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9 11:51:35

수학자/목록/1971-198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71-1980년에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

2. 목록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대니얼 와이즈 1971 Virtually fibered 추측 증명 2013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존 마이클 클라인버그 1971 HITS 알고리즘[2] 2006년 IMU 주판 메달
조던 엘렌버그[3] 1971 5 이상의 여차원에 대해서 ℤ 위의 이차 형식을 이차 형식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하세 원리(국소-대역 원리)가 적용됨을 증명
스테파니 페터미히[4] 1971 벡터 값 특이 연산자 이론에 대한 중요한 연구 2006년 살렘상
요리스 반 데르 호븐[5] 1971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2018년 카프상
미하일 코바노프 1972 코바노프 호몰로지
이고르 로드니안스키 1972 일반 상대성 이론의 방정식 연구와 시공간 곡선에서 빛의 전파에 대한 근본적인 공헌,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2011년 페르마상,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대니 칼레가리[6] 1972 Tameness 정리, 알포르스 측도 추측 증명 2009년 클레이 연구상
응오바오쩌우 1972 보형 형식에 대한 기본 보조정리(fundamental lemma)의 증명[7] 2004년 클레이 연구상, 2010년 필즈상
어니스트 쿠르트 3세[8] 1972 에르되시-그레이엄 추측 증명
모치즈키 타쿠로 1972 비정칙 특이점의 경우를 포함하여 대수 다양체 위의 flat connection을 가진 다발 이론의 이해에 돌파구를 마련[9] 2022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마티아스 아셴브레너[10] 1972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2018년 카프상
이타이 니먼[11] 1972 side condition과 나무의 속성을 사용하여 반복 강제법에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12][13][14] 2019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세드리크 빌라니[15] 1973 해의 적절한 정칙성 가정하에 볼츠만 운송 방정식의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균형해로의 수렴성 증명, 비선형 블라소프-푸아송 방정식에서 란다우 감쇠가 성립함을 증명, 보렐 측도를 갖춘 일반적인 거리 공간의 리치 곡률의 하한을 정의, 오토-빌라니 정리 2009년 페르마상, 2010년 필즈상
스콧 셰필드 1973 가우스 자유장(Gaussian free field)의 등고선이 SLE (4)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줌, 등각 루프 앙상블, 리우빌 양자 중력에서 프렉탈 스케일링 차원에 대한 KPZ 관계를 증명 2011년 루에브상, 2017년 클레이 연구상
블라디미르 마르코비치 1973 곡면 부분군 추측(Surface subgroup conjecture) 증명, 에렌프라이스(Ehrenpreis) 추측 증명 2012년 클레이 연구상
칸난 순드라라잔[16] 1973 모듈러 정역에서 holomorphic analog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드고딕성 추측 증명, 그레이엄의 최대 공약수 추측 증명 2003년 살렘상, 201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네츠 호크 카츠 1973 3차원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이 5/2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 에르되시 고유 거리 문제(Erdős distinct distances problem) 해결 2015년 클레이 연구상
크레이그 젠트리 1973 완전 동형 암호화(Fully Homomorphic Encryption)
데니스 게이츠고리 1973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하고 이 결과를 복소수체도 포함하는 결과로 확장함
다니엘라 쿤[17] 1973 충분히 큰 n에서 섬너(Sumner)의 추측을 증명, 1-factorization 및 해밀턴 분해 추측의 증명[18], 충분히 큰 모든 k에 대하여 에르되시-파버-로바스(Erdős–Faber–Lovász) 추측을 증명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나데르 마스무디[19] 1974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해석에 대한 업적 특히나 현대 유체역학의 창시자들이 19 세기말에 제기한 유체 동역학적 안정성 문제의 엄밀하고 완전한 해결에 관한 연구[20][21][22][23][24][25][26][27][28][29][30][31] 2017년 페르마상
뱅상 라포르그[32] 1974 계수가 있는 경우의 바움-콘느 추측의 반례 발견, 대역 함수체 위에 정의된 가약군을 랭글랜즈 대응에 연결하는데 기여 2019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유지니아 말린니코바[33] 1974 타원 고유치 문제에 대한 해의 두 배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기하학적 조합 방법의 도입 2017년 클레이 연구상
만줄 바르가바 1974 바르가바 큐브[34]를 사용하여 2차 다항식 집합에 대한 가우스의 연산법칙을 확장하여 높은 차수의 다항식의 13가지 연산 법칙을 발견했다, 290 정리, 바르가바 계승, Q 위에 타원곡선의 모델-베유 군의 평균 계수가 7/6 위로 유계임을 증명 [35] 2005년 클레이 연구상, 2008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1년 페르마상, 2014년 필즈상
데릭 시므온 오스투스[36] 1974 충분히 큰 n에서 섬너(Sumner)의 추측을 증명, 1-factorization 및 해밀턴 분해 추측의 증명, 충분히 큰 모든 k에 대하여 에르되시-파버-로바스(Erdős–Faber–Lovász) 추측을 증명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아사프 나오르[37] 1975 메트릭 공간의 새로운 불변량을 소개하고 다양한 메트릭 구조 간의 Distortion에 대한 그의 새로운 이해를 이론 컴퓨터 과학에 적용한 것과 sparsest cut problem의 하한에 대한 놀라운 작업[38][39][40][41] 2008년 살렘상, 2011년 보셰 기념상, 201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보로딘 1975 표현론, 조합론, 통계물리학의 접점에 있는 새로운 영역인 적분 가능한 확률론의 발명 2015년 루에브상, 2019년 페르마상
테렌스 타오 1975 그린-타오 정리,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 해결, 압축 센싱,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 3차원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이 5/2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 2000년 살렘상, 2002년 보셰 기념상, 2003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6년 필즈상,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로르 생레몽 1975 운동론, 유체 역학 및 힐베르트의 여섯 번째 문제에 대한 변형적 기여[42][43][44][45] 2015년 페르마상, 2020년 보셰 기념상
마르틴 하이러[46] 1975 거친 경로(Rough path) 이론을 이용하여 KPZ 방정식의 근사적인 해를 구함, 비선형 확률편미분방정식의 정칙성 구조(Regularity structure)이론 창안 2013년 페르마상, 2014년 필즈상 수상, 2021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
안드레 네베스 1975 윌모어 추측 증명,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야우 추측,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201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피에르 라파엘[47] 1975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가와라바야시 켄이치 1975 근선형 시간(Near-Linear Time)에서의 결정론적 엣지 연결성(Edge Connectivity) 202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날리니 아난타라만[48] 1976 양자 고유 에르 고딕 성 문제의 획기적인 발전을 포함하여 양자 혼돈, 역학 시스템 및 슈뢰딩거 방정식 영역에 대한 공헌[49][50] 2010년 살렘상
카밀로 드 렐리스 1976 오일러 방정식의 산일(dissipation)에 대한 온사게르의 추측에 대한 해결에 기여 2013년 페르마상, 2020년 보셰 기념상
쇠렌 갈라티우스[51] 1976 고차원적 다양체와 그들의 미분동형사상 군에 대한 이해에 심오한 기여 2022년 클레이 연구상
로런스 데이비드 구스[52] 1977 essential manifold에 대한 그로모프의 수축(systolic) 부등식의 증명에 대한 접근 방식 개발, 에르되시 고유 거리 문제(Erdős distinct distances problem) 해결 2013년 살렘상, 2015년 클레이 연구상, 2016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2020년 보셰 기념상
마리아 추드노프스키 1977 강한 완벽 그래프 추측 증명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마리암 미르자하니 1977 여성 최초 및 이란 출신 최초로 필즈상 수상, 마법 지팡이 정리(Magic wand theorem), 측지선에 대한 소수 정리, 타이히뮐러 공간의 지진 흐름(Earthquake flow)의 에르고딕성, 경계가 있는 리만 곡면의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를 계산하는 공식, 모듈라이 공간에서 tautological classes의 교차수에 대한 위튼-콘체비치 공식의 새로운 증명 2014년 필즈상, 2014년 클레이 연구상, 2020년 브레이크스루상 수학부문(사후에 수여됨)
벤 조지프 그린 1977 그린-타오 정리, 카메론-에르되시 추측 증명,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 2004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살렘상, 200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아랄드 엘프고트 1977 약한 골드바흐의 추측 증명
제이콥 알렉산더 루리 1977 ∞-토포스, 코보디즘 가설의 해결법 제안, ∞-범주, 더 높은 토포스 이론(Higher Topos Theory) 2015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제레미 셰프텔[53] 1977 일부 초임계 영역에서 디포커싱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과 압축성 오일러 및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 대한 폭발하는 해의 존재를 증명 2023년 보셰 기념상, 2023년 클레이 연구상
보아스 클라태그[54] 1978 볼록 집합에 대한 중심 극한 정리[55], 5n 민코프스키 대칭화는 근사적으로 유클리드 공에 도달하기 충분함을 보임[56] 2008년 살렘상
수브하시 코트[57] 1978 고유 게임 추측(Unique games conjecture)[58] 2014년 IMU 주판 메달
코체르 비르카르[59][60] 1978 파노 다양체의 유계성 증명 (BAB 추측 증명), 모든 표수가 0인 체에 대한 모든 일반 유형 다양체는 최소 모델을 가짐을 증명, 고차원에서의 로그 플립의 존재 증명 2018년 필즈상
치프리안 마놀레스쿠[61] 1978 5차원 이상의 차원에서는 삼각화가 불가능한 다양체가 존재함을 증명, Pin (2) 등변 자이베르그-위튼 플로어 호몰로지
줄리앵 뒤베다[62] 1978 슈람-뢰브너 진화에 대한 뛰어난 작업. 특히 가역성과 쌍대성 추측의 증명 2011년 살렘상
드미트리 세르게예비치 첼카크[63] 1979 스케일링 극한 설정 및 이론 물리학에서 비롯된 예측을 확인하고 새로운 정확한 결과를 이끌어 낸 2 차원 임계 이징 모델의 인터페이스 및 격자장에 대한 등각 불변성과 보편성을 입증 2014년 살렘상
아르투르 아빌라 1979 준 이차(quasiquadratic) 사상의 비자명한 real analytic family에서 거의 모든 사상이 정칙적 이거나 확률적임을 증명, 열 잔의 마티니(Ten Martini)문제[64] 해결, 조리치-콘체비치( Zorich–Kontsevich) 추측 증명, 모든 n>2에 대해 전형적인 n개 구간 교환(interval exchange)은 약한 섞임(weak mixing) 성질을 가짐을 증명 2006년 살렘상, 2014년 필즈상
로만 홀로윈스키 1979 모듈러 정역(modular domain)에서 holomorphic analog의 경우에 양자 고유 에드고딕성 추측 증명
아담 웨이드 마커스 1979 캐디슨-싱어 문제 해결, 스탠리-윌프 추측 증명
니라지 카얄 1979 AKS 소수판별법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1979 윌모어 추측 증명, 프리드먼-히-왕(Freedman–He–Wang) 추측 증명, 야마베 문제, 야우 추측, 강성에 대한 Min-Oo의 추측에 반례 제시 201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1년 페르마상
수라브 차터지 1979 린드버그의 중심 극한 정리 증명을 약하게 종속된 무작위 변수의 임의의 부드러운 함수에 대한 불변 원리로 확장, KMT 정리의 더 간단한 증명, 셰링턴-커크패트릭 모델은 외부 장이 없을 때 임의의 온도에서의 Coupling의 작은 섭동 아래 chaotic 이라는 것을 보여줌 2013년 루에브상
마이클 앤서니 힐 1980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마이클 브론스타인 1980 기하학적 심층학습(Geometric deep learning)
니콜라이 발레리예비치 두로프[65] 1980 벡토이드(vectoid)[66]
모하메드 아부자이드 1980 이국적인 구의 코탄젠트 번들을 구별하기 위해 파울 자이델과 함께 wrapped 후카야 범주를 구성하고 사교 위상 및 거울 대칭에 대한 기타 결정적인 기여 2017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로넨 엘단 1980 확률적 지역화 방법의 생성을 위해 장 부르갱 의 슬라이싱 문제 및 KLS 추측을 포함하여 고차원 기하학 및 확률의 여러 미해결 문제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룸. 2023년 뉴 호라이즌 수학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5
, 6.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뉴 호라이즌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2] https://en.wikipedia.org/wiki/HITS_algorithm[3] "틀리지 않는 법: 수학적 사고의 힘"이라는 대중 수학서를 집필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 Stefanie Petermichl[5] Joris van der Hoeven[6] Danny Matthew Cornelius Calegari[7] 기본 보조정리의 증명은 2009년 타임이 선정한 '올해의 10대 과학적 발견'의 하나로 선정되었다.[8] Ernest S. Croot III[9] For monumental work leading to a breakthrough in our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bundles with flat connections over algebraic varieties, including the case of irregular singularities.[10] Matthias Aschenbrenner[11] Itay Neeman[12] Forcing with sequences of models of two types, Notre Dame J. Formal Logic, vol. 55 (2014), pp. 265–298[13] Two applications of finite side conditions at ω2. Arch. Math. Logic 56 (2017), no. 7-8, 983–1036[14] The tree property up to ℵω+1. J. Symb. Log. 79 (2014), no. 2, 429–459.[15] 2017년 프랑스 국회의원에 당선됐다.[16] kannan soundararajan[17] Daniela Kühn[18] Proof of the 1-factorization and Hamilton decomposition conjectures[19] Nader Masmoudi[20] Incompressible limit for a viscous compressible fluid,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Band 77, 1998, S. 585–627[21] Une approche locale de la limite incompressible,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Ser. 1, Math., Band 329, 1999, S. 387–392[22] Incompressible Limit for Solutions of the Isentropic Navier–Stokes Equations with Dirichlet Boundary Conditions,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Band 78, 1999, S. 461–471[23] Global solutions for some Oldroyd models of non-Newtonian flows, Chinese Annals of Mathematics, Band 21, 2000, S. 131–146[24] About lifespan of regular solutions of equations related to viscoelastic fluids, SIAM journal on mathematical analysis, Band 33, 2001, S. 84–112[25] From the Boltzmann Equations to the Equations of Incompressible Fluid Mechanics, Archive for Rational Mechanics and Analysis, Band 158, 2001, S. 173–193[26] Incompressible, inviscid limit of the compressible Navier–Stokes system, Annales de l'Institut Henri Poincare C: Non Linear Analysis, Band 18, 2001, S. 199–224[27] From the Boltzmann equation to the Stokes-Fourier system in a bounded domain,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Band 56, 2003, S. 1263–1293[28] Examples of singular limits in hydrodynamics, in: C.M. Dafermos, Eduard Feireisl (Hrsg.), Handbook of Differential Equations, Evolutionary Equations, Band 3, North Holland 2006, S. 195–275[29] Infinite time aggregation for the critical Patlak-Keller-Segel model in R2,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Band 61, 2008, S. 1449–1481[30] Global solutions for the gravity water waves equation in dimension 3, Annals of Mathematics, Band 175, 2012, S. 691–754[31] Inviscid damping and the asymptotic stability of planar shear flows in the 2D Euler equations, Arxiv 2013[32] 2002년 필즈상 수상자 로랑 라포르그의 동생이다.[33] Eugenia Malinnikova, 1989년, 1990년, 1991년에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출전하여 3번 모두 금메달을 수상했다[34] 루빅스 큐브에서 영감을 받아서 도입했다[35]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과 관련이 있음[36] Deryk Simeon Osthus[37] Assaf Naor[38] On metric Ramsey-type phenomena. Ann. of Math. (2) 162 (2005), no. 2, 643–709[39] Metric cotype. Ann. of Math. (2) 168 (2008), no. 1, 247–298[40] Euclidean distortion and the sparsest cut. J. Amer. Math. Soc. 21 (2008)[41] Compression bounds for Lipschitz maps from the Heisenberg group to L1. Acta Math. 207 (2011)[42] Convergence of solutions to the Boltzmann equation in the incompressible Euler limit. Arch. Ration. Mech. Anal. 166 (2003), no. 1, 47–80.[43] The Navier-Stokes limit of the Boltzmann equation for bounded collision kernels. Invent. Math. 155 (2004), no. 1, 81–161.[44] The Brownian motion as the limit of a deterministic system of hard-spheres. Invent. Math. 203 (2016), no. 2, 493–553[45] Mathematical study of degenerate boundary layers: a large scale ocean circulation problem. Mem. Amer. Math. Soc. 253 (2018), no. 1206, vi+105 pp.[46] 그의 아버지인 에른스트 하이러 또한 수학자이다[47] Pierre Raphaël[48] Nalini Anantharaman[49] Entropy and localization of eigenfunctions, Annals of Mathematics, Volume 168, 2008, pp. 435–475[50] Half-delocalization of eigenfunctions for the Laplacian on to Anosov manifold, Annales Inst Fourier, Volume 57, 2007, pp. 2465–2523[51] Søren Galatius[52] 급팽창 이론으로 유명한 앨런 구스의 아들이다.[53] Jérémie Szeftel[54] Boáz Klartag[55] "A central limit theorem for convex sets". Inventiones Mathematicae.[56] "5n Minkowski Symmetrizations Suffice to Arrive at an Approximate Euclidean Ball". Annals of Mathematics.[57] Subhash Khot[58] https://en.wikipedia.org/wiki/Unique_games_conjecture[59] 원래 이름은 페레이둔 데라흐샤니(فریدون درخشانی)이고 영국으로 이주하면서 쿠르드어로 "이주 수학자"라는 뜻을 가진 코체르 비르카르로 개명하였다, 필즈 메달을 받고 가방에 넣었는데 메달을 도둑 맞았다 그로인해 세계수학자대회는 필즈메달을 다시 만들어 재시상식을 하면서, 일단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이 때문에 역사상 최초로 필즈상을 2번 받은 사람이 되었다.[60] 비르카르의 업적을 소개한 글https://horizon.kias.re.kr/8215/[61] 1995, 1996, 1997 3년 연속으로 국제수학올림피아드 만점을 받은 기록과 어려운걸로 유명한 대학 수학 경시대회인 윌리엄 로웰 퍼트넘 수학경시대회에서 1997, 1998, 2000년 대회에서 상위 5위 이내의 성적을 내면 받는 퍼트넘 펠로(Putnam Fellows)를 수상했다[62] Julien Dubedat[63] Dmitry Sergeevich Chelkak[64] 마크 카츠가 이 문제를 해결하면 10잔의 마티니를 보상으로 주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65] 2013년 친동생인 파벨 발레리예비치 두로프와 함께 텔레그램이라는 메신저를 공동 창시했다, 2005년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보스토코프 밑에서 "유리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갈루아 군 계산 방법"이라는 논문으로 첫 번째 박사학위를 받고 2007년 게르트 팔팅스 밑에서 "아라켈로프 기하학의 새로운 접근" 제목의 논문으로 두 번째 박사학위를 받았다[66] https://arxiv.org/abs/1105.3114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