간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행물체 등을 이용해 하늘을 떠다니며 생활하지 않는 이상 스스로 하늘에 떠 있는 것은 불가능하다.
천하는 중국인들이 중국 전국(全國)을 이르는 말로도 쓴다. 오히려 근세 이전에는 천하라는 말이 전국이라는 말보다 훨씬 많이 쓰였다. 당연한 것이 중국 분열 시기에 예를 들면 초나라 사람이 전국이라고 하면 초나라 국토에 한정되는 말이기 때문이다. 중원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국가를 통틀어 말하려면 천하라는 말을 써야 했다. 삼국지연의나 춘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을 보면 천하통일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
전근대 일본에서도 68개 율령국으로 구성된 일본 열도를 칭할 때 사용하였다. 때문에 분열기인 센고쿠 시대 당시 일본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을 지닌 다이묘를 천하인이라고 칭하였다.
천자(天子)가 내리는 사면령은 대사천하(大赦天下)라고 한다. 천자는 천하의 지배자이니 그가 내리는 사면령은 온누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1] 고려는 자국 임금의 사면령을 대사천하라고 했는데, 이는 고려가 외왕내제의 국가였기 때문이다.
고려사를 편찬하던 세종대왕은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편찬하던 중 사용한 제후국식 표현이 외왕내제를 시행한 고려의 역사를 인멸한 것과 다름없다 판단하여 대사천하에서 천하(天下)만 빼고 대사를 그대로 썼다. 원래 제후국은 유경내라고 써야 하는데 세종은 고려의 역사를 존중하여 대사를 그대로 쓰도록 명한 것이다. 이는 세종이 고려의 온건 개혁파 이색의 후계자들로 부터 역사 교육을 받은 영향이다. 출처-맨 밑 문단 참조
갑신정변에서 3일 동안 개화파가 정권을 잡은 걸 삼일천하라고 표현하는 것처럼 천하 앞에 기간을 붙여서 잠깐 동안의 권력을 표현하기도 한다. 어떠한 세력이 정권을 잡으면 세력의 이름을 앞에 붙이기도 한다.
2. 중국의 드라마
(오프닝 영상. 멸망이 가까워져 가는 당시 명나라의 암울한 역사적 상황을 잘 담아냈다는 점에서, 듣는 이로 하여금 심금을 울리게 해주는 곡이다.)
원제는 '대명천하'. 명나라 천계제 시절 간신 환관 위충현과 황제의 유모 봉성부인, 그리고 후일 숭정제가 되는 천계제의 동생 주유검 사이의 권력암투를 그린 드라마다.
중국 드라마답게 무협적인 요소가 없지는 않으나 중국 드라마치곤 드물게 정치 스릴러라는 장르를 잘 소화해낸 보기 드문 수작이다. 특이하게 주인공인 진가의가 펼치는 법정드라마가 비중이 큰데 아무리봐도 역전재판의 향기가 진하게 나는 것이 재미있다. 무협으로서도 기존의 무협의 클리세들을 깨고 창의적이고 인상적인 전개와 전투신으로 중국 드라마의 진화상을 보여주는 걸작이라고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는 작품이다.
2.1. 등장인물
- 전가의: 이 드라마의 주인공. 형부의 관리이자 신왕(주유검)의 심복으로 신왕을 함정에 빠뜨려 죽이려는 위충현의 음모를 여러번 분쇄한다. 결국 신왕이 천계제의 뒤를 이어 즉위하지만 그 뒤의 진실을 알고 결국 은둔해버린다.
- 신왕: 천계제의 동생이자 후일의 숭정제. 이름은 주유검으로 드라마내에서는 왕작인 신왕이라 불린다. 위충현에게 휘둘리는 형 천계제를 안타깝게 여기지만 후사가 없는 천계제를 이을 차기 황위 1순위인 탓에 위충현의 공격에 시달린다. 그러나 그것들을 모두 이겨내고 황제의 자리에 오른다. 강산풍우정의 숭정제와 비교하면 되려 이쪽이 더 매력적이다?
- 위충현: 이 드라마의 악의 축. 황제의 유모인 객파파(봉성부인)과 짝짜꿍 하면서 권력을 쥐고 흔들고 있다. 자신에게 반대하는 세력들은 동창으로 끌고와서
코렁탕고문을 일삼으며 제거하지만 결국 전가의와 신왕에게 패배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다. 물론 실제 역사상에서의 최후와 비교하면 너무 편하게 간것 같지만.
- 객파파: 이 드라마의 악의 축2. 황제의 유모로 황제가 어머니처럼 의지한다는 것을 악용해 위충현과 합세하여 권력을 휘두른다. 그러나 결정적 순간에 위충현을 뻥차버리고 권력을 단독으로 쥐게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도 결국 그녀의 착각에 불과했다. 황제에게 자기 남동생이 놀아나서 임신까지 시킨 여인들을 바쳐서 자기 남동생의 소생을 황제의 소생으로 둔갑시키려다가 결국 몰살당한다.
마지막에 이야기의 진상이 드러난다. 모든것은 신왕의 손바닥 안에서 놀아났던 것이다. 신왕은 자신의 집사와 집사의 여동생에게 명하여 집사의 여동생을 몰래 객파파가 부리는 암살집단에 집어넣은 뒤에 모든 모사를 꾸몄던것. 전가의는
결국 전가의는 속세에 염증을 느끼고 그를 요직에 임명하려는 숭정제의 뜻도 뿌리친채 은둔을 선택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사실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숭정제의 또다른 심복들이 전가의를 죽이려고 하지만 황후의 제지로 실패한다. [2] 그리고 숭정제는 숨어버린 전가의가 남긴 연을 보며 왠지 모를 회한에 젖는 것으로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3]
[1] 제후는 유경내(宥境內)라고 한다. 사(赦)는 천자의 용어이니 유(宥)로 대체한 것이고, 제후는 천자에게 지역을 분봉받으니 자기 경역 내(境內)에서만 사면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2] 주도면밀하면서도 의심이 많아 원숭환등을 처형하기도 했던 숭정제의 실제 성격을 꽤나 잘 살린 전개였다.[3] 신용문객잔의 내용과 상당히 유사한데, 전가의를 주회안이라고 생각한다면 거의 전개가 그대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