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2:38

빌헬름 슈타이니츠

슈타이니츠에서 넘어옴
체스 세계 챔피언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17대
딩리런
}}}}}}}}}

Wilhelm Steinitz
빌헬름 슈타이니츠
파일:슈타나이츠.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1836년 5월 14일

[[보헤미아 왕국|
파일:보헤미아 왕국 국기.svg
보헤미아 왕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프라하
사망 1900년 8월 12일 (향년 64세)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뉴욕
국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1888~1900)
타이틀 없음 (타이틀 도입 이전)
세계 챔피언 1886~1894
Elo 레이팅 없음 (레이팅 도입 이전)

1. 개요2. 생애3. 기풍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 미국체스 선수이자 저술가, 초대 체스 세계 챔피언이다.

2. 생애

체스를 처음 배운 것은 12세였으나, 본격적으로 체스를 두기 시작한 것은 20대였다. 폴 모피가 유럽을 휩쓸며 체스 열풍을 일으키던 시기였다. 가난했던 슈타이니츠는 생활비와 학비를 위해 의 체스 클럽을 돌아다니며 내기 체스를 두었다. 1861년 비엔나 대회에서 우승하며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린 뒤, 이후 많은 대회와 매치에서 승리하며 1866년 당시 세계 체스의 최강자로 손꼽히던 아돌프 안데르센을 패배시키고 세계 최강자의 반열에 올랐다.

1873년부터 1882년까지는 경쟁 체스를 두지 않았고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 슈타이니츠가 10년 가까이 경기에 참여하지 않자 사람들은 여전히 슈타이니츠가 세계 최강자가 맞는지 의문을 가지기 시작했고 당시 전성기를 달리던 요하네스 주커토르트가 더 강할 것이라는 여론도 생기며 사람들은 둘의 매치를 원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첫 월드 체스 챔피언십이 탄생하게 된다.

1886년 주커토르트와 벌인 첫 월드 챔피언십을 승리하며 초대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얻었다. 슈타이니츠는 이전에도 여러 마스터들과의 매치를 통해 이미 최강자로 인정받고 있었다. 1894년 엠마누엘 라스커에게 패배하며 타이틀을 넘기기 전까지 32년동안 많은 마스터들과 벌인 1:1 매치에서 모두 승리했다. 그래서 슈타이니츠의 챔피언 기간을 1866년 아돌프 안데르센과의 매치에서 승리한 이후로 보는 시각도 있고 슈타이니츠 본인도 그렇게 쓰곤 했다.

1888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미국으로 귀화했고 귀화 후 윌리엄 슈타이니츠(William Steinitz)로 이름을 바꾸었다.

3. 기풍

이 시절에는 전술과 공격, 희생을 미덕으로 여기는 풍조가 있었다. 이런 기조를 낭만주의라고 한다.

슈타이니츠 또한 초반에는 "오스트리아의 폴 모피"라고 불릴 정도로 공격적인 체스를 두었으나 1870년대부터 작은 포지션 이점을 쌓아나가 결국 득점으로 연결하는 입지전(포지셔널 플레이)의 개념을 정립했다. 오프닝 이론과 비숍쌍, 나이트 아웃포스트, 중앙 공간 확보의 중요성, 밝은/어두운 칸의 약점, 외곽 폰을 이용한 폰 스톰 등 기초적인 포지셔널 플레이 개념을 처음으로 구체화시켰다. 이는 체스라는 게임의 메타를 바꾼 것으로, 현대 체스는 슈타이니츠로부터 시작한다고 봐도 될 정도로 큰 영향을 주었다.

직접 "킹은 전투하는 데 쓰는 기물이다!"라고 할 정도로 킹을 게임에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선수이기도 하다. 실제로 전부는 아니지만 몇몇 슈타이니츠의 이름을 딴 오프닝들은 킹이 캐슬링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1]

4. 둘러보기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tablebgcolor=#fff> 연도 장소 디펜딩 챔피언 도전자
1886 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미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0 5 파일:영국 국기.svg 요하네스 주커토르트
1889 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 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0½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0 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뉴욕시 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0½ 파일:헝가리 국기.svg 이시도어 건즈버그
1892 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 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2½ 10½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4 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7 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8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2½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907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0½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프랭크 J. 마셜
190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뒤셀도르프
뮌헨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0½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지그베르트 타라시
1910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다비드 야노프스키
1921 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 파일:독일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5 9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192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부에노스아이레스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3 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929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5½ 10½ 파일:독일 국기.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4 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5½ 10½ 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4½ 15½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
193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 15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펼치기 · 접기 ] 연도 장소 디펜딩 챔피언 도전자
194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이그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14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951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2 12 파일:소련 국기.svg 다비트 브론슈타인
1954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2 12 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스미슬로프
1957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2½ 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스미슬로프
1958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스미슬로프 10½ 12½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960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2½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탈
1961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탈 8 13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963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미하일 보트비닉 12½ 파일:소련 국기.svg 티그란 페트로시안
1966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티그란 페트로시안 12½ 11½ 파일:소련 국기.svg 보리스 스파스키
1969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티그란 페트로시안 10½ 12½ 파일:소련 국기.svg 보리스 스파스키
1972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레이캬비크 파일:소련 국기.svg 보리스 스파스키 12½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피셔
1975 -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피셔**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1978 파일:필리핀 국기.svg 바기오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6 5 파일:세계체스연맹 로고.svg 빅토르 코르치노이
198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메라노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6 2 파일:스위스 국기.svg 빅토르 코르치노이
1984***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5 3 파일:소련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985 파일:소련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11 13 파일:소련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986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파일:소련 국기.svg 레닌그라드
파일:소련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2½ 11½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1987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파일:소련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2 12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1990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옹 파일:소련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2½ 11½ 파일:소련 국기.svg 아나톨리 카르포프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연도 장소 디펜딩 챔피언 도전자
1993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가리 카스파로프 12½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나이젤 쇼트
1995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시 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10½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000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2004 파일:스위스 국기.svg 브리사고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7 7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테르 레코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연도 장소 디펜딩 챔피언 도전자
2006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시티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6 [2½] 6 [1½]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베셀린 토팔로프
(FIDE 챔피언)
200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시티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8 9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00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201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소피아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베셀린 토팔로프
2012 파일:러시아 국기.svg 모스크바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6 [2½] 6 [1½]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보리스 겔판드
2013 파일:인도 국기.svg 첸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2014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016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6 [3] 6 [1]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카리야킨
2018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6 [3] 6 [0] 파일:미국 국기.svg 파비아노 카루아나
202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두바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안 네폼니아치
2023**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아스타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
파일:세계체스연맹 로고.svg 이안 네폼니아치
7 [1½] 7 [2½] 파일:중국 국기.svg 딩리런
202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중국 국기.svg 딩리런 파일:인도 국기.svg 구케시 디
2026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예를 들어 스카치 게임, 슈타이니츠 바리에이션 1.e4 e5 2.Nf3 Nc6 3.d4 exd4 4.Nxd4 Qh4 5.Nc3 Bb4 6.Be2 Qxe4 7.Ndb5 Kd8과 비엔나 게임, 슈타이니츠 갬빗 메인라인 1.e4 e5 2.Nc3 Nc6 3.f4 exf4 4.d4(안전하고 현대에 더 흔한 4.Nf3 대신에) Qh4+ 5.K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