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체스 선수 순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 순위 | 이름 | 레이팅 |
1위 | | 2833 | |
2위 | | 2803 | |
3위 | | 2802 | |
4위 | | 2801 | |
5위 | | 2777 | |
6위 | | 2766 | |
7위 | | 2760 | |
8위 | | 2755 | |
9위 | | 2754 | |
10위 | | 2750 | |
11위 | | 2747 | |
12위 | | 2745 | |
13위 | | 2741 | |
| 2741 | ||
15위 | | 2739 | |
| 2739 | ||
17위 | | 2734 | |
| 2734 | ||
19위 | | 2731 | |
| 2731 | ||
21위 | | 2729 | |
| 2729 | ||
23위 | | 2728 | |
24위 | | 2724 | |
25위 | | 2721 | |
26위 | | 2718 | |
27위 | | 2717 | |
28위 | | 2715 | |
29위 | | 2701 | |
| 2701 | ||
31위 | | 2700 | |
2025년 2월 기준. 비활성화된 선수 제외.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7년 불가리아의 국영방송 BNT 1이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위대한 불가리아인 100명을 선정했다. | ||||||||
TOP 10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바실 레프스키 | 페터르 더노프 | 아스파루흐 | 시메온 대제 | 흐리스토 보테프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보리스 1세 |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 스테판 스탐볼로프 | 이반 바조프 | 파이시 힐렌다르스키 | |||||
11위~100위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존 아타나소프 |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 바바 반가 | 토도르 지프코프 |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칼로얀 | 크룸 | 이반 아센 2세 |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 이반 릴스키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아지스 | 이반 코스토프 | 알레코 콘스탄티노프 | 볼렌 시데로프 | 게오르기 벤코브스키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네노 유루코프 | 슬라비 트리포노프 | 니콜라 밥차로프 | 보이코 보리소프 | 릴리 이바노바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댄 콜로프 | 쿠브라트 | 톤카 오브레테노바 | 게오르기 라코브스키 | 페트코 보이보다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레이냐 크나기냐 | 발야 발칸스카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알베나 덴코바 | 게나 디미트로바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에블로기 | 아타나스 부로프 | 콜류 피체토 | 에밀 디미트로프 | 타르노보의 에우티미우스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사무일 |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 게오르기 파트살레프 | 자하리 스토야노프 | 니콜라이 하이토프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 베셀린 토팔로프 | 요르단 요프코프 | 고체 델체프 | 페요 야보로프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라이나 카바이반스카 | 테르벨 | 아흐메드 도간 | 하지 디미타르 | 보리스 3세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네슈카 로베바 | 네베나 코카노바 | 보리스 크리스토프 | 요르단 라디치코브 | 야네 산단스키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디미타르 페셰프 | 엘린 페린 | 바질 아프릴로프 | 아포스톨 카라미테브 | 게오르기 퍼르파노프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딤초 데벨랴노프 | 자하리 조그라프 | 파나요트 볼로브 |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 시메온 2세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루드밀라 지브코바 | 밀라디노프 형제 | 스테판 카라자 | 니콜라이 기아우로프 | 스토얀카 무타포바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디미타르 스피사네브스키 | 류벤 카라벨로프 |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 흐리스토 스미르넨스키 | 게오르기 이바노프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페터르 베론 | 발레리 페트로프 | 게오르기 칼로얀체프 | 게오 밀레브 | 브라트사의 소프로니우스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에카테리나 다보프스카 | 디미타르 탈레프 |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 펜초 슬라베이코프 | 필립 쿠테프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페르니크의 크라크라 | 이벳 라로바 | 파나욧 히토프 | 오무르타그 | 아센 즐라타로브 | |||||
출처 |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ddd,#000><colcolor=#000,#ddd> 베셀린 토팔로프 Веселин Топалов | |
출생 | 1975년 3월 15일 ([age(1975-03-15)]세) |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루세 | |
국적 | [[불가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최고 순위 | FIDE 체스 세계랭킹 1위 (2006) |
직업 | 체스 선수 |
Elo 레이팅 | 2717 (2025년 1월 기준) 2816 (최대 레이팅) |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의 체스선수. 2005년 FIDE 챔피언이었다.2. 선수 경력
1975년 불가리아 루세에서 태어난 토팔로프는 어린 나이에 체스를 시작했다. 빠르게 재능을 드러내 1992년 만 16세의 나이로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얻었다. 1994년, 올림피아드에서 당시 세계 챔피언인 가리 카스파로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어 주목받기 시작했다.2005년에는 타타 스틸 토너먼트에서 카스파로프를 한 번 더 이긴다.[1]또한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FIDE 세계 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세계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다. 이 대회에서 그는 14라운드 토너먼트에서 뛰어난 경기를 펼치며 10/14점을 기록, 경쟁자들을 압도적으로 앞질렀다. 당시 그의 퍼포먼스 레이팅은 2890이었다.[2]
체스 협회가 통합되고, 2006년, 토팔로프는 블라디미르 크램닉과 세계 챔피언 자리를 두고 맞붙는다. 정말 치열하게
그 후에도 세계 최고의 체스 선수로 꾸준히 활약한다. 크램닉, 아난드, 칼슨, 카리야킨, 아로니안 등과 경쟁하여 좋은 성과를 내었다. 그러다 2009년에 FIDE 월드 챔피언십 후보자 결정전에서 우승하며 다시 한 번 세계 챔피언에 도전할 기회를 얻는다. 그러나 당시 세계 챔피언 비스와나탄 아난드와의 대결에서 또 패배하여 다시 챔피언 타이틀을 얻는 데에 실패한다.
3. 기풍
공격적이고 창의적인 플레이어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공격적이고 전투적인 스타일로 유명하며, 복잡한 전술적 상황에서 상대를 압박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식의 경기를 좋아한다. 토팔로프는 게다가 계산력까지 뛰어나, 엔드게임에서도 강점을 보이곤 했다.공격적이라고 평가받는 킹스 인디언 디펜스나 시실리안 디펜스를 자주 활용했다. 이는 단단한 포지셔널 플레이를 했던 라이벌 블라디미르 크램닉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4. 둘러보기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tablebgcolor=#fff>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886 | | | 10 | 5 | | |
1889 | | | 10½ | 6½ | | |
1890 | | | 10½ | 8½ | | |
1892 | | | 12½ | 10½ | | |
1894 | | | 7 | 12 | | |
1896 | | | 12½ | 4½ | | |
1907 | | | 10½ | 5½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1910 | | | 9½ | 1½ | | |
1921 | | | 5 | 9 | | |
1927 | | | 3 | 6 | | |
1929 | | | 15½ | 10½ | | |
1934 | | | 15½ | 10½ | | |
1935 | | | 14½ | 15½ | | |
1937 | | | 9½ | 15½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48* | | 14 | | |||
1951 | | | 12 | 12 | | |
1954 | | | 12 | 12 | | |
1957 | | | 9½ | 12½ | | |
1958 | | | 10½ | 12½ | | |
1960 | | | 8½ | 12½ | | |
1961 | | | 8 | 13 | | |
1963 | | | 9½ | 12½ | | |
1966 | | | 12½ | 11½ | | |
1969 | | | 10½ | 12½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1978 | | | 6 | 5 | | |
1981 | | | 6 | 2 | | |
1984*** | | | 5 | 3 | | |
1985 | | | 11 | 13 | | |
1986 | | | 12½ | 11½ | | |
1987 | | | 12 | 12 | | |
1990 | | | 12½ | 11½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93 | | | 12½ | 7½ | | |
1995 | | | 10½ | 7½ | | |
2000 | | | 6½ | 8½ | | |
2004 | | | 7 | 7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2007* | | | 8 | 9 | | |
2008 | | | 6½ | 4½ | | |
2010 | | | 6½ | 5½ | | |
2012 | | | 6 [2½] | 6 [1½] | | |
2013 | | | 3½ | 6½ | | |
2014 | | | 6½ | 4½ | | |
2016 | | | 6 [3] | 6 [1] | | |
2018 | | | 6 [3] | 6 [0] | | |
2021 | | | 7½ | 3½ | | |
2023** | | | 7 [1½] | 7 [2½] | | |
2024 | | | 6½ | 7½ | | |
2026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