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음향기기 회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nopad> | <nopad> | |||||
1more | 7Hertz | AUNE | Angelears | BGVP | BQEYZ | DUNU | |
<nopad> | <nopad> | <nopad> | <nopad> | ||||
ddHiFi | EPZ | Edifier | Effect Audio | FAAEAL | FiiO | HIFIDIY | |
HiFiGO | HiFiMAN | Hiby | Hidizs | IvipQ | KB EAR | KZ | |
Kinera | LETSHUOER | NiceHCK | OPENHEART | OPPO | QCY | SHOZY | |
Shanling | TANCHJIM | TRN | TRUTHEAR | TempoTec | Vsonic | Whizzer | |
Yongse | Yuin | 린소울 | 소프트이어스 | 수월우 | 심갓 | 오디오랩 | |
탕주 | 유니크 멜로디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 수월우 水月雨 MOONDROP | }}} | |
<colbgcolor=#fff> 기업명 | <colbgcolor=#ffffff><colcolor=#000>정식: 成都水月雨科技有限公司 | |||
한글: 청두 수이웨위 기술 유한공사 | ||||
소재지 | ||||
업종 | 오디오 전자공학 | |||
설립일 | 2015년 11월 6일 | |||
설립자 | 정한펑(郑瀚鹏, Herbert Zheng) (CEO) | |||
대표자 | ||||
링크 |
[clearfix]
1. 개요
2015년 설립된 중국의 오디오, 음향기기 브랜드.2. 특징
일반적으로 오디오필들에게 있어 중국제 오디오 제품은 인식이 좋지 않았으나, 수월우는 뛰어난 사운드 튜닝과 기술력 그리고 수려한 디자인으로 많은 호평을 받아내어 편견에 종지부를 찍는데 한몫한다. 그래서 신생 회사임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으며, 온갖 저품질 차이파이 제품이 난립하는 와중에도 국내 국외를 가리지 않고 괜찮은 오디오 회사라는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수월우의 초기 제품들은 일반적인 대량 생산이 아닌 전문 장인들이 일일이 직접 디자인하고 튜닝해 수제 생산 한다는 특징이 있었다.[1] 다만 현재는 회사가 많이 커지면서 주물이나 3D프린팅 셸이 많아져서 과거처럼 전량 수제생산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듯 하다.
현재 다수의 제품들이 하만 타겟을 기본으로 튜닝을 하는데, 수월우 제품들에는 하만과는 조금 다른 고유 사운드 컬러가 존재한다. 이는 사장인 정한펑이 하만 타겟의 저음 부스팅이 부자연스럽다 생각하고 독자적인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타겟을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해당 타겟은 사운드를 더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서 저음을 플랫하게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2] 즉 기업명인 水月雨[3]의 의미 처럼 부자연스럽고 기계적인 소리를 지양하고 자연스러우면서 감성적인 소리로 음악 그 자체를 느끼고 감상할 수 있는 기기를 제작하고 소비자에게 공유하는 것이야 말로 수월우의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해상도에 큰 강점을 둔 브랜드는 아니라 호불호가 갈리기도 하지만 돈 값을 못하는 수준까지는 아니다. 이를 만회할 만한 사운드 튜닝으로 음악을 맛깔나게 들려준다는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저가와 고가를 가리지 않고 고퀄리티의 제품들을 연달아 출시하고 있는데다, 정한펑은 오디오필 출신이라 그런지 이어폰과 오디오에 대한 개념이 해박하여 수월우는 미래가 기대되는 오디오계의 유망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엔트리급 제품의 케이블은 싼티나는 스플리터, 커넥터 디자인과 잘 꼬이는 재질로 악평이 자자하다. 커스텀 케이블에 비관적인 오디오필들도 수월우 제품은 순전히 케이블 품질 탓에 커스텀 케이블을 달아주는게 낫겠다고 할 정도이다.
특징으로는 정한펑 사장의 깊은 덕심으로 인해 매 패키지마다 자사의 캐릭터 그림이 그려져있다.[4] 아예 자사 캐릭터인 미츠키 유키를 모델로 내세운 굿즈 장사도 겸하는 것을 보아 사장 본인도 덕질에 진심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보니 일부 제품은 사운드 튜닝이 JPOP, 우타이테, 여보컬이 중시되는 고음정의 청량하고 맑은 사운드 튜닝에 치중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니 만약 본인이 다양한 악기의 화음 조합과 드라마틱한 다이나믹 레인지를 중시하거나 (클래식,록 음악,메탈) 중저음 위주의 비트가 강한 음악(EDM,힙합등)을 주로 듣는 편이라면 반드시 청음해보거나 사전에 정보를 수집하고 난 뒤 구매하는 것을 권장한다.
3. 제품군
3.1. 유선/커널형
가격대 구분은 정가를 기준으로 한다.3.1.1. 엔트리(~100$)
* CHU(竹) *캐릭터 아트
2022년 4월 수월우가 '엔트리 킬러'라며 자신있게 내놓은 엔트리 이어폰이다. 드라이버는 티타늄 코팅 10mm 1DD를 사용했다고 한다. 출시 이후 매우 저렴한 가격에 비해 상당히 괜찮은 올라운더 튜닝으로 인해 가성비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단점은 일체형 케이블 방식이라 케이블을 교체할 수 없는데 기본 케이블의 퀄리티가 낮은 편이라는 것과, 고역에 치찰음이 다소 존재하여 장시간 청음 시 피로해질 수 있다는 점.
가격대비 구성품이 알찬게 특징인데 수월우 Spring Tips를 사이즈별(S/M/L)로 총 3쌍 제공하고 이어가드 1쌍, 부직포 케이스가 동봉되어 있다. 그래서 '이어팁을 샀더니 이어폰이 같이 왔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 여담으로 해외에서 4월 예약판매 당시 특전으로 CHU의 마스코트가 각인된 대나무 책갈피를 증정했었다.
여담으로, 후술할 모델들을 포함한 CHU(죽)/JIU(국)/LAN(난)/MAY(매) 라인업은 사군자에서 한 글자씩 따온 이름이다. 매난국죽 글자의 반대 순서로 공개되었으며[6] 2023년 12월 메이의 공개로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파일:수월우스노우.jpg
* Aria Snow Edition *캐릭터 아트2022년 6월 15일 출시한 Aria의 마이너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가격은 뉴아리아와 같지만 DLC(Diamond-like Carbon) 코팅된 진동판을 쓴 10mm 1DD[11]가 적용되었고, 외관 도색은 칠까짐 문제를 의식한 것인지 새로운 코팅제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구성품은 하얀 외면의 6N OFC 은도금 동선이 동봉됐으며 파우치는 이전 Aria(2021)와 같은 둥근 형태지만 하얀 배경에 금색의 눈송이 마크가 들어갔다. 대신 핀셋과 여분 필터는 제외됐다. 그 외 구성품 자체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이어팁을 수월우 기본팁과 Spring Tips를 사이즈별로 3쌍씩, 총 6쌍 번들로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차별을 두었다. 정가는 $79.99이며 국내에는 공동구매로만 풀렸으며 배송비 포함 92,000원에 판매 중이다.[12] 참고 그래프
* Aria 22023년 11월 출시한 아리아의 후속작. 본래 '아리아'라는 이름의 이어폰은 3번째 출시지만 수월우에선 뉴아리아를 원점으로 네이밍을 삼아 아리아 2가 되었다. 스타필드 2의 쉘을 바탕으로 은색 도장에 도트 패턴이 새겨져 있으며, 케이블의 품질도 좋아졌고 3.5/4.4 단자교체식으로 개선되었으며 파우치 등 기타 구성품도 업그레이드 되었지만 정가도 소폭 올라 $89.99에 판매중이다.
3.1.2. 100$~300$
3.1.3. 300$~500$
3.1.4. 500$~1000$
3.1.5. 플래그십(1000$~)
* Solis 2
2023년 7월 공개된 Solis를 계승하는 수월우의 새로운 플래그십. 10mm 2DD+2BA+4EST 구성으로, 다이나믹 드라이버가 추가되었으며 소리도 극저역과 고역이 많이 보강되어 전작과 사운드가 많이 달라졌다. 쉘도 독특한 질감이 들어간 금속 쉘로 변경되었다. 정가는 $2699.99로 수월우 역대 최고가 기록을 갱신했는데, 기존 솔리스의 두 배 이상이며 심지어 자사의 고가 브랜드인 소프트이어스의 웬만한 이어폰보다도 비싸다.
3.2. 유선/오픈형
3.3. 유선/헤드폰
2022년 7월 1일, 수월우 유튜브 공식 계정을 통해 세 가지의 헤드폰이 공개됐다. 링크
- JOKER
2023년 8월 출시한, VOID의 드라이버를 이용한 밀폐형 헤드폰으로 정가는 $79.99이다.
- PARA
100mm 평판형 드라이버를 사용한 평판형 헤드폰. 밝고 선명한 음색으로 가성비가 좋다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520g에 달하는 무거운 무게가 단점, 정가는 $299.99.
- COSMO
100mm 평판형 드라이버를 사용한 평판형 헤드폰. 전반적으로 PARA의 업그레이드 느낌이다. 정가는 $899.99.
3.4. 무선
- SPACE TRAVLE
2023년 7월경 출시된 수월우의 무선이어폰. 블루투스 통신 규격 5.3을 사용하며 ANC기능이 탑재되어있다. Nekocake와 마찬가지로 미츠키 유키의 보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정가는 $24.99이다.
- Voyager
수월우의 무선 넥밴드 이어폰. 정가는 $129.99이다.
3.5. DAC
PC에서 사용 시 드라이버는 해당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CLICK
2022년 9월 출시한 수월우의 네번째 꼬다리 DAC이며 현재 가장 저렴한 모델이다. 스마트폰에 번들로 들어있는 DAC들처럼 USB-C 수단자와 3.5mm 암단자만 존재한다. 정가는 $19.99이다.[37]
- DAWN PRO
4.4mm와 3.5mm 단자를 모두 지원하는 수월우의 여섯번째 DAC. 시러스로직 CS43131 듀얼 칩셋을 사용했으며 일반 DAWN에서 케이블 분리형으로 변경되었다. 정가는 $49.99이다. 우수한 출력과 낮은 노이즈 등의 높은 성능으로 포터블 DAC에서 강력히 추천되는 제품이다. 다만 칙칙한 마감과 볼륨키 덜컥임 이슈, 낮은 내구성 등은 단점.
- MOON RIVER 2 Ti
2023년 6월 출시한 수월우의 다섯번째 꼬다리 DAC이다. 칩셋은 기존과 동일하게 시러스 로직 CS43198 칩셋을 두 개 탑재하였지만 음질은 향상되었고 디자인이 바뀌었다.
3.6. 이어팁
Ultra Clear Tip
정확히는 수월우가 아니라 Softears의 팁이다. 하지만 Softears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사실상 동일한 회사이긴 하다. 그래서 Alice 등의 일부 수월우 제품에 번들로 포함되어있다.
3.7. 커스텀 케이블
파일:수월우 CDSP.jpg* CDSP수월우 엔트리급 DSC 내장 케이블. 직구 기준 만원 미만의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으나 아래의 Free DSP 케이블보다 선재나 마감 등이 저렴하다. 츄 II DSP 버전의 기본 케이블로 제공된다.
3.8. 키보드
3.9. 스마트폰
- MIAD 01
수월우의 첫 번째 음감용 스마트폰. 시러스로직 CS43131 DAC를 듀얼로 탑재했으며, 출력 단자로는 3.5mm와 4.4mm를 탑재했다. 전반적인 DAC로서의 스펙은 자사의 Dawn Pro와 비슷한 편.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4. 단종 제품
- KXXS *캐릭터 아트
Kanas 시리즈의 후속작이며 DLC 코팅된 1DD를 탑재한 모델이다. 고강성 드라이버를 탑재해서 그런지 일정 볼륨 이상부터 소리가 확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외관은 Kanas PRO 처럼 경면 처리가 되어 있어 매우 매끈하지만 스크래치에 매우 취약한 부분도 물려받았다. Kanas에 있던 고음 착색이 거의 없어졌고 저음이 더 강화된 약 V자 성향이며 저음과 고음의 밸런스가 좋다는 평을 받지만 명료도가 떨어진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치찰음이 느껴진다는 평이 많다. 얼핏 보기에는 Kanas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유닛 크기가 더 작아지고 형상도 상당히 달라져서 착용감면에서는 더 좋아졌다. 대신 유닛은 여전히 통금속이라 무게감은 그대로다. 여담으로 캐릭터 각인 한정판을 선보인 바가 있다. 일각에서는 '큭스', '킄스'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격은 해외가 기준 약 20~24만, 국내 정가는 259,000원이다. 참고 그래프
- A4
수월우의 극초창기 시절, 블레싱보다 앞서 출시된 수월우의 첫 플래그십 모델이다. 4BA를 탑재했으며 Blessing과 비슷한 디자인을 하고 있었다. 국내에는 수입조차 되지 않았으며 해외에서도 인지도가 거의 없어 소리소문 없이 단종된 모델이다.
파일:리베슬리드실물.jpg* Liebesleid2017년 출시되어 샤콘느 출시 전까지 수월우의 오픈형 플래그십 자리를 지키던 제품. 깨끗하고 보컬 대역에 특화된 소리와 고급스러운 외관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재질이 전부 황동(크롬 도금)이라 무게가 굉장했다는 점이 주된 단점으로 꼽혔다.
5. 마스코트
- 수월우의 공식 캐릭터 이름은 '미츠키 유키(Mitsuki yuki, 水月友希)'이다. 수월우 간판 모델로서 패키지를 잘 보면 여러 복장의 미츠키 유키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용 보이스가 존재하며 Nekocake 구동음으로 적용되었다. 여담으로 수월우 공식 SNS 계정에 미츠키 유키 야짤이 올라왔던 적이 있다.
직후 삭제됐지만 그 흔적은 확인 가능하다.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3
- 수월우 공식 유튜브 채널에는 버츄얼 미츠키 유키 영상이 존재한다.
- 캐릭터 장사를 시작한 이래로 굿즈를 여러 만들어 팔고 있다. 아크릴 스탠드, 키체인, 심지어 다키마쿠라(!)도 있다. 당연히 국내에서는 판매되고 있지 않다. 아크릴 스탠드의 경우 수월우 공식몰에서 고가 모델이나 일부 제품 구매시 증정해주는 경우도 있다. 다만 캐릭터가 주기적으로 교체되며 그 이후 이전 캐릭터는 단종된다. KATO는 현재 세번째인데 처음에는 SSR, 그 다음이 Chaconne였다. 여담으로 다키마쿠라는 인기가 없었는지 현재는 공식몰에서 내려갔고 구하고자 한다면 여유분을 가진 개인셀러에게서 구할 수 있다.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3
6. 여담
* 수월우의 사장인 정한펑은 1992년생으로 다른 음향기기 기업의 사장들에 비해 굉장히 젊다. 위 인터뷰에 의하면 어렸을때부터 음향기기 덕후였는데 이어폰을 사기 위해 돈을 다 써서 점심, 저녁을 사먹을 돈이 없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여러모로 덕업일치를 이룬 인물. 또 일본 애니메이션 오타쿠라서 수월우가 자체 제작한 캐릭터를 마케팅에 이용하고 있으며 이어폰을 사면 애니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포토카드를 주기도 한다. 근데 이러한 특징이 오덕과는 거리가 먼 평범한 소비자들에게는 구매를 망설이게 만들어버린다는 게 흠이다. 그래도 본 제품에는 딱히 오덕스러운 면은 없다.
- 국내에서는 2018년 이후 수월우의 제품들이 정식으로 들어오면서 급격히 유명해졌다. 이후 출시하는 제품마다 좋은 평가를 받으며 음향기기 관련 커뮤니티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아졌다.
- 그러나 2023년 들어 다소 부진하는 경향이 있다. 블레싱 3가 가격과 스펙에 비해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소리로 논란이 시작되었고, 이후 나온 이어폰들 전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 국내뿐만 아니라 오디오 시장의 본고장 중 하나인 일본에서도 인기가 많다고 한다. 일본 Fujiya-Avic과 독점 계약을 맺고 수 차례 완판 기록을 세웠다.
- 앵키하우스 曰 폐쇄적인 기업이라 해외에 공급하는 것을 매우 꺼렸지만 겨우 설득 끝에 앵키하우스 인터네이셜와 계약을 맺고 2018년에서야 국내 정식 출시를 할 수 있었다고 한다.[52] 그런데 매스드랍에서도 팔리고 일본에서도 팔리고 하는 것을 보면 그냥 총판측에서 하는 립서비스일 확률이 높다.
- 앵키하우스가 수월우 제품을 총판하며 해외 직구를 오랫동안 막았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검색해도 나오지 않고 셀러들에게 개인 메세지로 문의하면 대부분은 '한국에는 수월우 공식 대리점이 있으니 거기서 구매하라'며 판매하지 않는다. 해외 정가에 비해 비싼 가격에다 일부 한정판 모델이나 굿즈처럼 총판하지 않는 모델은 구할 방법조차 없어 많은 한국의 오디오필에게 비판을 받다가 2023년 4월 3일자로 알리익스프레스 오피셜스토어가 등장했다. 이 이후에도 블레싱3이나 란 등의 신제품을 총판하는 걸 보면 앞으로도 해외 직구가 풀려있을 가능성이 높다.
- 한 동안 수월우와 소프트이어스는 별개의 회사로 알려져왔고 업체측에서도 다른 회사라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실상은 하나의 회사이며 수월우 본사와 타국 총판 간의 이해관계[53]가 한국 총판 측에도 영향을 주었고 대외비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소비자층 중심으로 한 때 혼란이 빚어졌었다. 그러던 와중 2022년 6월 24일 앵키하우스 측에서 해명을 하여 논란이 종식되었다. 앵키하우스의 공식 해명은 링크 참고.
- 서울의 사운드픽과 강남사운드연구소, 셰에라자드, 부산의 더사운드랩, 대구의 더그랩사운드 등에서 수월우 제품의 청음이 가능하다.
- 수월우 전용앱인 MOONDROP LINK가 존재한다. 무선 이어폰 및 USB DAC의 EQ 설정, 터치 설정, 펌웨어 업데이트, 설명서 확인 등을 할 수 있다.
- 정한펑 사장과 탠치짐 사장은 친한 사이라고 한다. 같은 부스를 공유하는가 하면 함께 콜라보작을 내기도 했었다. 샨링 M3X DAP 콜라보 한정판은 현재 품절 상태이다.
*이미지1 *이미지2 *이미지3
- 잊을만하면 QC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샤콘느, 스타필드 등 메탈 쉘의 도색이 까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7. 외부 링크
- 수월우 스토어(중국) : 징동닷컴 계정이 필요하다.
- DK 공구 : 수월우 국내 정발판을 해외 정가와 비슷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다만 정발했음에도 공구에 없는 모델도 있으니 참고.
- 선전 오디오(shenzhen audio) : 수월우 제품 직구가 가능한 곳이다. 해외 결제가 가능한 카드가 있어야 한다.
- 헤드파이 포럼 : 서양권 오디오필 커뮤니티 헤드파이의 수월우 전문 스레드이다.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다만 중국의 '수제 생산'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수제와는 좀 거리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뭔가 장인정신 같은 것이 아니라 중국에서는 기계보다 인력을 동원하는게 비교적 저렴하기에 결과적으로 손으로 만드는 것에 가까우며, 따라서 다른 나라의 수제 생산과는 기본적인 생산 단위부터가 다르다. 사람들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그런 수제 소량 생산은 A8이나 S8, Solis 등의 상위 레진쉘 라인에 가야 한다. 특히 Solis의 경우 번호가 새겨져서 출고되며 일부 유닛의 경우 좌우 모양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 수제 생산의 특징을 고스란히 보여준다.[2] 오히려 이 점을 단점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인지 '수월우는 저음이 약하다'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 '달빛에 내리는 비'[4]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기라 아예 패키지 그림만 찢거나 버리는 사람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중고로 팔 시 가격 하락 요인이다.[5] 단, 그래프가 절대적인 판단의 척도가 되어서는 안된다.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일 뿐이다. 그래프가 같으면 소리도 같을 수 있지만 동일한 환경에서 청음했더라도 소리가 다른 사례가 수두룩하다. 또한 측정한 기기나 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문서에 나올 그래프들을 측정한 Crinacle조차 그래프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된다고 한 바 있다. 그렇지만 그래프 상에서 저음이 넘치는데 실제로 들으면 저음이 없을 정도로 괴리가 심하진 않으므로 그래프는 대략적인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자세한 느낌의 차이를 위해서는 직접 들어보는 편이 가장 정확하다.[6] 다만 JIU의 공개 이후 출시가 늦어져 실제 발매 순서는 CHU > LAN > JIU 순이다.[7] 무광 실버 / 유광 화이트 / 유광 그린 / 유광 핑크 4가지[8] 이는 출시일이 비교적 최근이기에 리뷰가 활발히 올라오지 않은 요인도 있다.[9] 1,000번까지는 금색 카드. 이후는 은색 카드.[10] 고음역 재생을 위해 많이 쓰인다.[11] 단, KATO와 같은 제 3세대 DLC DD가 아닌 Kanas/Kanas PRO에 사용된 제 1세대 DLC DD라고 한다.[12] 공구처는 링크 참고. 일반적인 검색으로는 노출이 안 돼서 링크된 구매페이지에서만 확인 가능하다.[13] 단, 도장의 내구도가 약해 칠까짐이 심하여 험하게 다루지 말아야 한다. 칠까짐을 견디다 못해 그냥 도색을 전부 벗겨버리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한번은 모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을 보고 한 유저가 "옆에 있는 KXXS가 참 예쁘다" 칭찬하자 "그거 칠까진 Starfield다"라는 대답이 돌아온 웃픈 헤프닝도 있었다.[14] 스테인리스와 황동 재질이다. 스텐인리스는 고음이 열려있고, 황동은 비교적 고음이 다듬어진다고 하는데 측정치 상 차이는 미미하다. 노즐 여분은 해외 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가격은 약 1~1.3만 정도.[15] 하지만 부식과 변색이 쉬우므로 주의하여 보관하여야 한다.[16] 단, 사람마다 다르다. 노즐 지름만 6mm로 두꺼운 편인데다 유닛 자체도 크고 무거워 안맞는 사람에게는 지옥 같은 착용감을 선사해준다. 고로 꼭 청음샵이나 어디서 빌려 실착용 후 판단하는 것이 좋다. 수월우의 다른 레진쉘 제품인 Variations, Dusk, A8, S8 등에서도 생길 수 있는 문제이다.[17] 수월우는 이 2DD 시스템에 H.O.D.D.D.U.S. — Horizontally-Opposed Double Dynamic Driver Module Based on 3D Printing Technology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였다.[18] 2개 묶음 방식의 BA와 외형적으로는 똑같이 생겼다. 수월우는 이런 평판형 트위터는 밸런스드 아마추어의 rod로 인한 왜곡이 없어 트위터 용도로 더 적합하다고 홍보한다.[19] 색상은 청색과 검은색 2가지가 있는데, 색상은 랜덤 발송이다.[20] 고음은 A8과 거의 유사하며 중저음이 A8에 비해 약간 빠졌다. 깔끔해졌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웅장함이 줄어들어 재미없는 소리로 변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21] 저음용 소니온 2BA, 중음용 소프트이어스 2BA, 고음용 소니온 EST 구성이다.[22] 다만 어디까지나 당시 출시된 다른 수월우 제품들의 저질 케이블보다 좋았던 것이지, 대단히 뛰어난 품질까지는 아니다. 몇 년 이상 장기간 사용 시 변색 이슈도 있어 MMCX로 개조하는 사용자들도 있다.[23] 마이너 업그레이드 이후 기존의 Nekocake는 단종되고 칩셋이 변경된 Nekocake로 재출시하였다. 즉 현재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업그레이드판 Nekocake와 Kuroneko이다.[24] 구버전[25] Balanced / Moondrop Classic / X' Dynamic / Nobass / Wennebostel[26] 다만 환경(설거지 같은 생활 소음이나 자동차 주행음 등)에 따라서는 소니의 WI-C600N 만큼 노캔 성능이 체감이 가능하다고 한다. 근데 상황을 너무 탄다는게 문제[27] 보통은 사제 이어팁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지만 Nekocak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제 이어팁과의 호환성이 안좋은 편이다. 다만 초기형과는 다르게 칩셋 업데이트 및 개선판의 출시로 상술한 단점은 많이 없어졌다.[28] EMBERS가 개발하고 빌리빌리 게임이 퍼블리싱 중인 모바일 게임. 중국, 일본 등 해외에서 서비스 중이다. 2021년 한국 서버 오픈을 위해 사전예약을 받던 도중 무기한 출시 연기가 되면서 현재 국내에서는 인지도가 낮은 게임 중 하나이다.[29] 아무래도 업그레이드 버전 기반이다보니 기존 Nekocake와 어느 정도 차이가 존재한다.[30] Nekocake에서 영어였던 것과 달리 이건 독일어다.[31] 수월우의 첫 무선은 현재는 단종된 MiRai 이다.[32] 본래 Bluetooth 5.0, 코덱은 aptX/AAC/SBC만 지원했다. 추후 업그레이드된 듯 하다.[33] Virtual Diffuse Sound Field, 가상 확산 음장 타겟. 하만 타겟에서 V 성향을 줄이고 10kHz 이상의 고음은 약간 올린 타겟이다. 자세한 그래프 및 이어폰 비교는 사이트 참조.[중국출시] 2024년 10월 25일부터 예약 판매가 개시되었으며 당일 초도 생산량 예약이 마감되었다.[한영출시] 이후 12월부터 알리익스프레스 공식 스토어와 Shenzhen Audio를 통해 한국어 및 영어 버전의 예약 판매가 개시되었다. 예약 개시와 함께, 이후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통한 기기간 언어 상호 호환은 없을 것이라는 정보가 밝혀졌다. 한국에서 직구 가능하다.[일본출시] 12월 20일부터 일본 현지 한정 예약 판매가 개시되었다. 다만 아마존 등 대형 인터넷 쇼핑몰이 아닌 현지 음향기기 샵을 통해 예판을 연 결과 자정임에도 트래픽이 몰려 서버가 다운되었다. 결국 주문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예약 창구를 일단 닫는 사태로 이어졌다. 26일부터 다시 일부 예약 창구가 열렸으나, 타 버전과 달리 해외직구는 불가능하다. 27일 예정되어 있던 일반 판매는 공지 없이 1월 초순으로 연기되었다.[37] 현재 알리 공식 스토어에서 내려간 상태며, 단종으로 추정.[38] 첫 꼬다리 DAC/AMP는 MOON RIVER1이다. 2018년에 20만 이하의 가격으로 출시했지만 소리소문 없이 사라진듯 하다. 참고[39] Jcally라는 회사에서 AP98이라는 이름으로 동일한 DAC를 판매하는 것으로 보아 OEM 제품인 듯 하다. Jcally가 스스로 수월우의 OEM 회사라고 하고 있기도 하고.[40] 혹은 성향상 상반되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평도 받고 있다. 또는 중고음은 L&P W2에게 미미하게 밀리지만 저음은 더 낫다는 평도 있다.[41] 정해진 이름이 없다[42] S : 11mm / M : 12mm / L : 13mm[43] T41 S : 10mm, M : 11mm, L : 12mm / T51 S : 11.5mm, M : 12.5mm, L : 13.5mm[44] 노즐 지름 - T41(4.1mm) : 4.4~5.8 mm / T55(5.5mm) : 6~7mm[45] 외경 - S : 9.4mm / M : 10.84mm / L : 11.84mm / XL : 14mm, 내경 - 4.8~6.4mm[46] 12 Bundled 4N 은 팔라듐 도금선 + 7 Bundled 금도금 단결정 구리[47] 이름이 75인 이유는 75% 배열이 81키 배열이기 때문이다.[48] 자사 모델인 MOON RIVER 2와 같은 회로를 탑재한다.[49] 여담으로 다른 중국 오디오 회사인 FiiO에서도 Hi-Fi 키보드를 발표했다.[50] 보통 이런 형상의 이어폰 내부는 회로와 드라이버를 고정할 정도로만 레진을 쓰고 나머지는 빈 공간으로 두는게 보통이다. 완전히 레진으로 채우면 내구성이나 미관 상 보기 좋지만 기포가 들어가거나 흐려지면 안하느니만 못한게 되어 버리기 때문.[51] 흰 선재를 투명 테플론으로 감싸서 케이블 변색을 방지했으며 퀼리티도 좋은 편이라 잘 꼬이지 않고 외관과 촉감도 상당히 고급스럽다. 특히 2만원도 안 되는 가격인데도 이어솜도 3개 동봉되어 있으며 알루미늄 케이스까지 기본 제공하고 있으며 질은 별로 좋지 못하지만 청소용 천까지 들어있다.[52] 국내 정발품에 한해서 앵키하우스에서 A/S를 받을 수 있다. 직구품은 본사로 보내야 한다.[53] 마케팅 상 타국 총판에서는 수월우와 소프트이어스가 소비자에게 완전히 별개의 회사로 보여지기를 원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